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동호-
dc.contributor.author강민지-
dc.creator강민지-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2:28Z-
dc.date.available2020-02-03T16:32:28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37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370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3076-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17세기 네덜란드 연합공화국 지도책 제작의 명가 블라외 가문(Blaeu Family)의 지도책 <아틀라스 마이오르 Atlas Maior>(1662-1672)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 연구들 대다수가 <아틀라스 마이오르>를 단순히 개론적인 측면으로 접근했던 것에 반해, 본고는 이 지도책이 17세기 네덜란드 신흥 지배계급의 이상적 자아상을 체현하는 동시에 그들의 사회, 정치적 권위와 위상을 효과적이고 전략적으로 표상하기 위한 시각적 기제로 작용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보다 광범위한 사회적 흐름 속에서 <아틀라스 마이오르>가 제작된 배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레디메이드 형식의 상품이었기 때문에, 이 지도책에 내포된 당대 신흥 엘리트 부르주아 계급의 예술적 취향과 더불어 이것으로 추측할 수 있는 1600년대 네덜란드의 예술적 시류를 고찰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다양한 방면에서 괄목할만한 학문적 성취를 이룩한 17세기 네덜란드인들의 관심은 성공적인 해상무역으로 인해 지리학으로 이어지게 되어 네덜란드는 지도 제작의 구심점이 되는 동시에 천문학 또한 지동설 논쟁과 경도 문제로 국가적 차원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한편 부의 크기가 신분의 위계를 정하던 당대의 풍조에 의해 사치품에 경도되었던 신흥 엘리트 부르주아 계급의 물질적 풍요로움은 수집 문화로 귀결되며, 수집 공간을 갖는 것이 유행했다. 학문적 분위기는 인쇄, 서적 발전을 이끌게 되면서 이들의 수집에까지 영향을 미쳤고, 이는 개인 도서관으로 발전했다. 도서 수집가들은 극도로 화려하고 사치스러우면서도 당대의 화두였던 지리학과 천문학이 농축된 지도책을 그들의 넉넉한 부와 탁월한 지성을 과시하기 위한 과시품으로서 자신들의 도서관에 포함시켰다. 이들 도서관의 중심부에 전시되었던 지도책은 당대의 지도책들 중 가장 고가였던 <아틀라스 마이오르>였다. 17세기 네덜란드의 지도책 산업은 블라외 가문에 의해 상업적 양상의 절정을 이루었다. 과학적, 사업가적 재능을 보유한 빌렘 얀슨 블라외(Willem Janszoon Blaeu, c. 1571-1638)를 이어 정치력과 승부욕, 명민함을 지닌 요안 블라외(Joan Blaeu, 1596-1673)의 역량은 이 가문이 지도책 산업의 왕좌를 차지하게 된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첨예한 대립구도를 전개해 나간 혼디우스 가문(Hondius Family)과 블라외 가문은 신흥 상류 엘리트 계급의 이상을 지도책에 투영하고자 세련된 느낌과 기품, 웅대함의 구현에 집중했고, 이로써 지도책 역사의 정점을 이룬 역작 <아틀라스 마이오르>가 창조될 수 있었다. 과학적 혁신과 지리적 정확성 보다는 고수익을 추구한 블라외 가문의 열정은 물질세계를 지배하고자 하는 신흥 지배계급의 정체성, 계층적 욕망과 맞물려, 이 지도책은 그들만의 계급적 자긍심과 이상적 자아상을 보증하는 무언의 증언자로 작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매개체가 되었다. 이 지도책에서는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의 주조색을 목도할 수 있다. 당대 풍속화 속 인물의 의상들도 이 색상들이 주류를 이루는 것으로 보아 이 세 가지의 색상들이 당시 네덜란드에서 유행했던 색으로 추측된다. 이는 당대 예술가들이 제안해 시각매체들에 사용된 색상 상징주의의 결과물로 여겨지며, 이 지도책에는 다양한 도상들에 이 색상들이 채색됨으로써 상징적 의미가 강화된 것으로 보인다. 버밀리안, 아줘라이트, 레틴 옐로우였을 것으로 짐작되는 이 색상들의 안료는 당시 저명한 화가들의 작품들과 블라외 가문의 이전 지도들에서도 발견되는데, 이들 안료는 상당한 고가에 거래되었다. 한편 이 지도책은 당시 유럽 최고의 종이였던 프랑스산 화이트컬러 페이퍼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하얀빛을 띠는 프랑스산 종이의 특징은 당대인들을 매혹했고, 린넨으로 제작된 이 종이는 프랑스산과 양대산맥을 이뤘던 일본산 종이보다 원재료면에서 더 고급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아틀라스 마이오르> 속 <세계지도> 상, 하단부의 도상들은 알레고리의 형식을 띤다. 상단부에는 당시 과학혁명의 쟁점이었던 지동설과 천동설을 묘사한 도상이, 하단부에는 사계절을 표현한 도상이 새겨지며 다른 지도책들과 차별성을 보였다. 특히 네덜란드와 영국을 다룬 지도 부분에는 수많은 문장(Coat of Arms)이 묘사되었는데, 이 문장들은 해당 지역과 지배계급을 상징한다. 더구나 장정에 있어서도 당대 네덜란드 최고의 장정가가 참여하고 다량의 금박 장식이 사용되는 등 <아틀라스 마이오르>는 네덜란드를 넘어 유럽 최고의 지도책으로 군림했다. 이처럼 17세기 유럽 상류 엘리트 계층의 예술적 취향을 고스란히 투영한 블라외 가문의 <아틀라스 마이오르>는 그들의 사회문화적 이상과 지배적 가치를 체현한 시각적 장치로 기능했음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피상적인 논의에 머물러있던 <아틀라스 마이오르>에 대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이 지도책이 탄생될 수밖에 없었던 당대의 시대 상황을 고찰하는 동시에 이 지도책에 내재된 예술적 특수성을 분석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아틀라스 마이오르>가 1600년대 네덜란드를 대표할 수 있는 예술품임을 조명하고자 했다. 