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6 Download: 0

중국계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음운 습득과 산출 오류 양상

Title
중국계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음운 습득과 산출 오류 양상
Other Titles
The Aspects of Korean Phoneme Acquisition and Articulation Error of Chines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 Focusing on Age 7 and 9
Authors
박지윤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창원
Abstract
본 연구는 학령 전후(前後)인 7세, 9세 중국계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음운 습득에서 나타나는 음운 산출 오류 양상이 어떠한지 실험 연구를 통해 살펴 보고, 다문화가정 아동의 음운 산출 오류 원인이 무엇인지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 선행 연구에서는 아동의 음운 인식과 관련한 음운 산출 오류, 그리고 장애 아동 조음 산출 오류가 중심이 되어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 다문화가정 아동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다문화가정 아동의 음운 산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취학 전 아동들의 언어 습득은 가정에서 먼저 이루어지는데, 다문화가정 아동은 한국어 능력이 부족한 부모로부터 양질의 모국어 교육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같은 또래의 한국인 아동보다 한국어 학습 능력이 뒤처질 수밖에 없고, 이 현상은 한국 사회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고 이탈자가 될 가능성이 크다. 이처럼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한국어 지원이 중요한데, 그에 대한 기초 연구로 다문화가정 아동의 음운 산출 오류에 관한 연구는 의의 있을 것이다. 기존의 다문화가정 아동의 음운 산출 오류는 주로 연구자 자의적 해석과 판단에 따라 논의가 이루어진 것이 많다. 따라서 객관성을 담보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음운 산출 오류를 실험 연구를 통해 오류 양상을 분석하고, 음운 산출 오류 원인을 음향음성학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중국인(한국계 중국인 제외) 어머니와 한국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나고 성장한 학령 전후(前後)인 7세, 9세 중국계 다문화가정 아동의 음운 산출 오류를 일반 가정 아동과 비교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아동은 만 5세에서부터 학령 초기까지 단어, 음절, 음소 단위로 음운을 습득해 나간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따라 학령 전후(前後)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음운 산출 오류가 연령에 따라, 그리고 중국인 어머니의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일반 가정 아동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음운 산출 과제는 초성·종성 산출, 중성 산출로 구성하였다. 다문화가정 아동이 음운 산출 오류를 보이는 원인은 다문화가정 중국인 어머니의 모어인 중국어와 한국어의 음운 체계 대조에 따른 현상일 것으로 보았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운 체계 대조에서 주목할 만한, 그에 따라 다문화가정 아동이 음운 오류를 보일 것으로 예측 가능한 음운을 유형화하였다. 초성ㆍ종성 산출 오류에서는 ① 평음, 경음, 격음 산출 오류, ② 파찰음 산출 오류, ③ 마찰음 산출 오류, ④ 설측음 산출 오류, ⑤ 종성 비음 산출 오류로 유형화하였고, 중성 산출 오류에서는 ① 단모음 산출 오류, ② 이중 모음 산출 오류로 유형화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는 데 있어 회수된 자료에 사용된 실증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독립 변수인 아동의 연령, 다문화가정 중국인 어머니의 한국어 숙달도에 따른 초성ㆍ종성의 산출 오류, 중성의 산출 오류를 파악하기 위해 평균 차이 검증인 이원 변량 분석(Two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 처리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가정 아동은 연령별로, 다문화가정 중국인 어머니의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음운 산출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아동의 연령이 적을수록 음운 산출 오류가 높았고, 다문화가정 중국인 어머니의 한국어 숙달도가 낮을수록 아동의 음운 산출 오류가 높았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음운 산출 원인을 고찰하기 위해 음향음성학적으로 살펴보았다. 기존 선행 연구에서는 연구자 청ㆍ지각적 판단에 따른 자의적 해석으로 연구의 객관성이 확보되지 못했는데, 본 연구에서는 Praat을 통해 음향음성학적 접근을 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아동의 음운 산출 오류 원인을 객관적으로 살필 수 있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평음, 경음, 격음 산출 오류에서는 폐쇄 지속 시간(Closure Duration : CD)과 후행 모음의 피치(Pitch), 성대 진동 시작 시간(Voice Onset Time : VOT)으로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 가정 아동 두 집단의 차이를 알 수 있다. 특히, 어중 경음의 폐쇄 지속 시간, 즉 폐쇄 구간의 길이 차이가 차이남을 알 수 있는데, 다문화가정 아동은 폐쇄 지속 시간이 짧았고, 일반 가정 아동은 폐쇄 지속 시간이 상대적으로 더 길었다. 이는 구강 폐쇄 이후 파열 단계에서의 공기압이 약한 상태로 파열되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그만큼 다문화가정 아동은 긴장성이 약하게 발음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한국어의 파열음과 파찰음은 조음할 때 기식성의 유무, 성대 긴장의 유무에 따라 ‘평음:경음:격음’으로 구별된다. 그러나 중국어의 파열음과 파찰음은 조음할 때 기식성의 유무에 따라 ‘유기음:무기음’으로만 구별된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아동은 경음을 변별해서 조음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기식이 ‘있다’ 또는 ‘없다’의 이원적 범주에 노출되어 온 다문화가정 아동들은 경음과 격음의 중간 정도의 기식성을 가진 평음을 발음할 때 그 정확한 지점을 찾지 못하고, 중국어에 존재하는 이원적 범주 중 어느 하나에 범주화시키게 되는 음운 산출 오류를 범하게 되는 것이다. 