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6 Download: 0

林群鴻(1912-1979)의 作品世界 硏究

Title
林群鴻(1912-1979)의 作品世界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oeuvre of Lim Gunhong
Authors
김해리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소연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works of Lim Gunhong(1912-1979), the modern artist of Western painting, who defected to North Korea and give art historical meaning. As a home-grown Western-style painter, he took an active part in various exhibitio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but emigrated to Hankou, China during the background of mounting tension of Asia-Pacific War in 1939. He returned to Seoul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in 1946 and defected soon to Nor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He continued to perform his works, going through entirely different social systems from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rough Modern Period of China, to North Korea. Lim used to across boundaries between fine arts and commercial arts managing an art advertising company three times before the defecting. Therefore, his whereabouts covers Modern Period of China, North Korea, omitted in Korean Modern Art history, and commercial arts. Before lifting of the ban against South Korean defector artists in 1988, his works were released to the public first by the exhibition from his bereaved and articles in art magazines. In comparison, academic discussions about him are currently inadequate. While plenty of his descended works are before the defecting to North Korea, he mostly does not emerge from the description of Modern Art history before the Liberation and is only fragmentarily mentioned, included as one of the South Korean defector artists. In other words, most of his verifiable works were made in Colonial and Liberation Period, introduced by exhibitions, but academic discussions are only focussing on his defecting. Such as discrepancy caused the vacuum of studies on Lim. Based on the aforementioned critical mind, this study tried to reconstruct his life and background of his producing works as much as possible, examining a number of his works, rough sketches in his sketchbooks, self-made scrapbooks, photographs, related art publications and illustrations. This is an attempt which investigates his artistic stem with his materials in its own way because he did not pass any institutions or study under any specific teacher. For this, his works as well as collections were firstly arranged and verified, and secondly investigating accounts or processes of productions of his works were focussed by tracing private and social contexts at that time. In case of difficulties in an actual observation about his whereabouts after the defecting, an attempt was made to reconstruct his life and works through books of culture and art world, published from North Korea. The character, penetrating his works is that he endeavored to change constantly. Starting with taking an elementary art education, he strived to forge his own style, devouring illustrations, visual cultural objects and art books. But he did not only absorb passively the sources. Rather, he started to pursue a modernist artist model by organizing a small group, launching into commercial arts which acrossed the boundary of fine arts, having nonpolitical activities distant from artist groups in Liberation Period. Also his attitude, producing changes through acceptance of wide influnence, became motive on which he survived as an artist also after defecting to North Korea. He continued his art making which corresponded to repeatedly modified keynotes of culture and art section in North Korea and he turned from oil painting to Korean painting in his later years. That is to say, the traictory of his works, reflecting development of ages and societies, accommodates the dynamic of Korean modern history, even if his painting did not reach a certain style. In this study, Lim Gunhong's works were art historically analyzed with summarizing of his life on the edges of Korean Modern art history. The damage from ideological confrontations also partially sought to be repaired at a academic level by researching the artist banned for a long time because of the defecting to North Korea. This is a try shedding a new light on an artist as an individual and further has significance for supplementation to scarcity of Korean Modern Art history.;본 연구는 한국 근대 양화가이자 월북화가인 林群鴻(1912-1979)의 작품세계를 파악하고 미술사적 의미를 부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일제강점기 임군홍은 국내파 양화가로서 각종 전람회에서 활약했으나, 아시아태평양전쟁이 고조되던 1939년 중국의 한커우로 이주한다. 그는 해방을 맞아 1946년 서울로 귀국, 이내 1950년 6·25전쟁 중 월북한다. 임군홍은 일제강점기와 근대기 중국, 해방기를 거쳐 북한까지 판이한 성격의 사회 체제를 여러 번 거치면서 畵業을 지속해 왔다. 그는 월북 이전까지 세 번의 미술광고사를 운영하며 순수미술의 영역과 상업미술의 영역을 넘나들기도 하였다. 따라서 화가 임군홍의 행적은 한국 근대 미술사에서 누락되어 온 근대기 중국, 북한, 그리고 상업미술의 영역에 걸쳐져 있는 것이다. 1988년 월북화가들에 대한 해금조치가 단행되기 이전, 임군홍의 작품들은 유족들에 의한 전시와 미술잡지의 기사를 통해 먼저 대중에게 소개되었다. 이에 비해 임군홍에 대한 학술적인 논의는 미비한 실정이다. 현전하는 임군홍의 작품은 월북 이전의 것이 월등히 많은 반면, 그는 해방 전 근대 미술사의 서술에서는 거의 등장하지 않고 월북화가 가운데 한 명으로 포괄되어 단편적으로만 언급되고 있다. 즉 현재 확인 가능한 그의 작품 대부분은 일제강점기와 해방기에 제작되었으며, 전시회에서도 그 그림들이 공개되지만, 학술적인 논의들은 월북했다는 이력에만 치중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괴리는 임군홍 연구의 전반적인 공백을 만들어 냈다. 전술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본 연구는 유족이 소장하고 있는 임군홍의 수많은 작품들과 스케치북, 스크랩북, 사진 자료, 미술 관련 서적과 도판들을 검토하여 생애와 작품 제작 배경을 최대한 복원하고자 했다. 이는 임군홍이 전문적인 미술교육 기관을 거치거나 특정한 스승을 사사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가 가지고 있던 자료들로 나름대로의 畵脈을 밝히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일차적으로는 그의 작품과 소장품을 정리 및 확인하였으며, 다음으로는 개인적·사회적 맥락을 추적하여 작품이 만들어지게 된 경위나 과정을 밝혀내는 데 집중하였다. 작품과 자료를 실견하기 어려운 월북 이후의 행적의 경우 북한에서 발행한 문예계 서적을 통해 그의 삶과 작품세계를 재구성하고자 했다. 임군홍의 작품세계를 관통하는 특징은 끊임없이 변화를 시도했다는 점이다. 그는 기초 미술교육을 받은 것을 시작으로 작품 도판, 시각문화물, 미술 서적 등을 탐독하여 자신의 화풍을 구축하고자 했다. 하지만 임군홍이 사료들을 수동적으로 흡수한 것만은 아니다. 오히려 이를 토대로 임군홍은 소그룹 조직, 순수미술의 경계를 넘은 상업미술로의 진출, 해방기 미술계 집단들과 거리를 둔 비정치적 활동을 통해 모더니스트 미술가 상을 추구한다. 또한 광범위한 영향을 수용하여 변화를 이끌어 내는 그의 태도는 월북 후에도 미술가로 생존할 수 있었던 동력이 되었다. 그는 북한 문예계가 거듭 수정해 간 기조들에 부합하는 작품 활동을 지속했으며, 말년에는 유화에서 조선화로 선회하기도 한다. 즉 임군홍의 화풍이 하나로 수렴되어 일각을 이루었다고는 할 수 없을지라도, 시대와 사회의 전개를 반영하는 작품들의 궤적은 격변의 한국 근대사를 담지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한국 근대 미술사의 변두리에 머물러 있었던 임군홍의 생애를 개괄하고 작품 세계의 미술사적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또한 북한행을 택했다는 이유로 오랜 시간 함구되었던 화가를 연구함으로써 학술적인 차원에서 이념 대립으로 인한 피해를 일부 복구하고자 했다. 이는 화가 개인을 재조명하는 일이면서도, 더 나아가 아직 채 메워지지 못 한 근대 화단의 역사를 조금이나마 보완하고 있음에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