본 논문은 그간 미술사학계의 주목을 거의 받지 못했던 <아틀라스 마이오르>를 당대 예술품 소비자들의 예술적 취향의 관점으로 분석하여 17세기 네덜란드 신흥 상류 엘리트 계급 사이에서 주류를 이루었던 예술적 취향을 고찰하고자 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thesis examines the Atlas Maior produced in the 17th century by the Blaeu family, the most well-known and reputable family in the Dutch Republic of the time. In comparison to previous studies that have approached the Atlas Maior simply as an introductory aspect, this dissertation asserts that the Atlas Maior embodied the ideal self-image of the newly ruling class of the Dutch Republic in the 17th century. I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the Atlas Maior in a broader social flow, analysing the atlas as a visual representation that strategically and effectively expressed the socio-political authority and status of these new ruling classes. Additionally, as the Atlas Maior was a ready-made product, I focus my analysis on the artistic taste of the emerging elite bourgeois class contained in this atlas, as well as the artistic trends of the Dutch Republic in the 1600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is. The 17th century Dutch, who were remarkably accomplished academics, developed an interest for geography due to their successful maritime trade. Hereby, the Dutch Republic became a centre of cartography, while astronomy also emerged as a national concern in terms of geocentric theory and longitude. Meanwhile, at a time when status was considered to be a direct reflection of amassed wealth, the material abundance of the newly elite ruling class, with its penchant for luxury, evolved into culture of collection, and it was fashionable to possess a collection space. The academic atmosphere brought about advances in the technology of printing and books, and so these collections soon developed into private libraries. Atlases, which were often a part of a library collection, were not only symbols of extravagance and wealth but were also collected to reveal their owner’s familiarity with contemporary intellectual fashions such as geography and astronomy; and the atlas displayed at the centre of such libraries was the costliest atlas of its day, the Atlas Maior. The atlas industry in the 17th century in the Dutch Republic was at the height of its commercial prowess with the Blaeu family. With the scientific and business talents of Willem Blaeu and Joan Blaeu's ability to wield political power, the family's rise to the throne of the atlas industry was the result of both cleverness and the desire to win. The Blaeu family, like the Hondius with whom they had a bitter rivalry, focused on elegance and grandeur to project the ideals of the emerging upper elite class onto their maps, which ultimately led to the creation of the Atlas Maior. The Blaeu family's passion for high profits rather than scientific innovation and geographic accuracy, coupled with the identity and hierarchical desire of the newly ruling class to dominate the material world, made the atlas the most suitable medium to silently guarantee their class pride and ideal self-image. In the atlas, red, blue and yellow can be seen clearly. It is understood that these three colours were popular in the 17th century Dutch Republic, given that they were the main colours used in the costumes depicted in the genre paintings of the time. This cultural preference is considered to