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81 Download: 0

한·중·일 세 언어의 품사 대조 연구

Title
한·중·일 세 언어의 품사 대조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Parts of Speech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Authors
LIU WANYING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최형용
Abstract
The present study redemonstrates the features of parts of speech in Korean cross-linguistically by comparing Korean language with Japanese and Chinese. For an appropriate comparison, the present study firstly bases on a macroscopic perspective to investigate the correspondence between existing categories of parts of speech which were established in each of the three languages. In reference to such corresponding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systematic correlation, the focus of the study is put on so-called nouns, verbs, and adjectives, which mean ‘object words’, ‘action words’ and ‘property words’ in this paper. The features of these three parts of speech are analyzed concretely from two aspects of function and distribution. Chapter I presents the background and purpose, reviews the preceding researches and then specifies the research methodology. Recently, in parallel with the studies on parts of speech in Korean as an individual language, cross-linguistical discussions between Korean and other languages have been increasing, especially others such as Japanese and Chinese. However, there are a lot of cases during the cross-linguistic studies on parts of speech relevant to Korean, Chinese and Japanese, or two of them have been discussed microscopically, which are based on the existing parts of speech systems derived from different classification processes in each language. In spite of that, cross-linguistic studies on parts of speech should retain the correspondences of parts of speech according to the systemic correlation for the all targeted languages. This phenomenon is regarded as the precondition for the discussions. Furthermore, the identification of the parts of speech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several languages should be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a certain standard of identification. The main purpose of Chapter II is to identify such correspondences for the comparison of parts of speech betwee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o reach this purpose, the concept of 'word' for the comparison of parts of speech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should be used to encompass both lexical words and grammatical words. After establishing the 'word' concept, it is argued that the identification of the parts of speech correspondence between these three languages should be on the basis of semantic criteria that can guarantee universality cross-linguistically. To identify the parts of speech correspondence betwee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based on semantic criteria, ten semantic categories of [object], [action], [property], [quantity/order], [unit], [deixis], [information-addition], [imitation], [exclamation], and other grammatical words can be set in the first step. Based on these semantic categories, correspondence of parts of speech betwee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an be identified. For convenience, these ten semantic categories are named as noun, verb, adjective, numeral, numeral classifier, demonstrative, adverb, onomatopoeia, interjection and other grammatical words. It should be noted that these categories for parts of speech are not used in the same sense as the existing parts of speech types. For example, nouns, verbs, and adjectives used in this paper should be