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1 Download: 0

음악치료전공생의 장애아동 대상 노래 창작 활용 현황 및 인식

Title
음악치료전공생의 장애아동 대상 노래 창작 활용 현황 및 인식
Other Titles
A Survey on Music Therapy Students’ Perception and Use of the Songs Therapist : Created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uthors
윤현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수지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동 대상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음악치료 전공생의 임상실습 세션 내 노래 창작 활용 현황을 조사하고, 노래 창작 관련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참여자는 (사)전국음악치료사협회와 협약된 학교에 재학 중인 음악치료 석사과정생 중 최근 1년 이내 장애아동 대상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음악치료 전공생이다. 온라인과 서면으로 수거된 45부의 설문지 중 답변을 끝까지 완료하지 않았거나 연구 참여자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5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40부를 분석하였다. 설문 문항은 일반적 특성 16문항, 음악치료 전공생의 장애아동 대상 세션 내 노래 창작 활용 현황 15문항, 음악치료 전공생의 세션 내 노래 창작 관련 인식 7문항으로 총 3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그 결과 음악치료 전공생들은 인사 노래 및 헤어짐 노래에서 뿐만 아니라 목표행동 유도를 위한 주요 음악활동에서도 창작곡을 가장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 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노래 사용을 음악 활동에 따라 살펴보면 악기연주 활동에서는 창작곡과 개사곡을 고루 사용한 반면, 노래 부르기 활동에서는 대부분 창작곡을 사용하였다. 내담자의 진단명에 따라서는 내담자의 진단명이 지적장애인 경우 창작곡과 개사곡 모두 사용하였지만, 자폐범주성장애의 경우 창작곡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 영역별로 살펴보면, 언어영역에서는 대부분 창작곡을 사용한 반면 사회 영역에서는 창작곡과 개사곡을 고루 사용하였다. 음악치료 전공생들의 노래 창작 관련 인식을 살펴보면, 노래 창작의 중요성, 노래 창작 관련 교육의 필요성, 추후 임상실습 세션에서의 노래 창작 의향, 전문 음악치료사가 일반적으로 창작한 노래가 내담자의 치료 목표 달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노래 창작의 용이성과 본인이 창작한 노래가 내담자의 치료 목표 달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해서는 평균보다 낮게 인식되었다. 음악치료 전공생들은 장애아동 세션에서 창작곡의 활용 정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노래 창작에 대한 용이성이 낮게 인식되어 노래 창작에 관한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 세션 내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music therapy students’ use of the songs therapist-created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clinical sessions and to find out about the perception of the songs. In order to recruit the participants, I sent an official letter to the schools agreed with the National Association of Music Therapists and conducted a study on music therapy masters who are attending only schools where it’s cooperative. As a result, 40 participants’ answers were analyzed, with the exception of 5 participants’ answer. The survey questions consisted of 16 general characteristics, 15 questions related to the use of the songs therapist-created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7 questions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song creation in clinical sessions. As a result, music therapy students showed high importance of song creation, necessity of education related to song creation, and willingness to use created songs later, and difficulties in song creation were also recognized as high. It has been shown that they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song creation and are also willing to use them in the future, but have difficulty in creating them. In addition, music therapy students generally recognize that therapist-created songs have a positive effect on achieving individual goals, but assessed lower on the impact of the songs they created on the individual goals.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music therapy students to improve their song creating skills through continuos training on song creation and use them effectively within the clinical sessions. In the clinical session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music therapy student-created songs were used the most to achieve client’s target behavior, and next, the created songs and existing songs were used. When looking at the music used according to the music activity, it was found that activities with instrument performance used the created songs and songs that changed lyrics only, while the singing activity used only the original songs. According to the target area, created songs were used the most in the cognitive area, while the social and emotional areas were found to have used both music therapy student–created songs and songs that changed lyrics only. As it was seen earlier, the use of music therapy student–created songs in clinical session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high. In addition, music therapy students not only think it is important to use the student–created songs in clinical sessions, but also have a high degree of willingness to use them in the future. Therefore, music therapy students need to train on song cre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