두 번째로 파찰음의 오류에 대해 살펴 보았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파찰음은 마찰 구간이 존재하여 스펙트로그램상의 음향적인 특징은 구강 폐쇄로 인한 폐쇄 구간이 보여 주는 묵음 부분과 구강 폐쇄의 개방으로 인해 만들어지는 무성 기간, 마찰 단계에서의 마찰 구간으로 측정하고 비교할 수 있다. 중국어 파찰음은 한국어 파찰음보다 더 다양한 조음 위치를 가진다. 치음, 권설음, 경구개음이 그것이다. 이는 포먼트를 측정함으로써 알아볼 수 있다. 다문화가정 아동은 일반 가정에 비해 성대 진동 시작 시간(VOT)이 길었고, 이는 구강 폐쇄로 인한 폐쇄 구간이 보여 주는 묵음 부분과 구강 폐쇄의 개방으로 인해 만들어지는 무성 기간이 다문화가정 아동이 일반 가정 아동보다 길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는 일반 가정 아동은 경구개와 가까운 경구개 파찰음으로 조음하는 데 반해 다문화가정 아동은 치조 경구개음으로 조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어의 파찰음은 모두 경구개 파찰음이지만 중국어는 ‘z, c, zh, ch, j, q’로 조음 위치가 더 다양하다. 그리고 개수에 있어서도 중국어의 파찰음은 모두 여섯 개로 한국어보다 두 배 많다. 특히, 한국어 평음 /č/에 해당하는 중국어 음소가 없기 때문에 중국인 어머니 모어에 영향을 받은 다문화가정 아동은 한국어 /č/를 산출하는 데 어려움을 보이는 것이다. 다음으로 마찰음 오류를 살펴 보았다. 마찰음의 조음 위치를 확인하려면 그 자체가 일정 기간 동안 고유의 음향 신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마찰음 자체의 스펙트로그램이 보여주는 소음의 분포 영역과 소음이 가장 강하게 관찰되는 주파수 대역을 관찰함으로써 그 조음 위치를 가늠해 볼 수 있다. 마찰음의 중심 공명 주파수대(formant frequency)는 좁힘점에서 입술까지의 길이에 따라 달라지며 공명 주파수대는 길이가 짧아질수록 주파수는 높아짐을 의미한다. 중심 공명 주파수대의 에너지는 좁힘점의 간극과 통과하는 기류에 따라 달라지는데 좁힘점의 간극이 작을수록, 통과하는 기류의 세기가 강할수록 에너지가 커진다. 다문화가정 아동은 주파수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일반 가정 아동은 치경구개 마찰음이라면 다문화가정 아동은 치조 마찰음이라는 점이다. 다음으로 설측음의 오류를 살펴 보았다. 다문화가정 아동은 종성 설측음 산출 오류가 많았다. 그 원인을 중국어의 권설음에서 찾았다. 얼화운(ㄦ化韻)의 음향적 특징은, F3의 주파수가 큰 폭으로 하강하여 F2에 접근하는데, F2에 접근하면 할수록 권설음이다. 그 이유는 F2는 혀의 앞뒤 위치인데, 혀가 뒤로 갈수록 F2는 낮아지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F3의 주파수가 큰 폭으로 하강하여 F2에 접근한다는 것은 권설음에 가깝다는 뜻이다. 표준 중국어에서 얼화운의 권설 동작은 운복과 거의 동시에 일어나므로, F3은 운복의 처음에서부터 하강 추세를 보이는데, 몇 백 Hz가 하강되기도 한다. 만약 F2의 주파수가 높은 경우, F3의 하강에 영향을 받아서 F2의 주파수도 하강될 수 있다. 다문화가정 아동은 F3가 F2로 하강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는 일반 가정 아동에게서 나타나는 현상은 아니고, 다문화가정 아동에게서 나타나는 현상인데, 다문화가정 중국인 어머니도 실험 결과 다문화가정 아동과 동일한 현상을 보였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은 어머니의 모어인 중국어 음운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종성 비음 오류에서는, 종성 비음은 포먼트를 측정하여 음운 산출이 실현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국어 종성 비음은 /m/, /n/, /ŋ/로 세 가지가 있다. 현대 중국어에서는 /n/만 있기 때문에 다문화가정 아동은 /m/와 /ŋ/에 대한 음운 오류를 많이 보였다. 단모음 산출 오류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다문화가정 아동은 /o/와 /u/ 음운 산출 오류를 많이 보였다는 점이다. 한국어 모음 /u/는 변이음으로 의미가 구별되지 않는데 중국어 모음 /u/는 [u]와 [ʊ] 두 가지 변이음이 존재한다. 다문화가정 아동은 중국어 /u/의 변이음인 [ʊ]의 영향을 받아 /u/와 /o/를 혼동하여 단모음 산출 오류가 일어남을 알 수 있다. 실제로 다문화가정 아동이 많은 오류를 보이는 것이 ‘시소’였다. ‘시소’의 ‘소’를 다문화가정 아동은 ‘수’로 발음하여 ‘시수’라고 음운 산출 오류를 보였다. 많은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오류를 보였는데 이에 대한 근거는 바로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한국어의 이중모음은 중국어에 비슷한 음운이 없는 경우가 많다. 포먼트를 측정한 결과, 다문화가정 아동은 이중모음 산출에 오류를 발생하였다. 이중모음 /ㅑ/[ja], ㅒ/[jɛ/, /ㅢ/[ɨj]를 제외한 이중모음은 중국어에 비슷한 음이 없어 조음할 때 어려움을 겪어, 다문화가정 아동이 이중모음 산출 오류가 발생하였다. 특히, 이중모음 /ㅘ/[wa], /ㅝ/[wʌ]는 중국어와 비슷한 음이 없어 이중모음을 단모음으로 조음하였는데, 다문화가정 아동은 이처럼 이중모음을 단모음화하여 음운 산출 오류를 일으킨다.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행한 실험을 다문화가정 중국인 어머니에게도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중국인 어머니의 음운 산출 오류는 다문화가정 아동과 같은 음운 산출 오류를 보였고, 음향음성학적으로 비교ㆍ분석하였을 때도 그러하였다. 이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모어인 중국어 음운 체계가 아동이 음운을 습득해 나가는 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기존 논의에서는 객관적 분석이 부족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Praat을 통해 음향음성학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과 다문화가정 아동의 음운 오류 사례의 원인을 음향음성학적으로 설명 기술이 가능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논의에서 발전된 연구라 하겠다. 본 연구는 그동안 미진하였던 다문화가정 아동의 음운 산출 오류를 실험 연구를 통해 음운 산출 오류 양상을 분석하고, 그 원인을 중국인 어머니의 모어인 중국어와 한국어의 음운 체계 대조를 통해 음향음성학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research studies how 7-year-old, 9-year-old Chines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who are too young to go to school or who are old enough to go to school, make errors in phoneme articulation while learning Korean and aims to consider the cause of these phoneme articulation errors that the children make. In precedent research, the main discussion was about a child’s phoneme articulation error related to phoneme acknowledgment and a handicapped child’s articulation articulation error. Despite the continuous increase