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진경-
dc.contributor.author윤수정-
dc.creator윤수정-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2:29Z-
dc.date.available2020-02-03T16:32:29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32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325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3081-
dc.description.abstractThis dissertation discusses a study that contemplates on the concept of reality in Korean Minjung art in the 1980s, from a feminist perspective. From the late 1970s to early 1980s in Korea, the movements against the existing authorities were materialized in each area of the entire society; in such an atmosphere, Minjung artists faced the reality and pursued artworks that embodied their critical minds. This study questions whether their efforts to face the reality had included the reality and experience of women, addressing the discussion from a feminist perspective. The first chapter of the text, Chapter Ⅱ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reality and gender that have emerged over the course of contemporary Korean art before analyzing the artwork. For the concept of reality in Korean contemporary art, this study endeavors to point out the time and context behind how discussions on sex and gender issues has begun.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Minjung art by focusing on the small groups, addressing the sexual variation that existed within the process and the influence such sexual characteristics have exerted upon forming of the concept of reality in Minjung art. Through this, the study confirms that the Minjung art developed in the 1980’s was mainly led by male artists to pursue nationalism and a single ethnic identity. In Chapter Ⅲ, the concept of reality in Minjung art i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by its contents, then mutually compared with the works of female artists to contemplate on gender-related issues connoted in the concept of reality among the Minjung artists. First, characteristics of gender discrimination were found in the symbolic system of each gender illustrated in the artworks that portrayed the reality of the motherland amid the diversified international order. Second, Minjung artists maintained a male-centered perspective and excluded female experience when depicting the reality of urban-rural polarization. Third, they displayed a tendency to assimilate women’s struggling experience into the patriarchal order and to marginalize the women’s role when reenacting the reality of struggles for democracy. Lastly, Minjung artists asserted liberation of the working class and their arts reflected the reality of the workers in the industrial society—while defining the working class as male, reenacting the reality of labor according to hierarchical gender division of labor, and making the labor of women invisible. The gender issues presented in Minjung art had been pointed out by previous studies, but only to a limited extent or without the specific context of the times. Conscious of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therefore attempts to analyze the meaning of gender implied in artworks with consideration of specific social context related to the artists’ concept of reality. Since Minjung art was the art movement that reenacted the reality of the time and brought critical perspectives to light, focusing o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time and examining various aspects in their concept of reality from a feminist perspective are indeed meaningful in terms of broadening the multi-dimensional horizons of Minjung art stud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also be found in its exposure of the gender-discriminating structure implied in the concept of reality in Minjung art and the consequential marginalization of women, thereby pointing out the male-centered logic in Minjung art movement and providing more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universal value of people’s liberation those artists had sought. ;본 논문은 1980년대 한국 민중미술의 현실개념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 이를 여성주의의 시각에서 성찰한 연구이다. 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 초의 한국 사회 전반에서는 기존의 권력에 저항하는 움직임이 사회의 각 영역에서 구체화되었고,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민중미술가들은 현실을 직시하고 그것에 대한 문제의식을 품어 작품 안에 녹여내는 작업을 추구하였다. 본 연구는 이 같은 그들의 현실을 직시하려는 노력에 여성의 현실과 경험이 포함되어 있는지 질문을 던지고 이를 여성주의적으로 논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문의 첫 장인 Ⅱ장에서는 작품 분석에 앞서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 속에 나타난 현실개념과 성(性)의 관계를 고찰해보았다. 한국 현대미술에 나타난 현실개념에 있어서 성과 젠더의 문제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시기와 그 맥락을 시대사적으로 짚어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민중미술의 전개 과정을 소그룹을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그 안에 존재했던 성적 편차에 대해 짚어보고 그러한 성적 특성이 민중미술의 현실개념을 형성하는데 미친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1980년대 전개된 민중미술운동이 남성미술가들이 주축이 되어 단일한 민중과 민족 정체성을 지향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민중미술의 현실개념을 그 내용에 따라 네 가지로 구분하고 여성미술가들의 작품과 상호 비교하면서 민중미술가들의 현실개념에 담긴 성과 관련된 문제점들을 성찰해본다. 첫째로, 다변화된 국제질서 속 조국의 현실을 드러내는 작품에 나타난 각 젠더는 상징체계에 있어 성차별적 특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둘째로, 농촌과 도시의 양극화된 현실을 표현함에 있어 민중미술가들은 남성 중심의 시각을 유지하면서 여성의 경험을 배제하는 결과를 낳았다. 셋째로, 당시 민주화를 위한 투쟁의 현실을 재현함에 있어서 여성의 투쟁 경험을 가부장적 질서로 편입시키며 그들의 역할을 축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민중미술가들은 노동계급의 해방을 주장하며 산업사회 속 노동자의 현실을 작품에 반영하였지만 노동자 계급을 남성으로 규정하고 위계적 성별 분업 체계에 따라 노동 현실을 재현하면서 여성의 노동을 비가시화하였다. 민중미술에 나타난 성의 문제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지적되기는 하였으나 단편적으로 언급되거나 시대의 구체적 맥락과 함께 서술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한계를 의식하면서 그들의 현실개념과 연결되는 구체적인 사회적 맥락을 고려하며 작품에 함축된 성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민중미술이 당대 현실을 재현하고 문제의식을 드러낸 미술운동이었다는 점에서 당시의 시대적 맥락에 주목하며 그들이 가졌던 다양한 현실개념의 국면들을 여성주의적으로 바라보는 일은 민중미술 연구를 보다 입체적으로 확장하는데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불어 민중미술의 현실개념에 함축된 성차별적 구조와 그로 인한 여성의 소외를 드러냄으로써 민중미술운동에 담긴 남성 중심의 논리를 지적하고 그들이 추구하였던 민중 해방이라는 보편적 가치의 의미를 재고하였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민중미술의 현실개념과 성(性)의 관계 6 A. 성(性)으로 본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 속 현실개념 6 B. 소그룹 활동으로 본 민중미술의 현실개념과 성 16 Ⅲ. 작품에 나타난 현실개념에 대한 여성주의적 분석 27 A. 국제정치질서 속 조국의 현실을 상징하는 성 27 B. 도시와 농촌의 양극화된 현실에 함축된 젠더 36 C. 민주화를 위한 투쟁의 현실 속 성별 45 D. 노동계급의 현실에 담긴 성적 위계질서 52 Ⅵ. 결론 60 참고문헌 64 도판목록 72 도판 75 ABSTRACT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9063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1980년대 한국 민중미술의 현실개념에 대한 여성주의적 성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oncept of reality in Korean Minjung Art Movement in the 1980s, from a feminist perspective-
dc.format.pagevi,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