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성훈-
dc.contributor.author이연서-
dc.creator이연서-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2:22Z-
dc.date.available2020-02-03T16:32:22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34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348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305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achers' thoughts on the current violations of the right to teachers and the phenomenon of the right to teachers in depth to find out the causes of the violation, the gap in the right to teachers, and how to enhance the right of teachers. To this end, we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10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found the following: First, teachers recognized the causes of the infringement as" the ill-conceived human rights consciousness of students who only think of their own rights and don’t think of others’ rights," the lack of faith in teachers and the change in perceptions" and the lack of definition of the education office’s concept of teaching rights.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a correct human rights awareness for the wrong perception that only requires one's own rights without respect for others. Second, teachers have generally underrated their current respect for and protection of the right, and indicated that they have experience in the decline of the right. The difficulties caused by this lapse in teaching rights have been shown to be felt by older teachers.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could be found and,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interpreting them as" a conflict phenomenon resulting from differences in perceptions among generations." Third, regarding the causes of the gap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a majority of teachers said that it is an "anom phenomenon" in which society changes rapidly and the norms of the past disappear and new norms are created. In addition, he referred to "improving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of parents" and "developing mass media." Thus, the cause of the gap in teaching rights was found to be in a society that was changing rapidly from day to day, whereas the rate of change in people's perception was slower than the rate of change in society. Fou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stomized manuals and situation-specific response guides for teachers who can be used in real-world education sites. Fifth, trust and effort between the educational community and each other is needed. In order to create a shared educational scene,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should be provided with opportunities such as training, forums and camps where they can gather together to listen to each other and share their opinions. Sixth, education is needed to reduce the burden on entrance exams and learning progress and to create a community togeth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conducted in-depth research on social phenomena of the teaching profess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0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charge of social and educational affairs, including vivid voices of teachers on social disparities that were not found in quantitative and prior studies. Furthermore, given that the government has asked questions about the fundamental causes of the gap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teaching rights in Korean society and tried to present solutions through society and education as well as education community, law and system, it could contribute to the direction of education for mutual respect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한국 사회의 교권침해와 교권괴리현상에 대한 교사들의 생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교사들의 입장에서 바라본 교권침해의 원인, 교권의 괴리현상, 교권의 신장방안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등 사회과 교사 10명과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사항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교사들은 교권침해의 원인을‘자신의 권리만을 생각하고 타인의 권리를 생각하지 않는 학생들의 잘못된 인권 의식’,‘교사에 대한 믿음 부족 및 인식의 변화’,‘교육청의 교권에 대한 개념 정의 부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타인에 대한 존중 없이 자신의 권리만 요구하는 잘못된 인식에 대한 올바른 인권 의식 정립이 제대로 갖추어져야 할 필요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현재 교권에 대한 존중과 보호에 대해 대체로 낮은 평가를 했으며, 교권의 실추상황 경험이 있음을 나타냈다. 이러한 교권의 실추 현상으로 인한 어려움은 교직 경력이 오래된 교사들일수록 많이 느끼고 있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세대 간의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세대 간의 인식 차이에서 비롯되는 갈등 현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과거와 현재 교권의 괴리현상의 원인에 대해 과반수의 교사는 사회가 급격하게 변화하면서 과거의 규범은 사라지고 새로운 규범이 생겨나는 과도기적 상황 속 규범에 대한 혼란을 겪는 ‘아노미 현상’이라고 답했다. 이 외에도‘학부모의 학력 수준 향상’, ‘대중매체의 발달’을 언급하였다. 따라서 교권의 괴리현상의 원인은 하루가 다르게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속에 있으며, 이에 비해 사람들의 인식변화 속도는 사회의 변화 속도에 비해 느리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넷째, 실제 교육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교사들을 위한 맞춤형 매뉴얼, 상황별 대처 안내집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교육공동체 서로 간의 신뢰와 노력이 필요하다. 함께하는 교육현장을 만들어나가기 위해 교사, 학생, 학부모가 함께 모여 서로의 목소리를 듣고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연수, 포럼, 캠프 등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입시와 학습 진도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함께하는 공동체 사회를 만들어나가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사회과 교육을 담당하는 중등 사회과 교사 10명과 심층면담을 통해 교권이 가지는 사회적 현상에 대해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양적 연구 및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발견할 수 없었던 교권의 사회적 괴리현상에 대해 교사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담아 심도 있게 파헤쳤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나아가 대한민국 사회 과거와 현재 교권의 괴리현상의 근본적 원인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교육공동체, 법과 제도뿐만 아니라 사회과 교육을 통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노력했다는 점에서 교권보호 및 교사와 학생의 상호 존중을 위한 교육 방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 문제 7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8 A. 교권 8 B. 교권침해 14 C. 교권보호와 대처방안 22 Ⅲ. 연구 방법 30 A. 연구 참여자 30 B. 자료 수집 방법 32 C. 자료 분석 방법 33 Ⅳ. 연구 결과 36 A. 교권침해에 대한 인식 36 1. 교권침해의 원인 36 2. 교권침해의 주체 39 3. 현재 교권에 대한 존중과 보호 42 4. 교권의 실추상황 46 B. 한국 사회 과거와 현재 교권의 괴리현상에 대한 인식 50 1. 한국 사회 교권의 의미 50 2. 과거와 현재 교권의 괴리현상의 원인 54 3. 교권의 괴리현상에 대한 사회과 교사들의 생각 58 C. 교권의 보호 및 신장방안에 대한 인식 60 1. 교권의 보호 및 구제방안 60 2. 교권의 연수 또는 학습 경험 65 3. 교사, 학생, 학부모, 제도적 노력의 필요성 66 4. 사회과 교육을 통한 교사와 학생의 상호존중 73 Ⅴ. 결론 및 논의 77 참고문헌 81 부록1. 면담 가이드 85 ABSTRACT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657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교권에 대한 중등 사회과 교사의 인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Social Studies Teachers' Perceptions on the Teachers' Rights-
dc.creator.othernameLee, Yeon Seo-
dc.format.pagevi,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