in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not enough phoneme articulation research is taking place for them. Language acquisition of preschool children takes place at home first, but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 cannot receive high-quality mother-tongue education since one of the parents cannot speak Korean fluently. Thus, these children academically fall behind other Korean children, who are at the same age. This phenomenon can lead thes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to become a seceder of Korean society. This is why Korean support is important for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Therefore, a study on phoneme articulation error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will have significance as basic research. The precedent study on phoneme articulation error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 was mainly focused on the researcher’s interpretation and judgment. Thus, a study that guarantees objectivity is needed. This study analyzes the pattern of phoneme articulation error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through experiments and considers the cause for these errors in acoustic phonetics way. I compared the phoneme articulation error of Chines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who are at age 7 and 9 and who were born between Chinese mother(Korean-Chinese excluded) and Korean father, to the phoneme articulation error of Korean family child. One of the children were too young to go to school and the other one was old enough to go to school. In preceding research, it was reported that children aged from 5 to 9, which is the age that starts school, learn a sound source by learning a word, syllable, and phoneme. Thus, I chose children who are too young to go to school and who are old enough to go to school. I wanted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 and Korean family child on phoneme articulation error depending on the age and Chinese mother’s Korean proficiency. I composed the phoneme articulation assignment by articulating the initial sound·final sound and articulating the middle sound. The cause of a multicultural family child to make phoneme articulation error is the difference in the phonological system of Chinese, which is the mother-tongue of a Chinese mother, and Korean. Thus, I categorized phoneme which is noticeably different between Korean and Chinese and is expected for a multicultural family child to make errors. For initial sound·final sound errors, I categorized ① lax consonants, a fortis, aspirated sound errors, ② an affricate articulation error, ③ fricative sound articulation error, ④ a lateral sound articulation error, and ⑤ final nasal sound articulation error. For middle sound error, I categorized ① a single vowel articulation error and ② a diphthong articulation error. Here is the analysis method of actual proof used for collecting data for conducting this research. First, I conducted the Frequency Analysis to find out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 Second, to apprehend the initialㆍfinal sound articulation error, middle sound articulation error based on the child’s age,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Chinese mother’s Korean proficiency, I conducted Two Way Anova which examines the average difference. The analysis method of actual proof for the research has been reviewed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05 and the statistical treatment was analyzed by using SPSSWIN 25.0 program.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s phoneme articulation errors based on the child’s age and the Chinese mother’s Korean proficiency. As the child was younger, there were more phoneme articulation errors, and as the Chinese mother’s Korean proficiency is low, the child made more phoneme articulation errors. To consider the cause for a multicultural family child’s phoneme articulation, I studied the matter in an acoustic phonetics perspective. In preceding research, objectivity has not been secured due to the researcher’s interpretation based on auditoryㆍperceptual judgment. However, this research studied the cause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s phoneme articulation error with objectivity by approaching it in an acoustic phonetics perspective through Pratt. I could see the difference between a multicultural family child and a Korean family child in lax consonants, fortis, aspirated sound articulation errors by studying Closure Duration and pitch, Voice Onset Time of following vowels. Especially, there was a difference in Closure Duration of syllable fortis, in other words, the length of Closure sections was different.