be the result of a colour-symbolism developed through visual media by the artists of the period, and the atlas seems to have enhanced this symbolic meaning by painting the same colours onto various iconographies. Pigments of these colours, presumed to have been vermilion, azurite and lead-tin yellow, are also found in the works of prominent Dutch painters and in previous maps of the Blaeu family, which were traded at considerably high prices. The atlas is believed to have used the best paper available in Europe at the time, a white-coloured paper manufactured in France from linen. Contemporaries were fascinated by the white colour of the French linen paper, which was considered to be of an even finer quality, in terms of raw materials, than the Japanese paper, along side which it was one of the two most prominent papers in Europe in the 1600s. The iconography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world map in the Atlas Maior takes the form of an allegory. The upper part of the painting depicts the theory of heliocentrism, which was one of the key issues of the scientific revolution at the time, while the lower part portrays the four seasons, unlike other contemporary maps produced in the Dutch Republic. In particular, maps of England and the Dutch Republic were depicted a great deal of coats of arms to symbolise regions and ruling classes. The Atlas Maior, with the labour of the Dutch craftsmen reputed for producing high-quality bindings employing tremendous quantities of decorative gold, reigned as Europe's greatest atlas. The Blaeu family’s Atlas Maior reflects the artistic taste of the elite class of 17th century Europe and served as a visual device to display its socio-cultural ideals as well as the culture’s dominant values. This dissertation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on the Atlas Maior, which has tended towards a rather superficial approach to the subject, by examining the contemporary circumstances which contributed to the atlas’s creation. I have set out to demonstrate how the Atlas Maior can be understood as a work of art that represents the Dutch Republic of the 1600s.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is that it approaches the Atlas Maior, which has until now received insufficient attention from art historians, as a reflection of the dominant artistic tastes of the emerging upper elite class of the Dutch Republic in the 17th century as expressed through their consumption of contemporary a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17세기 네덜란드의 지도책 유행 배경 7 A. 지적인 시각과 호기심 7 B. 팽배했던 물질문화 15 Ⅲ. 16-17세기 네덜란드의 지도책과 블라외 가문 22 A. 지도책 선례들과 블라외 가문의 역량 22 B. 블라외 가문과 경쟁 가문의 지도책 29 Ⅳ. 아틀라스 마이오르에 나타난 예술적 취향 35 A. 물질 35 1. 당대 유행 색상으로서의 주조색 35 2. 주조색 안료와 종이 47 B. 도상: 세계지도 안의 알레고리와 주요 지도 안의 문장 57 C. 협업: 제작에 참여한 장정가와 채색가 69 Ⅴ. 결론 78 참고문헌 82 도판 목록 90 도판 96 부록 111 ABSTRACT 11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10189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17세기 네덜란드 연합공화국 신흥 지배계급의 예술적 취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블라외 가문(Blaeu Family, c. 1571-1703)의 지도책 <아틀라스 마이오르> 연구-
dc.title.translatedThe artistic taste of the newly ruling class of the Dutch Republic in the 17th century : A Study of the Blaeu Family’s Atlas Maior-
dc.creator.othernameKang, Min Ji-
dc.format.pageiv, 11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