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95 Download: 0

아르테 포베라(Arte Povera) 작업에 나타난 비판의식

Title
아르테 포베라(Arte Povera) 작업에 나타난 비판의식
Other Titles
A study of the critical consciousness shown in Arte Povera
Authors
이유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진경
Abstract
본 논문은 1960년대 중반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아르테 포베라(Arte Povera)에 나타난 비판의식에 관한 연구이다. 그간 아르테 포베라에 대한 연구는 이탈리아의 사회 문화적 배경 안에서 논의되기보다는 형식적이고 미학적인 측면에 치우쳐 왔으며, 따라서 아르테 포베라는 개념미술, 미니멀리즘 미술 등 국제적인 예술 흐름의 한 부분으로서 인식되어왔다. 이러한 시각과는 달리 본 논문은 아르테 포베라의 태동과 출현을 1960년대 이탈리아의 구체적인 시대적 맥락과 연관지음으로써 이를 동시대의 비판의식을 담지한 예술 동향으로서 고찰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논의의 대상으로 삼은 1965-1971년의 이탈리아 사회는 전후의 산업발전과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른 여러 사회적 병폐들이 나타나면서,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이 확산되는 등 사회적 불안이 증가하던 시기였다. 이렇듯 사회적 변혁의 시기에 태동한 아르테 포베라는 1960년대의 저항문화의 흐름 안에서 작품을 통해 정치, 경제, 문화 전반에 작동하는 기성의 위계와 관습적인 가치 질서에 대항하였고, 회화, 조각, 설치와 같이 다양한 매체와 형식을 통해 동시대의 비판의식을 직간접적으로 표출하였다. 아르테 포베라의 작업에서 비판의식은 여러 양상으로 나타났는데, 아르테 포베라 작가들은 이탈리아의 국내외에 작동하는 정치적 권력구조를 비판하기 위해 매스컴을 통해 보도된 정치적 사건 혹은 사회적 이슈와 관련된 이미지와 문자를 작품의 소재로 차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확대된 미국의 정치적 패권, 청산되지 않은 이탈리아 파시즘의 역사 그리고 국내 정치의 이념적 갈등에 대해 언급하였다. 나아가 이들은 소비 사회 속 만연한 물질 중심의 가치에 대항하기 위해 현대 문명의 대척점에 있는 원시적 소재를 활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후기 자본주의 사회의 상품 생산 방식을 자연적 소재와 결합함으로써 상품의 교환 가치가 예술품의 가치와 동일시되는 소비 사회의 물질중심주의를 비판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르테 포베라 작가들은 기존 미술계에 존재했던 문화의 위계와 전통적인 미학적 가치에 문제를 제기하였다. 이들은 형식주의 모더니즘이 추구하는 모더니티의 의미 체계에 비판적으로 도전하기 위해 비고정성의 개념을 작업 방식으로 도입하고 작품의 창작 과정에서 비예술가의 참여를 허용하는 등 예술의 자율성과 독창성의 개념, 더 나아가 미술 시장과 미술 제도에 대항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아르테 포베라 작가들이 수행하였던 다양한 미술 실천의 전략들이 당대 사회에 잔존하는 기성의 가치에 대한 비판의식에 근거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본 논문은 아르테 포베라의 사회 문화적 맥락을 확인함으로써 첼란트가 1967년에 발표한 선언문, “아르테 포베라: 게릴라 전투를 위한 노트(Arte Povera: Appunti per una guerriglia)”의 역사적 중요성을 재고하였으며, 이를 통해 그동안 심미적이고 미학적인 예술품으로서 미술사에서 논의되어 온 아르테 포베라의 동시대적 가치를 회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고자 한다. ; This dissertation is a study of the critical consciousness shown in Arte Povera that emerged in the mid-1960s throughout Italy and abroad. Previous studies on Arte Povera were constrained to formal and aesthetic aspects rather than being discussed 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Italy, which had resulted Arte Povera to be recognized only as a part of the international artistic trends, such as Conceptual art or Minimalist art. The present study, on the contrary, attempts to discuss the birth and emergence of Arte Povera in connection with a specific historical context of Italy in the 1960s, considering it as an art trend that encompasses the critical consciousness of the time. The Italian society from 1965 to 1971 to be discussed in the present study was a time when there was increasing social unrest such as student activism or labor movement caused by postwar industrial development and rapid economic growth. Emerged from such time of social transformation amid the counterculture of the 1960s, Arte Povera used artworks to defy the established hierarchy and customary order of values adopted throughout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while expressing the critical consciousness of the time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various media and forms such as paintings, sculptures, and installations. Critical consciousness is illuminated by the artworks of Art Povera in various ways. Arte Povera artists borrowed images and texts related to political events or social issues from the broadcasted media, in order to criticize the political power structure established in Italy and abroad—through which they referred to the expanded political hegemony of the United States after World War II, the unsettled history of Italian Fascism, and the ideological conflicts in domestic politics. Moreover, the artists utilized primitive materials that stand on the other end of spectrum against the modern civilization in order to resist the materialist values prevalent among the consumer society. Not only that, they combined the natural material with commodity production of post-capitalist society to criticize materialism that equate the value of exchanged goods with the value of artworks. Lastly, Arte Povera artists questioned the hierarchy of culture and traditional aesthetic values that existed in the established art world. To critically challenge the semantics of modernity pursued by Formalistic Modernism, they adopted the concept of non-rigidness as their working method and allowed participation of non-artists during the creation process to challenge the concept of autonomy and creativity in art, even against the art market and art system. Through this analysis, the present study confirms that various artistic strategies performed by Arte Povera artists have been based on critical consciousness against the established values left in the society of the time. The present study sheds light upon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manifesto published by Germano Celant in 1967, “Arte Povera: Appunti per una Guerriglia”, through which it restores the contemporary value of Arte Povera that had been discussed in art history only as aesthetic artworks and only for its aesthetic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