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1 Download: 0

학령전기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 보상감, 삶의 만족도

Title
학령전기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 보상감, 삶의 만족도
Other Titles
Parental stress, Caregiving reward, and Satisfaction with life in Grandparents raising their Preschool Grandchildren
Authors
박혜리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배성희
Abstract
본 연구는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 보상감과 삶의 만족도를 파악하고, 맞벌이 자녀를 위해 손자녀를 양육하는 공동양육자인 조부모를 이해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자녀의 맞벌이로 인하여 손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조부모이며, 서울 및 경기권에 위치한 12개의 보육시설(어린이집, 유치원, 가정보육시설)의 협조를 받아 대상자를 모집하였다. 총 연구 대상자는 143명으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10월 20일부터 11월 30일까지이다. 양육 스트레스는 김은정(2012)의 양육 스트레스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양육 보상감은 박경애(2007)의 조부모 양육 보상감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삶의 만족도는 안종철, 임완규(2014)의 노인 삶의 만족도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평균 연령은 64.27±3.90세이며, 조부가 13.3%(19명), 조모가 86.7%(124명)이다. 대상자 본인이 인식하는 주관적인 경제상태를 보통 이상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91.6%(131)명이며, 주관적인 건강상태를 자신의 건강을 보통 이상이라고 인식하는 경우가 74.2%(106명)였다. 2. 대상자의 손자녀 양육과 관련된 특성으로 손자녀의 평균 연령은 3.67±1.21세이며, 조부모의 손자녀 평균 양육 기간은 26.08±14.05개월이다. 3. 대상자의 양육 스트레스의 평균은 3.21±0.72점, 양육 보상감의 평균은 3.35±0.66점, 삶의 만족도의 평균은 3.45±0.53점이다. 4. 대상자의 양육 스트레스는 주관적 건강수준, 손자녀 연령, 손자녀 양육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대상자의 양육 보상감은 성별,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삶의 만족도는 월 평균 수입, 주관적 경제수준, 주관적 건강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삶의 만족도는 양육 스트레스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또한 삶의 만족도는 양육 스트레스의 하위 영역인 역할부담 스트레스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6. 대상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주관적 경제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양육 스트레스로 나타났고 변수의 설명력은 36.4%이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경제상태, 양육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의 건강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손자녀 양육을 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양육 스트레스를 조절해 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with life in grandparent caregiver and the associated factors, parental stress and caregiving reward,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co-parenting grandparents who were alienated in the transitional era of parent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grandparents who were raising their grandchildren because of their parents' double income and recruited them with the cooperation of 12 childcare facil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total number of people subject to research was 150. Data had been collected from October 1 to November 1, 2018. The parental stress scale was used by Kim Eun-jung (2012). The caregiving reward scale was used by Park Kyung-ae (2007), who reconstructed the scale of the parenting compensation developed by Lee Sang-hyun (2005). And with respect to the satisfaction with life, the scale, which was made by Ahn Jong-chul & Lim Wan-gyu (2014) in the way of modifying the scale developed by Lee Hyung-suk (2003), Yang Min-hee (2009), and Kim Nam-hee & Choi Soo-il (2011). For data processing, SPSS/WIN 21.0 program was utiliz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VON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1. Regar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eir average age was 64.27±3.90, 86.7% were women; 95.1% were currently unemployed. 91.6% of subjects perceived the subjective economic condition as above moderate and 74.2% of the subjects perceived the subjective state of health as above moderate. 2. Regarding the parenting of grandchildren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eir grandchildren average age was 3.67±1.21. Average raising period was 26.08±13.95 month. 3. Parenting stress in grandparent caregive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ubjective health condition state of health, caregiving period of grandchildren. Caregiving reward in grandparent caregive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Satisfaction with life in grandparent caregive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ubjective health condition, subjective economic condition. 4. Satisfaction with life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parenting stress and role burden stress, sub-domain of parenting stress. 5. The variables affecting the satisfaction with life of the subjects were perceived the subjective state of health, perceived the subjective state of economic level, number of caregiving grandchildren, and parenting stres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bles was 36.4%. This study showed that the better perceived the subjective state of economic level, the better perceived the subjective state of health, the lower the parental stress, the caregiving of two, the more satisfied the life of the grandpar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rvention to improve health management and stress manage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