interpreted as 'object words', 'action words' and 'property words'. In Chapter Ⅲ, Ⅳ and V, nouns (object words), verbs (action words) and adjectives (property words) are counted as the most significant sentence components among the newly established categories and compared in descriptive way. In the contrast analysis of nouns, verbs and adjectives, this paper focuses on two aspects of 'function' and 'distribution' which reflects grammatical specificity. Chapter Ⅲ firstly examines the functional and distributional features of general nouns, which are typical noun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Secondly, the discussion is focused on the functional and distributional specialty of proper nouns, bound nouns, and space-time nouns, which belongs to atypical nouns. As a result, the fact that proper nouns cannot be used with words including plural or demonstrative meaning represents only a superficial feature. Thus, the necessity for setting ‘proper noun’ is questionable for Korean, Chinese and Japanese. Bound nouns were established in existing studies both in Korean and Japanese because of their semantic features and distributional features. But these kinds of features are the ambiguous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a word is a bound noun. Bound nouns should be considered as part of the grammatical process. In addition, we also need to pay attention to some of the time nouns which can function as adverbials alone. These words should be considered as one type of time nouns but not adverb even though they have strong adverbiality in distribution. Moreover, locative nouns are special in terms of distributional co-occurrence with other nouns, which belong to space nouns. In this Chapter, such feature of locative nouns is also under discussion. After reviewing each subtype of nouns above mentioned, the words that are related to both nouns and verbs, or nouns and adjectives are also mentioned and their judgment of parts of speech are discussed at the end of Chapter Ⅲ. In Chapter Ⅳ, verbs are particularly divided into typical verbs and atypical verbs. In discussing the parts of speech characteristics of the verbs, intransitive verbs and transitive verbs are seen as the typical verbs. On the other hand, auxiliary verbs are seen as atypical verbs. After examining the functional and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typical verb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omprehensively, the criteria of distinction for intransitive verbs and transitive verbs are discussed. As a result, the question whether a verb is intransitive or transitive should be distinguished by whether there is a direct influence on the behavior of it. As subtypes of intransitive verbs and transitive verbs, they need to be subdivided according to whether the object is taken. Nonetheless, it is necessary to acknowledge that such distinctions are useful for dividing most of the verbs, but there are also some exceptional cases. Sometimes the noun appearing at object position is likely to be considered as the content or result of the action rather than the object of the action. Such case is a questionable example for distinction of intransitive verbs and transitive verbs.