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Hannah Jun-
dc.contributor.authorKayiraba, Grace-
dc.creatorKayiraba, Grace-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2:34Z-
dc.date.available2020-02-03T16:32:34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24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249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3099-
dc.description.abstractGender equality and women’s EE(economic empowerment) are some of the most significant components of EGD(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and also a doorway towards women’s empowerment. These variables are interrelated and can assist in ending the scourge of inequality that has been a serious human concern for many years, especially in the developing world. Women’s empowerment remains an important component of social order and a channel to economic might. It is vital to the development of outstanding policy alternatives and other programs, as it considers women as equally important in bringing about fundamental change. Although their income is not always on par with that of their male colleagues and may not always be proportional to the kind of work women engage in, women work with zeal and are shown to be results-oriented. For the last five decade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encouraged institutional stakeholders to consider women as essential for national development and worthy of the same empowerment as their male peers, particularly in time of investment good fortunes and generating income. However, many of these attempts have failed because the focus has been on welfare rather than the concerns of development. “Over the past twenty years, some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such as the Self-Employed Women’s Association in Rwanda, have been effective in improving women’s economic status because they have started with the premise that women are fundamental to the process of economic development”. Women across the global south engage in serious and results-oriented work and their role towards national development is highly recognized. In post-genocide Rwanda, where women have been involved in many facets of governance, women are leading in several agricultural cooperatives at the village level, district level, national level. Their contributions towards national development are immense, including holding 61.3% of seats in the Rwandan parliament. This research examines the role of government policies to strengthen the EE of rural women in Rwanda. It will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such women as well as the challenges they face. It is discovered that although Rwanda has good political will and strong policies that offer women opportunities, the nation still has a problematic economic foundation that neglects unpaid labor of women, low pursuit of policies such as increased political participation of women, access to land, access to financial services and dispersed attention. A qualitative approach is used to analyze secondary data drawn from government reports and administrative data on gender and government policies. The study was conducted on Rwandan policies that aim to strengthen economic empowerment of rural women in Rwanda and investigated three main policies: (1) increased political participation, (2) access to land, and (3) access to financial services. “The study concluded that Rwandan government policies have a positive impact on rural women’s economic empowerment and contributes much to improving women’s livelihood”. ;성 평등과 여성의 경제적 역량강화는 경제 성장과 발전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두 요소들은 상관관계에 있으며 인간사회, 그 중에서도 개발도상국에서 심각한 문제로 꼽히는 불평등이란 재앙을 해소하는 일에 기여할 수 있다. 여성의 역량강화는 사회 질서에 있어 중대한 부분을 차지하며 경제적 권력으로 향하는 수단이다. 여성 역량강화는 근본적 변화를 불러일으켜 여성을 남성과 동일하게 기여하는 존재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뛰어난 대체 정책과 프로그램을 통해 발전의 궁극적 해결책이 될 수도 있다. 비록 여성의 임금은 여성이 종사하는 업무에 비례하여 고려할 때 남성의 임금과 동등하지 않지만 여성은 열정을 가지고 일하며 성과지향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 50년 간 국제 사회는 제도적 이해관계자들이 여성을 국가 발전에 필수적인 존재로 여겨야 한다고 강조하였으며 동시에 투자와 소득창출에 있어 남성에게 주어진 것과 같은 자율권을 여성에게 줄 것을 종용해왔다. 그러나 많은 여성 역량강화 시도는 발전 대신 복지에 초점을 둔 나머지 실패해왔다. 지난 25년 동안, ‘Self-Employed Women’s Association in Rwanda‘와 같은 몇몇 NGO들은 여성의 역할이 경제 발전에 필수적이라는 전제 하에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을 위해 활발히 활동해왔다. 제 3세계 여성들은 진지하고 성과지향적인 태도로 업무에 임한다는 점에서 국가 발전에 있어 그들의 역할은 높이 인정을 받고 있다. 대학살 이후 르완다에서는 여성이 관리직에 종사하는 비율이 증가하였고 여성들은 지역, 국가, 그리고 마을 규모의 농업협동조합을 이끌고 있다. 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그들의 역할은 61.3% 여성이 국회의 자리를 자치할 정도로 막대하다. 이 연구는 르완다 농촌 여성의 경제적 역량을 강화시키는 정부 정책의 역할을 검토하고, 현재 농촌여성의 지위와 그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조사했다. 해당 연구는 르완다가 긍정적인 정치적 의지와 더불어 여성에게 기회를 제공하는 강력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여전히 보수를 받지 못하는 여성들을 방치하는 부족한 경제적 토대와 미비한 정책 실현, 그리고 분산된 목표 의식이라는 문제점들이 남아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는 정부 보고서와 젠더와 정부 정책에 관한 행정적 데이터를 질적 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농촌 여성의 경제적 역량을 강화시키고자 하는 르완다 정책과 주요 정책들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르완다의 주요 정책으로는 우선 1) 정치적인 참여 증가, 2) 토지에 대한 접근성, 3) 재정적 지원에 대한 접근성으로 꼽을 수 있다. 연구 결과 르완다 정부 정책은 농촌 여성의 경제적 역량을 강화시키고 여성들의 가계를 개선할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을 지니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Introduction 1 A. Overview 1 II. Literature Review 8 A. Background 8 B. The Concept of Empowerment 12 C. Economic Empowerment of Women 15 D. Women and Empowerment 20 E. Political Empowerment 23 III. Government Policy and Economic Empowerment of Rural Women 27 A. Country background 27 B. Increased Political Participation 30 C. Leading Political Elites 35 D. Economic empowerment of the rural women in Rwanda 37 IV. Data Presentation and Analysis 42 A. Increased Political Participation 42 B. Women Access to Land 44 C. Women Access to Financial Services/Credits 46 V. Conclusion and Policy Recommendations 51 A. Conclusion 51 B. Policy Recommendations 54 C. Areas of Future Research 55 Bibliography 57 국문초록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12619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The Role of Government Policy on Strengthening Economic Empowerment of Rural Women in Rwanda-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국제학과-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