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4 Download: 0

한국 성인에서 섭취 식품의 다양성과 당뇨병 전단계의 상관성 연구

Title
한국 성인에서 섭취 식품의 다양성과 당뇨병 전단계의 상관성 연구
Other Titles
Association between Dietary Diversity and Prediabetes in the Korean Adults : A Community Based Cohort Study
Authors
황은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양하
Abstract
식습관과 생활습관의 변화로 당뇨병의 유병률이 증가하는 추세 속에서 당뇨병의 증가를 막기 위한 예방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당뇨병의 증가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당뇨병 전단계에서의 예방과 관리가 중요하다. 혈당조절에 있어 식사요법은 중요한 부분이며, 섭취 식품의 다양성에 따른 식품 섭취량과 영양소 섭취량을 살펴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성인에서 섭취 식품의 다양성과 당뇨병 전단계의 상관성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인 유전체 역학조사사업(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지역사회기반 안산안성코호트 자료를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40~69세 성인 7,405명(남성 3,392명, 여성 4,0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01년 기반조사부터 2014년 6차 추적조사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섭취 식품의 다양성을 평가하기 위해 식품군 점수(Dietary diversity score; DDS)를 사용하였다. 식품군 점수는 다섯가지 식품군(곡류군, 육류군, 채소군, 과일군, 유제품군)으로 나눠 부여하였으며, 식사에서 식품군이 하나 첨가될 때마다 1점씩 증가하여 모든 식품군을 섭취한 경우 5점으로 표기하였다. 소량 섭취가 점수에 반영되는 것을 막기 위해 식품을 주 1-2회 이상 섭취한다고 답변한 경우에만 식품군 점수를 1점씩 추가하였다. 식품군 점수에 따라 대상자를 ‘DDS 3점 이하’, ‘DDS 4점’, ‘DDS 5점’ 3그룹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식품군점수가 증가할수록 곡류군의 섭취는 감소하였고(P-trend <0.0001), 유제품군(P-trend <0.0001), 육류군(P-trend <0.0001), 과일군(P-trend <0.0001), 채소군 중 비염장 채소(P-trend <0.0001)의 섭취가 증가하였다. 영양소별 섭취량은 식품군점수가 증가함에 따라 탄수화물 섭취량은 감소하였으며(P-trend <0.0001), 나트륨을 제외한 다른 영양소의 섭취는 증가하였다(P-trend <0.0001). 12년 추적조사 결과 당뇨병 전단계 중 공복혈당장애 발생률은 31.9%였으며, 식품군 점수에 다른 공복혈당장애 발생률은 식품군 점수 최하위그룹에서 37.4%, 식품군 점수 최상위그룹 30.4%로 유의하게 낮았다(P-trend <0.0001). 식품군 점수 최하위그룹에 비해 최상위그룹에서의 hazard ratio는 0.834(0.739-0.942)로 낮게 나타났다(P-trend = 0.007). 본 연구에서는 섭취 식품의 다양성을 나타내는 식품군 점수의 증가에 따라 당뇨병 전단계인 공복혈당장애 발생률이 감소하였으며, 다섯가지 주요 식품군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당뇨병 전단계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Dietary diversity is a widely accepted recommendation to promote a nutritionally appropriate diet and prevent chronic diseases such as diabetes. In order to prevent diabetes, the management of pre-diabetic stage is known to be effective.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how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diversity and the risk of prediabetes in Korean adults. This study was used by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community-based Ansan Ansung Cohort data and was conducted on 7,405 adults (3,392 men, 4,013 women) aged 40 to 69. Data from the base survey in 2001 to the sixth follow-up survey in 2014 were used. The dietary diversity score (DDS) was calculated as the sum of five food categories, of which the composing food groups were consumed at least once per day, i.e., grain, dairy, meat and alternatives (protein), fruits, and vegetables. DDS is increased by one point for each addition of the food group to mark 5 points for all food groups taken. One point was added only if one or two times a week was answered to prevent small intake from being reflected in the score. The subjects were analyzed in three groups of 'DDS 3 points or less', 'DDS 4 points', and 'DDS 5 points' according to DDS. The increase in dietary diversity score has led to a decrease in the intake of grain groups (P-trend <0.0001), and increased intake of the dairy group (P-trend <0.0001), the meat group (P-trend <0.0001), the fruit group (P-trend <0.0001), non-salted vegetable in the vegetable group (P-trend <0.0001). Nutrient intake of carbohydrates decreased with increasing dietary diversity score (P-trend <0.0001), and intake of nutrients other than sodium increased (P-trend <0.0001). The 12-year cumulative incidence of impaired fasting glucose was 31.87%. The incidence of impaired fasting glucose was 37.44% in the lowest food group score group, and was 30.39% in the highest food group score group (P-trend <0.0001). The hazard ratio (95% confidence intervals) in the highest DDS group was 0.834 (0.739-0.942) lower than the lowest DDS group (P-trend = 0.007).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diverse diets made up of five major food groups might potentially reduce the risk of prediabetes in Korean adul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