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category of intransitive-transitive verbs is also re-explained and the usage patterns of intransitive-transitive verbs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are examined. Atypical verbs refer to auxiliary verbs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in the current paper. It is suggested that so-called auxiliary verbs in existing studies need to be redefined based on grammaticalization, as in the case of bound nou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f a verb can be used as a general verb, but its meaning is abstracted, then it can be considered as an auxiliary verb. Chapter V focuses on adjectives. First of all,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adjectives generally can be used as both predicates and modifiers of nouns (or NP). Such adjectives can be considered as typical adjectives. Their functional and distributional features are examined in detail in the current chapter. On the other hand, there are four subtypes of atypical adjectives in Korean, Chinese or Japanese such like adjectives which cannot be modifiers of nouns, adjectives which cannot be predicates, adjectives which can only be predicates and adjectives which can only be modifiers of nouns (or NP). In this paper, the usage of adjectives are reviewed briefly which can only function as modifiers of nouns (or NP), because this type of adjectives exist in all three language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We also discuss the distributional constraints of this type of adjectives. In Chapter VI, nouns, verbs, and adjectives are related to the composition of numeral classifiers, and their relation of combination with numerals and numeral classifiers are respectively discussed. In a cross-linguistical view, Korean, Chinese and Japanese have been regarded as numeral classifier languages. Also, the numeral classifiers of these three languages are not only connected with nouns, but also verbs or adjectives. This belongs to an important part for discussions of grammatical features of nouns, verbs, and adjectives. Chapter Ⅶ summarizes the contents of this paper, identifies the limitations, and forecasts future research.;본 연구는 한국어의 품사를 일본어 및 중국어와 대조·비교함으로써 세 언어의 품사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규명하고 범언어적 시각에서 한국어의 품사적 특징을 재조명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 우선 거시적인 입장에서 한중일 세 언어의 품사 대조·비교를 위한 체계적 상관성에 따른 품사 간의 대응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문장에서 주된 문장성분을 담당하는 명사, 동사, 형용사를 중심으로 각각의 품사 특징에 대해 기능과 분포의 두 가지 측면에 착안해서 구체적인 대조 분석을 진행하였다. Ⅰ장에서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제시한 다음,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연구의 방법을 명시하였다. 최근 개별언어로서의 한국어 연구와 병행해서 범언어적 관점에서 한국어를 다른 언어, 이 가운데 특히 일본어나 중국어와 같이 다루는 논의가 점차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한중일 세 언어나 이 중의 두 언어를 대상으로 하는 품사 대조 연구는 개별언어적 연구에서 서로 다른 품사 분류 절차를 거쳐 도출된 품사 체계에 크게 의존해 미시적으로 논의를 진행했던 경우가 적지 않았다. 본고에서 범언어적 품사 연구의 경우, 논의의 대상 언어들을 위한 체계적 상관성에 따른 언어들 간의 품사 대응관계를 체계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논의 전개의 전제조건으로 보고, 이와 같은 품사 간 대응관계의 규명은 일정한 규명 기준의 설정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본고는 이와 같은 사고의 맥락을 기반으로 Ⅱ장에서 한중일 세 언어의 품사 대조·비교를 위한 품사 간 대응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한중일 세 언어의 품사 대조·비교를 위한 단어의 개념은 어휘적 단어와 문법적 단어가 모두 포괄되는 것으로 사용되어야 함을 밝혔다. 이와 같은 단어 개념을 확립한 후, 한중일 세 언어 간의 품사 대응관계의 규명은 언어 간의 보편성을 보장할 수 있는 의미적 기준에 따라야 함을 주장하였다. 의미적 기준에 따라 한중일 세 언어 간의 품사 대응관계를 규명하는 데에 우선 대상(object), 동작(action), 속성(property), 수량·순서(quantity/order), 단위(unit), 지시(deixis), 정보 추가(information-addition), 모방(imitation), 감탄(exclamation), 그리고 기타 문법적 단어의 열 가지 의미 범주가 모색될 수 있고 이와 같은 범주들을 기반으로 한중일 세 언어의 기존의 품사 유형과의 대응관계를 규명하였다. 