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7 Download: 0

Labor Migration and Empowerment of Left-behind Wives

Title
Labor Migration and Empowerment of Left-behind Wives
Authors
Poudel, Sirjana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Eun Mie Lim
Abstract
Male domination societies when a large proportion of male population has been absent overseas for employment, this has led to be empowerment of women in private decision making in the family and also public decision making in social organizations. Most of the previous literature suggests that the male absenteeism and access of remittance empowers left-behind women due to the shift of the traditionally male-dominated role and access of resources from the husband to the hand of the left-behind women, This thesis examines in what extend male labour migration empower left-behind women in terms of family decision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decision making in Nepal. The findings show that male absenteeism is only contributed in a very limited way to the empowerment women. Aligned with previous literature, the roles of the women have increased in daily household activities such as decision on children education, selection of health facilities, purchase of household stuff, has increased substantially. However, they have not empowered to take the major household decision, specifically on purchase of land and build house, which demands huge financial investment. Such important decisions are still in domain of their husband from the distance (abroad) or by in-laws through the proxy. In terms of social participation, women are more forbidden instead empowered because of the lack of time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due to the increase in the household workload. In summary, this study shows that male absenteeism has only increased the burden of household workload to the left-behind women rather empowering them for participation in major decision and events. This research also finds that the empowerment of women in household, as well as social activities, depends on the individual capabilities of women, such as educational qualifications rather than the husband’s migration status, which directs policymakers to formulate policies and programs to enhance the capability of women in society.;남성 지배적 사회에서 많은 남성들이 해외로 취업하게 되면 이에 따라 가족을 위해서는 개인 차원의 결정, 그리고 사회를 위해 공적인 차원의 의사결정을 통해 권력을 갖게 된다. 대부분의 선행 연구들은 전통적인 남성 중심적 역할이 변화되고 자원에 대한 접근성이 여성에게 넘어가기 때문에 남성들의 부재와 남성들이 벌어온 돈이 여성에게 권한을 부여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남성이주노동으로 인해 본국에 남겨진 여성에게 가족 결정권과 사회 참여와 같은 권한이 주어지며 여성들의 세력이 확장된 네팔의 사례 분석을 통해 도출해낸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남성의 부재가 지극히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여성에게 권한을 부여했다는 것을 발견하기도 했다. 선행 연구와 해당 연구의 공통점은 아이들의 교육이나 건강 편의시설, 혹은 가정용품 구매 등을 결정하는 일상적인 부분에서 이전보다 더 많은 권한이 부여되었다는 점이다. 그러나 땅을 매매하거나 집을 짓는 것과 같은 중대한 경제적 결정권에 대한 권한은 여성에게 부여되지 않았다. 이러한 중대한 결정권은 멀리 떨어져 있는 남편에게 맡기거나 남편의 가족에게 위임되어 있었다. 사회 참여의 관점에서 볼 때, 늘어난 가사 노동으로 인해 시간이 부족해진 여성들의 세력은 확장되기 보다는 오히려 줄어드는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서 해당 연구는 남성의 부재는 남겨진 여성들에게 가사 노동에 대한 부담감만 더할 뿐 중요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지는 않는다는 점을 밝혀낼 수 있었다. 또한 여성의 사회적 참여와 가정에서의 권한은 남성의 이주와 같은 부재 상황이 아니라 교육과 같은 여성의 개인적인 능력에 달려있다는 것을 드러낸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는 정책 입안자들이 여성들의 사회 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