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3 Download: 0

브랜드 아이덴티티 각인을 위한 브랜드 체험 공간 디자인

Title
브랜드 아이덴티티 각인을 위한 브랜드 체험 공간 디자인
Other Titles
A Study of Brand Experience Space Design to Imprint Brand Identity
Authors
윤수연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실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정아
Abstract
현대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와 기술의 진보에 따라 현대인의 소비문화와 가치관은 크게 변화되고 있으며, 상품의 품질과 서비스의 수준은 유사해졌다. 최근 소비자들은 상품의 인식과 소비에 있어 브랜드와 상품을 직접 체험하고 얻을 수 있는 가치를 판단하고자 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이에 기업은 소비자와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브랜드와 상품을 어떻게 체험하게 할 것인가를 중요하게 생각하게 되었고 체험은 공간 디자인의 중요한 전략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브랜드 체험 공간은 기업과 고객이 접하는 접점이며, 그 공간에서의 체험은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각인시키고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갖도록 하는데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다. 단순히 상품을 판매하는 곳이 아닌 브랜드 체험공간은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과 가치를 브랜드와 연결시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표현하고 체험을 공유하는 사회적 공간으로 공간으로서 신중하고 전략적인 디자인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소비자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서 기존의 브랜드 공간과는 차별화될 수 있고,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각인시킬 수 있는 공간을 디자인하기 위해 브랜드 체험 공간 디자인을 파악하고, 공간에 체험적 요소를 도입하여 브랜드 경쟁력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소비자에게는 보다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브랜드 공간 디자인 모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진행은 다음과 같다. 제 1 장에서는 논문의 배경과 목적, 연구의 방법과 내용을 서술한다. 제 2 장에서는 브랜드 커뮤니케이션과 브랜드 체험 공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ㅔ브랜드 체험 공간 구성 요소를 도출한다. 제 3 장에서는 2장에서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한 사례분석의 틀을 활용하여 국내외 성공한 브랜드 체험 공간 사례분석을 통하여 브랜드 체험 공간의 표현 요소와 공간의 구성 방식을 파악하고 본 연구의 공간 디자인 전개의 기본 틀로 사용한다. 제 4 장에서는 앞선 연구를 통해 도출한 브랜드 체험 공간 표현특성과 표현요소를 기본 근거로 디자인을 전개를 한다.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된 디자인 특징들을 공간에 적용하여 소비자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브랜드 체험 공간 디자인을 제안한다.
 제 5 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이론적 고찰 및 사례분석 및 디자인 전개를 통해 결론 및 제언을 내리고,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각인하기 위한 브랜드 체험 공간 디자인을 바탕으로 적용안의 기대효과와 연구의 의의를 알아보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제시한다. 연구의 결과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각인하기 위한 브랜드 체험 공간은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중심축으로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고, 소비자가 공간 전체를 하나의 컨셉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 먼저 상징성은 브랜드 로고나 심볼의 직접적 표현과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간접적 표현을 통해 구현되고 있었다. 상징성은 내부와 외부가 브랜드 컨셉으로 연계되어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각인시키고 있었다. 체험 공간 표현 특성인 체험성은 이해의 공간 요소, 경탄의 공간 요소, 욕망의 공간 요소를 통해 표현되었는데, 세 가지 요소는 중첩되고 통합되면서 반복적으로 공간의 시퀀스를 형성하고 있었다. 또한, 소비자 참여 공간은 공간이 다양한 모습으로 변모하는 공간의 유연성을 가지며, 소비자가 주체가 되어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함으로써 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창조적 소통 공간이 되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각인하기 위해 오늘날 브랜드 체험 공간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에게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줄 수 있고, 공간에서 브랜드 체험을 통해 소비자와의 유대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여 기업 브랜드의 이미지 제고와 충성도를 강화시키는데 의의가 있다. ;The modern lifestyle changes combined with technological advancement have brought huge changes to the consumption culture and values of modern people, and these changes tended to make the quality and service levels among different products similar to each other. It is becoming increasingly clear that consumers want to have first-hand experiences with brands and products, and be able to assess the perceived values of the products to be obtained. Corporations have thus placed importance on the various ways that they communicate with consumers by promoting brand and product experiences, and brand experience space design has emerged as a key element in this strategy. A brand experience space offers contact points between corporations and their customers. What consumers experience in such a space engraves a brand identity in their consciousness and exerts huge influence on their positive images of a brand. A brand experience space is not simply for product sales. It functions as a social space in which corporations connect their brands to consumers' lifestyles and values, express their brand identity, and ensure that their experiences are shared. Such a space therefore requires a careful and strategic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brand space that will increase brand competitiveness by introducing experiential elements into a space and provide consumers with more differentiating values, thus differentiating itself from the old brand spaces as the consumer paradigm changes. The study proceeded as follows: Chapter 1 examines the backgrounds, goals, and research methods and content of the study. Chapter 2 explores the theoretical basis for brand communication and brand experience spaces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a brand experience space. Chapter 3 analyzes successful cases of brand experience spaces at home and abroad with the case analysis framework based on the findings of Chapter 2, and identifies the expressive elements and organizational methods of a brand experience space. They are then used as a part of the basic framework in the development of the study's space design. Chapter 4 develops a design based on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of a brand experience space identified in the previous chapters. The design features identified in the case analysis are then applied to propose a design for a brand experience space according to the changing consumer paradigm. Chapter 5 presents the study conclusions, and makes proposals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case analysis results and design development. It examines the expected effects of the proposed design, an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based on the design of a brand experience space according to the changing consumer paradigm. Finally, it make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brand experience space to imprint brand identity was designed to provide various experiences based on brand identity. Experientiality, a characteristic of expressing an brand experience space, was expressed through the space element of understanding, the space element of worship and the space element of desire, the three elements overlapping and integrating, forming a sequence of spaces repeatedly. Consumer engagement space had the flexibility of space to turn space into a diverse function and was leading to a creative communication space between brands and consumers.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elps corporations convey a positive brand image to consumers and brand identity is imprinted on consumers through a brand experience space, proposes a strategy of reinforcing bonding with them through brand experiences in such a space, and presents a creative communication space between their brands and consumers, thus reinforcing the image of and loyalty to their corporate bran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