논의의 편의상, 본고에서 이와 같은 의미 범주를 각각 명사, 동사, 형용사, 수사, 수 분류사, 지시사, 부사, 상징사, 감탄사, 조사로 명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유형들은 기존의 품사 유형들과 같은 개념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가령, 본고에서 말하는 명사, 동사, 형용사는 기존 논의에서 말하는 명사(noun), 동사(verb), 형용사(adjective)의 개념이라기보다는 의미적 기준에 따른 유형으로서 대상사(object word), 동작사(action word), 속성사(property word)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Ⅲ장, Ⅳ장, Ⅴ장에서 새로 설정된 품사 유형 가운데 문장을 형성하는 데에 가장 주된 문장성분을 담당할 수 있는 명사, 동사, 형용사, 즉 'object word', 'action word', 'property word'의 세 가지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어의 품사적 특징을 일본어와 중국어와의 대조·비교를 통해 각각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품사 대조 분석에 있어 본고는 문법적 특수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기능'(function)과 '분포'(distribution)의 두 가지 측면을 주된 검토 사항으로 삼았다. Ⅲ장 명사의 부분에서 일반 명사, 고유명사, 의존명사, 시공간명사를 구체적인 검토의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한중일 세 언어의 전형적 명사인 일반 명사의 기능적·분포적 특징을 살펴본 다음, 비전형적 명사류에 속하는 고유명사, 의존명사, 시공간명사의 기능적·분포적 특수성에 중점을 두고 논의하였다. 그 결과, 고유명사는 한중일 기존의 논의에서 복수 표현이나 지시의 의미를 가진 단어와 같이 사용할 수 없는 등 분포적 제약을 받는다는 인식이 있었으나 이와 같은 특성은 결국 표면적으로 노출된 특징일 뿐이며 본고에서 고유명사의 설정은 한중일 세 언어의 품사 특징을 밝히는 데에 그 필요성을 의심할 여지가 있고 고유명사를 보통명사에 포함시켜도 무방하다고 보았다. 의존명사는 한일 양 언어에 설정되는 명사의 하위유형이고 기존의 연구에서 의존명사는 의미적 형식성과 분포적 의존성을 근거로 이를 설정하였으나 본고의 검토를 통해 이들이 한일 양 언어의 의존명사를 판별하는 데에 모두 애매모호한 기준이며 본고에서 한일 양 언어에서 전통적으로 말하는 의존명사는 문법화 과정의 일환으로 간주해야 한다는 것으로 보았다. 또한, 시공간명사에 대해서 우선 시간명사 가운데 홀로 부사어 기능을 할 수 있는 단어들을 중심으로 이들의 품사성을 검토하였는데 본고에서 이와 같은 시간명사는 분포적으로 부사성이 강한 것으로 보고 이들이 홀로 부사어 기능을 할 수 있다는 것을 근거로 부사의 자격을 동시에 부여할 필요성에 대해 의문을 들었다. 또한, 방위명사에 대해서 이들이 일반 명사, 처소명사, 동사성명사 등과의 분포적 결합 양상에 있어 서로 다른 특징을 보여 주고 있는데 본고에서 이에 주목해서 방위명사와 다른 명사와의 분포적 공기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위와 같이 명사의 각 하위유형에 대한 검토를 한 다음에 명사와 동사, 그리고 명사와 형용사의 두 품사 유형과 모두 연관성이 있는 부류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들의 품사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Ⅳ장에서 동사의 품사적 특징을 다루었다. 우선 동사의 품사 특징을 논의하는 데에 전형적인 동사로서는 자동사와 타동사, 그리고 비전형적인 동사로서는 보조동사를 논의의 대상으로 삼았다. 한중일 세 언어의 전형적인 동사의 기능적·분포적 특징을 포괄적으로 살펴본 다음, 자동사와 타동사에 대해서 양자 간의 구분 기준을 명시하였다. 그 결과, 한중일 세 언어를 위한 자동사와 타동사의 구분은 의미적인 측면에서 동사의 나타나는 동작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대상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구분해야 하나 자동사와 타동사의 하위유형으로서 다시 목적어를 취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런데 본고에서 논의했듯이, 이와 같은 구분의 방법은 대부분의 동사를 나누는 데에 유용하나 이러한 기준을 적용하기에 어려운 경우도 없지 않음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 목적어 자리에 나타나는 것이 '동작의 대상'이라기보다 '동작의 내용이나 결과'로 간주될 가능성이 있는 일례를 통해 자타 구분의 어려움을 보여 주었다. 또한, 이와 같은 논의들을 기반으로 자타양용동사의 범주를 다시 명시하여 한중일 자타양용동사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비전형적 동사로서 한일 양 언어의 보조동사, 중국어의 능원동사, 추향동사, 형식동사를 같이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이와 같은 단어들을 의존명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문법화에 입각해서 그 범주를 다시 명시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으며 분석한 결과 일반 동사로서도 사용될 수 있지만 일반 동사에서 실질적 의미가 추상화되는 것으로도 사용되면 추상적 의미를 가진 경우를 보조동사로 간주한다고 주장하였다. Ⅴ장에서 형용사의 품사적 특징을 살펴보았는데 우선 한중일 세 언어의 형용사는 일반적으로 서술 기능과 체언 수식 기능을 모두 지니는데 이와 같은 형용사를 전형적인 형용사로 삼았고 이들의 기능적·분포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반면에 한중일 세 언어의 비전형적 형용사의 하위유형으로서 체언 수식 불가 형용사, 서술 불가 형용사, 체언 수식 전용 형용사, 서술 전용 형용사의 네 가지를 들 수 있는데 한중일 세 언어가 모두 가지는 유형으로서 체언 수식 전용 형용사가 있다. 본고에서 체언 수식 불가 형용사, 서술 불가 형용사, 서술 전용 형용사의 사용 양상을 간단하게 살펴본 다음에, 한중일의 체언 수식 전용 형용사에 대해서 그의 하위유형과 경계 범주를 살펴보았고, 체언 수식 전용 형용사의 분포적 제약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또한, 비전형적 형용사의 다른 일종으로서 한일 양 언어의 보조형용사가 있는데 본고에서 보조형용사도 보조동사의 경우와 같은 처리 방식으로 그 범주를 다시 확인하였다. 한편, Ⅴ장에서 동사와 형용사의 연관성 문제에 대해서도 살펴보았고 이와 관련된 단어들의 품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Ⅵ장에서 명사, 동사, 형용사를 수 분류사 구성과 연관시켜, 이들의 수사, 수 분류사와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각각 다루었다. 범언어적으로 봤을 때 한중일 세 언어는 모두 수 분류사가 발달된 수 분류사 언어로 간주되어 왔다. 또한 한중일 세 언어의 수 분류사는 명사뿐만 아니라, 동사 내지는 형용사와도 같이 일정한 구성체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용은 명사, 동사, 형용사의 문법적인 특징을 밝히는 데에 중요한 일환으로 본다. Ⅶ장에서 본고의 내용을 요약하고 이와 동시에 본고의 한계를 밝히고 앞으로의 연구 과제에 대해서 전망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