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5 Download: 0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 및 수면의 질에 미치는 자기 - 상대방 효과

Title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 및 수면의 질에 미치는 자기 - 상대방 효과
Other Titles
Actor – Partner effect of Husbands’and Wives’ Acculturative stress on Depression and Sleep Quality : Focused on Korean American Middle-aged Couples
Authors
박혜성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석선
Abstract
본 연구는 미국 이민 한국인 중년 부부 사이에서 Westman(2001)의 스트레스 교차 전이 모델(Stress and Strain Crossover model)과 Cook과 Kenny(2005)의 자기 – 상대방 상호의존 모형(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을 이용하여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 및 수면의 질에 미치는 자기 효과와 상대방 효과를 검증한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미국 내 뉴욕시 및 인근 뉴저지 주에 거주 중인 만 35세부터 64세 이하까지의 미국 이민 한국인 중년 부부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이다. 자료 수집 방법은 자가 보고식 설문으로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 조사 또는 종이 설문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조사 방식이었으며, 부부가 공통적으로 하나의 방식을 택일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9년 6월 1일부터 2019년 8월 31일까지였다.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측정은 Noh와 Avison(1996)이 개발한 The Acculturative Stress Index(ASI)를 사용하였고, 우울의 측정은 Radloff(1977)에 의해 개발된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Index(CES-D)를 Cho와 Kim(1993)이 번안한 도구로 하였으며, 수면의 질은 Buysse, Reynolds III, Monk, Berman과 Kupfer(1989)이 개발한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를 Sohn, Kim, Lee와 Cho(2012)가 한국어로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평균 비교, 상관 분석, 신뢰도 분석, 부부의 변수 간 급내 상관을 분석하였으며,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 및 수면의 질에 미치는 자기 - 상대방 효과는 AMO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경로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는 총 173쌍, 346명이었다.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평균은 남편52.22±14.27점, 아내 55.12±13.72점, 우울의 평균은 남편 7.70±7.41점, 아내 7.94±7.00점, 수면의 질의 평균은 남편 5.61±2.73점, 아내 6.46±3.28점이었다. 2. 남편과 아내의 유사성은 문화적응 스트레스 66%(ICC = .66, p < .001), 우울 63%(ICC = .63, p < .001), 수면의 질은 60%(ICC = .60, p < .001)로 부부는 서로 완전히 독립적인 관계가 아닌 상호의존적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3. 미국 이민 한국인 중년 부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 및 수면의 질에 미치는 자기 – 상대방 효과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편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우울(β = .605, p < .001)과 수면의 질에(β = .450, p < .001) 자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내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우울(β = .534, p < .001)과 수면의 질에(β = .228, p < .01) 모두 자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편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아내의 우울(β = .159, p < .05)과 아내의 수면의 질에(β = .318, p < .001) 상대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결과를 통해, 미국 이민 한국인 중년 부부에게서 개인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우울과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대방에게는 남편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아내의 우울과 수면의 질에만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파악하였다.정신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미국 이민 한국인 중년 부부가 함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내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남편의 우울과 수면의 질에 상대방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부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조절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This study investigated actor and partner effects between Korean immigrant couples to the United States on Depression and Sleep quality impacted by Acculturative stress.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proposed by Cook and Kenny(2005) was utilized.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immigrant couples between the age of 35 and 64 who lived in the New York metropolitan area that mainly included New York City(NYC) and New Jersey near NYC. Both in a couple chose identical survey tools, either online or paper self-reported surveys, and were asked whether they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surveys before they proceeded. 173 couples (346 individuals) in total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below.1. The mean values of acculturative stress were 52.22±14.27 and 55.12±13.72 for husbands and wives respectively. The mean values of depression were 7.70±7.41 for husbands and 7.94±7.00 for wives. The mean values of sleep quality were 5.61±2.73 and 6.46±3.28 for husbands and wives respectively. 2. Intra-class correlations between husbands and wives were found as 66% (ICC = .66, p < .001) for acculturative stress, 63% (ICC = .63, p < .001) for depression and 60% (ICC = .60, p < .001) for sleep quality, which indicated that couples were in inter-dependent relationship rather than complete independent relationship. 3. Actor-partner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on depression and sleep quality as well as actor-partner effects of depression on sleep quality were summarized as follows. Acculturative stress of husbands was found having actor effects on depression(β = .605, p < .001) and sleep quality(β = .450, p < .001). Acculturative stress of wives was found having actor effects on depression(β = .534, p < .001) and sleep quality(β = .228, p < .01). Acculturative stress of husbands was found having partner effects on wives’ depression(β = .159, p < .05) and sleep quality(β = .318, p < .001). Above mentioned results based on survey responses by middle-aged Korean immigrant couples indicated that acculturative stress of individuals affected depression and sleep quality. Also, the path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cculturative stress of husbands had partner effects on wives depression and sleep quality. It is anticipated that a preventive approach with both couple’s participation is required to reduce acculturative stress in order to improve depression and sleep quality, because the extent of actor-partner effects can be different between a coup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