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1 Download: 0

초기 천식환자의 천식 관련 지식, 자가 관리 및 삶의 질 간의 관계

Title
초기 천식환자의 천식 관련 지식, 자가 관리 및 삶의 질 간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hip between Asthma-Related knowledge, Self-care and Quality of life in early asthmatic patients
Authors
백경희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윤희
Abstract
천식은 가장 흔한 만성질환 중의 하나로 연령, 성별에 상관없이 전 세계적으로 높은 유병률을 보이며 국내에서도 지속적으로 사망률과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초기 천식환자의 천식 관련 지식, 자가 관리와 삶의 질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대상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로, 연구대상자는 천식을 진단 받은 지 1년 이내이며 외래 통원 치료 중인 환자 1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8월 1일부터 11월 20일까지 시행되었다. 천식관련 지식은 Allen & Jones(1998)에 의해 개발된 천식의 지식도구(Asthma General Knowledge Questionnaire for Adult. AGKQA)를 최자윤, 조정향(2010)이 한국어로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자가 관리는 김부남(1999)이 개발한 자가 관리 측정도구를 오현숙과 김부남(2006)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삶의 질은 대한 천식 및 알레르기 학회(2000)에서 개발한 천식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평가 설문지(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for adult Korean asthmatics, QLQAKA)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Tukey’s HSD 사후검정,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60.18세±17.34로, 남성이 52%, 70세 이상이 37.6%로 가장 많았다. 교육 정도는 고졸이 44%, 배우자가 있는 대상자는 72%였다. 경제수준은 100만원 미만이 56.8%, 동거가족이 있는 대상자는 88%, 직업이 있는 대상자는 44%였다. 흡연을 하지 않는 대상자가 92.8%, 반려동물이 없는 대상자는 76%를 차지했다. 2. 대상자의 평균 유병기간은 7.30개월±4.51로, 10-12개월이 42.4%으로 가장 많았고, 치료중단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46.4%, 가족력이 있는 대상자는 22.4%이였으며. 타 질환이 있는 대상자는 84.0%였다. 3. 천식 관련 지식은 평균 14.37점±4.81, 자가 관리는 평균 3.84점±0.53, 삶의 질은 평균 63.57점±12.4이었다. 4. 대상자의 천식 관련 지식은 성별(t=-2.746, p=.007), 연령(r=-.391, p<.001), 교육정도(F=3.717, p=.013), 타 질환 유무(F=-2.850, p=.00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 검증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천식 관련 지식이 높았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천식 관련 지식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천식 관련 지식이 높았으며, 타 질환이 없는 집단이 타 질환이 있는 집단보다 천식 관련 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자가 관리는 흡연여부(F=-2.378, p=.019), 치료중단 유무(F=-4.411,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 검증 결과 흡연을 하지 않는 집단이 흡연 집단보다 자가 관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천식 치료를 중단한 적이 없는 집단이 천식 치료를 중단한 적 있는 집단보다 자가 관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대상자의 삶의 질은 연령(r=-.281, p<.001), 교육정도(F=5.390, p=.002), 직업 유무(t=3.043, p=.003), 경제수준(F=3.825, p=.012), 유병기간(F=4.208, p=.007), 치료중단 유무(t=-2.619, p=.010), 타 질환 유무(t=-2.169, p=.03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 검증 결과 70세 이상에서 건강 관련 삶의 질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수준의 경우 100-200만원 미만의 집단이 100만원 미만의 집단보다 삶의 질이 더 높았으며, 유병기간의 경우 1-3개월인 집단이 10-12개월인 집단보다 삶의 질이 더 높게 측정되었다. 천식 치료를 중단한 적이 없는 집단이 천식 치료를 중단한 적이 있는 집단보다 삶의 질이 더 높았으며, 타 질환이 없는 집단이 타 질환이 있는 집단보다 삶의 질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 천식 관련 지식(r=.342, p<.001)과 자가 관리, 자가 관리와 삶의 질(r=.286,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초기 천식환자의 천식 관련 지식과 자가 관리 및 삶의 질은 서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천식 관련 지식의 부족과 자가 관리 미흡으로 인해 급성 천식 발작이 발생할 수 있는 초기 천식 환자를 대상으로 천식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자가 관리를 격려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 중재가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As one of the most common chronic diseases, the asthma has shown high prevalence all around the world regardless of age and sex and also, its prevalence rate and morbidity rate has been constantly increasing in Korea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sthma-related knowledge, self-care and quality of life in early asthmatic patients and also, provide base data in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which can improves asthma patients’ quality of lif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st Aug. to 20th Nov. The research subjects in this study are 130 asthma patients who are diagnosed by a specialist in pulmonary of E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within a year. And they receive outpatient treatments as well. To see the patients’knowledge related to the asthma, Asthma General Knowledge Questionnaire for Adult. (AGKQA) which is developed by Allen & Jones (1998) and translated by Ja yoon Choi, Jung Hyang Jo (2010) into Korean is used. And to see the self-care behaviors of patients, the self-care measurement which is developed by Kim, Boonam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Hyeonsook Oh, and Boonam Kim is used. And to see the quality of patients’ life,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for Adult Korean Asthmatics’(QLQAKA) which is developed by The Korean Academy of Asthma, Allergy and Immunology (2000) is used. As the data is collected, SPSS 25.0 Program is used to analyze and deduct real number of each variable,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o see the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asthma-related knowledge that subjects have, their self-care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re carried out. For post hoc analysis, it’s analyzed with Tukey’s HSD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1. Asthma patients’ knowledge is 14.37 ±4.81 on average while the self-care is 3.84 ±4.81 on average. And the quality of their life is 63.57±12.4 on average when they are measured with numbers. 2. When comparing the amount of knowledge about asthma that patients posses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s below. The factors that make such differences are sex (4=-2.746, p=.007), age (r=-.391, p<.001), level of education (F=3.717, p=.013). Subjects who have other diseases and subjects who don’t have other diseases (F=-2.850, p=.005)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en comparing self-care behaviors of subjec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s below. The factors that make such difference are smoking (F=-2.378, p=.019), receiving treatment (r=-.281, p<.001). When comparing quality of life of subjec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level of education (F=5.390, p=.002), working (t=3.043, p=.003), economic status (F=3.825, p=.012), duration of illness (F=4.208, p=.007), whether discontinuing the treatment or not (t=-2.619, p=.010) and whether suffering other disease or not (t=-2.169, p=.032). 3. Patients with more knowledge about asthma are more likely to take care of their health. And patients who tend to take care of their health a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quality of life(r=.286 p=.001) It’s discovered that their asthma-related knowledge, self-care and quality of life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To sum up such research findings, the patients in early stage of asthma, especially with more knowledge in the asthma are more likely to take care of themselves well and also, if they’re more likely to take care of themselves, their quality of life is higher. Therefore, it’s required to provide the health education program targeting the asthma patients in the early stage and strengthen the nursing intervention to encourage self-care and improve quality of life as they may suffer from acute asthmatic attack due to lack of asthma-related knowledge and self-ca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