View : 1113 Download: 0

영성일기 프로그램이 영적 성장, 심리적, 신체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Title
영성일기 프로그램이 영적 성장, 심리적, 신체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Spiritual Diary Program on Spiritual growth,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in Christian Adults
Authors
김다은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석선
Abstract
본 연구는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영성일기 프로그램이 종교성, 영적 경험, 삶의 의미, 삶의 만족도, 우울 및 신체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설계 연구이며, 대상자는 수도권에 있는 6개의 교회에 출석하고 있는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실험군 61명, 대조군 58명으로 비무작위로 모집하였다. 영성일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에게는 주 1회, 10회기 동안 100여분씩 총 17그룹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대조군에게는 프로그램을 적용하지 않고 평소와 같은 신앙생활을 한 후 실험군과 동일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19년 3월부터 9월까지 자료수집 하였고, 사전·사후 설문을 통해 프로그램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종교성은 Koenig 등(1997)이 개발한 종교성 도구(Duke Univ ersity Religion Index: DUREL), 영적 경험은 Underwood와 Teresi(2002)가 개발한 영적 경험 도구(The Daily Spiritual Experience Scale: DSES), Crumbaugh와 Maholick(1969)에 의해 개발된 삶의 의미 척도, 삶의 만족도는 Diener et al.(1985)이 개발한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도구, 우울은 Randloff(1977)이 개발한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도구, 신체적 안녕감은 Emmons (1991)의 신체적 증상 체크리스트(Physical Symptom Checklist)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평균, 표준편차 등 기술통계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정규성 검증을 위해 종속변수에 대한 Shapiro-Wilk검정, 왜도, 첨도를 이용하였고, 동질성 검증을 위해 χ2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사후에 따른 종속변수의 차이검정은 paired t-test, 실험군, 대조군의 사전·사후 변화량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실험군이 52.91±9.00세, 대조군이 53.01±8.92세였다. 실험군, 대조군 간의 일반적 특성은 종교 연수를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동질한 집단임을 알 수 있었다. 2. 연구의 주요 변수인 종교성(t=-0.50, p=.617). 영적 경험(t=-0.34, p=.733). 삶의 의미(t=0.44, p=.655). 삶의 만족도(t=-0.14, p=.887), 우울(t=1.80, p=.075), 신체적 안녕감(t=0.72, p=.47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동질성이 검증되었다. 3. 영성일기 프로그램 적용 후 종교성(t=3.41, p=.001), 영적 경험(t=-3.64, p=.001), 삶의 의미(t=-3.15, p=.002)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우울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t=3.23, p=.002). 삶의 만족도(t=-2.73, p=.098)와 신체적 안녕감(t=1.46, p=.151)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영성일기 프로그램이 기독교인의 종교성, 영적 경험, 삶의 의미 및 우울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기독교 성인을 대상으로 영성일기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종교성, 영적 경험, 삶의 의미 및 우울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영성을 통합한 표현적 글쓰기인 영성일기를 통해 기독교인의 영적 성장과 심리적 안녕감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간호의 필수적 요소인 영성을 기반으로 한 접근성 높은 간호중재 방법으로써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piritual diary program on religious, spiritual experience, meaning in life,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and physical well-being in Christian adults. The study was designed for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the participants were non-randomly recruit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of 61 Christians and 58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spiritual diary program consisted of about 7-8 people per group for once a week and 10 sessions, and the control group conducted the same survey as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living the faith as usual without the program.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September 2019, and the program effectiveness was assessed through pre and post surveys. Religiousness in this study was developed by Koenig et al. (1997), Duke University Religion Index (DUREL), and spiritual experience was developed by Underwood and Teresi (2002), The Daily Spiritual Experience Scale (DSES), Crumbaugh. An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tools developed by Diener et al. (1985) and Depression is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veloped by Randloff (1977). Depression Scale (CES-D) tool, physical well-being, was used Emmons (1991) Physical Symptom Checklist.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3.0 program, and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Shapiro-Wilk test, skewness, and kurtosis were used for the dependent variable for normality test, and χ2 -test, Fisher's exact test, and independent t-test were used for homogeneity test. The test for the difference of dependent variables according to the pre- and post-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analyzed by the independent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the study subjects was 52.91±9.00 year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53.01±8.92 years in the control group.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except for religious training, indicating that they were homogeneous. 2. Religiousness, the main variable in the study (t=-0.50, p=.617). Spiritual experience (t=-0.34, p=.733). meaning in life (t=0.44, p=.655). life satisfaction (t=-0.14, p=.887), depression (t=1.80, p =.075), and physical discomfort (t=0.72, p=.471)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is has been verified. 3. Religiosity (t=3.41, p=.001), spiritual experience (t=-3.64, p=.001), meaning in life (t=-3.41, p=.001), life satisfaction (t=-2.73, p=.008) increased significantly, and depression decreased significantly (t=3.23, p= 00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discomfort (t=1.46, p=.151). Therefore, the spiritual diary program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for Christian adults in religiousness, spiritual experience, meaning of life,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proven that the application of the Spiritual Diary Program to Christian adults is effective in religiosity, spiritual experience, meaning in life and depression.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helps to improve the spiritu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ristian adults through the spiritual diary, which is an expressive writing combining spirituality. This is considered to be widely used as an accessible nursing intervention method integrating spirituality which is an essential element of nurs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