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 had relatively short Closure Duration and the Korean family child had relatively longer Closure Duration. This means it was ruptured with a weak pneumatic condition at the rupture stage after the atretostomia stage. In other words,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 has weak tonicity in pronunciation. Korean plosives and affricate categorize into ‘lax consonants; fortis; aspirated sound’ based on the existence of breathy sound and vocal cord strain when they are articulated. However, Chinese plosives and affricate only categorize into ‘aspirated sound; unaspirated sound’ based on the existence of breathy sound when they are articulated. Thus, a multicultural family child finds it difficult to make a sound by distinguishing fortis. A multicultural family child who has been exposed to the dualistic category of the existence of breathy sound cannot find the articulate spot when pronouncing lax consonants that have a medium level of breathy sound, compared to fortis and aspirated sound. Thus, they make phoneme articulation errors by categorizing the lax consonants in fortis or aspirated sound. Secondly, I will talk about the errors of affricate. Korean affricate and Chinese affricate have friction sections, so both of them have acoustic characteristics in the spectrogram: they have silent syllable section which Closure Section show due to mouth closure, the silent period which is caused by the opening of mouth closure, and friction section appearing in friction stage. These can be measured and compared. Also, Chinese affricate have more various articulation spots compared to Korean affricate. Dental sound, retroflex consonant, palatal consonant are the ones. We can recognize them by measuring the formant.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 has relatively longer VOT than Korean family child, and this indicates that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 experiences longer silent syllable section, which can be seen at Closure section caused by mouth closure, and silent period, which is caused by the opening of mouth closure, than Korean family child. Korean family child articulates the sound by articulating alveolus and alveolus palatal consonants but a multicultural family child articulates the sound by articulating palatal alveolus consonants. Although Korean affricate is hard palate affricate, Chinese one has more various articulation spots such as ‘z, c, zh, ch, j, q’. Moreover, the number of Chinese affricates is 6 which is twice as many as the Korean one. Especially, Chinese phoneme does not have one for Korean lax consonants /č/. Thus, a multicultural family child who is affected by a Chinese mother finds it difficult to articulate Korean /č/. Next, we are going to look at the fricative sound errors. To find and guess the articulation spot for fricative sound, we should observe the frequency section which shows the distribution section of noises and the loudest noises in the spectrogram of fricative sound because the fricative sound has its sound signals which last for certain period. The main format frequency of friction sound depends on the distance between the narrow spot to the lips, and as the format frequency gets shorter and shorter, the frequency gets higher and higher. The energy of the main format frequency changes depending on the gap of narrow spot and air passing through it. As the narrow spot gets smaller and smaller and the passing air gets stronger and stronger, the energy gets bigger. The fact that we can learn through the frequency is that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 uses alveolo-palatal sibilant and the Korean family child uses alveolus fricative sound. Let’s look at a lateral sound error.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 makes many final lateral sound articulation errors. That is because of the effect of Chinese retroflex consonants. The acoustic characteristic of Ulhwaun(ㄦ化韻) is that it falls greatly to where the frequency of F3 is large and gets close to F2, and as it gets close to F2, it becomes retroflex consonants. That is because F2 is located in the front of and the back of the tongue, and as the tongue moves to the back, F2 becomes lower. Thus, when Ulhwaun falls greatly to high F3 frequency and gets close to F2 indicates that it is close to retroflex consonants. In standard Chinese, the retroflex action of Ulhwaun appears at the same time as the single vowel between the head sound and the last sound of the last syllable of the Chinese word appears. While this appears, F3 shows a fall in the beginning, and it even falls a few hundred Hz. If the frequency of F2 is high, it is affected by the fall of F3 and the frequency of F2 may fall as well.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 we can see the fall of F3 to F2. This does not happen in Korean family child but happens only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 It can be found in the Chinese mothers as well. Thus, I found out that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 is affected by the phoneme of the mother’s first language, Chinese. In final nasal sound errors, I could see whether the sound articulation appears or not by measuring the formant of a final nasal sound. There are 3 Korean final nasal sounds: /m/, /n/, /ŋ/. However, there is only /n/ in modern Chinese, so multicultural family child makes many phoneme errors in /m/ and /ŋ/. What we need to focus on single vowel articulation error is that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showed many /o/ and /u/ phoneme articulation errors. Although Korean vowel /u/ cannot be distinguished due to variation tone, Chinese vowel /u/ has two variation tones, [u] and [ʊ].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 is affected by the Chinese variation tone [ʊ] of /u/ and makes single vowel articulation errors because he/she is confusing /u/ and /o/. In fact, many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make errors in pronouncing ‘Siso’. They pronounce the ‘so’ as ‘su’ and make phoneme articulation error of saying ‘Sisu’ instead. Here is the cause for many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to make that error. Korean diphthong may not have a similar phoneme in Chinese. After measuring the formant, I found out that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make errors in articulating diphthong.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make [ə] sound between syllables due to the interruption of Chinese ‘iu’, and make errors. They were affected by triple syllables ‘iao’[iɑʊ] and added [ɑ] sound between syllables and made the word sound like triple vowels. I conducted the same experiment with Chinese mothers from a multicultural family. They showed the same phoneme articulation errors as their children and showed the same comparison results and analysis results to all the experiments in acoustic phonetics perspectives. In the preceding research, the objective analysis was insufficient, but this research analyzed the results in acoustic phonetics perspective through Praat and explained the cause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phoneme errors. Thus, this research can be seen as a more improved study.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analyzing phoneme articulation errors by conducting experiments on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 which were uncompleted in the past, and finding the cause of errors by comparing the phone system of Chinese, the mother’s first language, and Korean in acoustic phonetics wa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