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4 Download: 0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경험과 대인관계 문제와의 관계

Title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경험과 대인관계 문제와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nd Adolescent Complex Trauma Experi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Authors
박현선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지은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 경험과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와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및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이중매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자기’와 ‘정서조절’이라는 변인이 복합외상과 연관이 있다는 선행연구들과 복합외상을 경험한 성인초기의 대상자들이 대인관계 문제 및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다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 경험과 대인관계 문제와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및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이 이중매개 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 대인관계 문제, 자기개념,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간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복합외상에서 대인관계문제, 복합외상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에서 대인관계 문제로 가는 각각의 경로에서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복합외상에서 자기개념, 자기개념에서 대인관계 문제로 가는 각각의 경로에서는 부적인 상관을 보였고 또한 자기개념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로 가는 경로에서도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과 대인관계 문제와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부분매개 효과를 보였다. 이는 복합외상으로 인한 심리적인 후유증으로 인해 정상적인 정서조절이 힘들며 자신에게 각성된 정서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지하게 되고 심리적 적응을 위해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한다는 것을 뜻한다. 결국 이러한 부적절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처리는 대인관계에서 문제의 요인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과 대인관계 문제와의 관계에서 자기개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부분매개 효과를 보였다. 이는 복합외상으로 인해 자기개념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그럼으로써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된 자기개념은 대인관계 문제를 더 강화시키는 요인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과 대인관계 문제와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및 부적응적 인지적정서조절의 이중매개 모형을 분석한 결과 순차적으로 이중매개의 효과를 보였다. 아동·청소년기의 복합외상으로 인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된 자기개념은 낮은 가치감이나 자존감을 형성하게 되고 이는 자신이 받아들이는 정서나 감정에 대해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의 전략을 사용하여 결국 적절한 정서의 조절 및 정서반응이 필요한 대인관계에 있어서 문제를 보이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대학생의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 경험과 대인관계 문제와의 관계에서 자기개념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이 각각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동시에 두 변인이 순차적으로 이중매개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복합외상과 대인관계 문제와의 관계에서 ‘자기’에 대한 인지적인 개념인 ‘자기개념’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중‘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변인이 각각 매개요인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두 변인들이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이중매개효과를 밝힌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tends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nd adolescent complex traumatic experienc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Previous literature and studies show that such concepts of ‘self’ and ‘emotional regulation’ are related to complex trauma among children and young adolescents. It is seen that young adults who experienced multiple traumas may experience interpersonal problems and difficulties. Through this,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self-concept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ould be double-mediated in relation to experi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research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from the correlation among the major variables confirm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child and adolescent complex trauma, interpersonal problems, self-concept,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terestingly,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problems in complex trauma,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complex trauma, and international problems in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group was positively correlated in each path. However,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in each path from self-concept to self-concept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complex trauma, and also negatively in the path from self-concept to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eco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s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nd adolescent complex trauma and interpersonal problems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This implies that it is difficult to regulation the normal emotions due to the psychological sequelae due to multiple traumas; due to negatively perceiving the emotions aroused to oneself; and due to the using of inappropriate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for psychological adaptation. In the end, improper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process turned out to be the problem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rd, the analysis of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nd adolescent complex trauma and interpersonal problems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This means that the complexed trauma negatively affects self-concept. Thus, the self-concept that is perceived negatively is a factor to reinforce interpersonal problems. Fourth, the analysis of the dual mediation model of self-concept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child and adolescent complex trauma and interpersonal problems shown the dual mediation to be sequential. Self-concepts that are perceived negatively due to multiple trauma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orm low values ​​or low self-esteem, which are based on strategies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that are inadequate to the emotions or emotions they accept. This means that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at require regulation and emotional reactions are present.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concept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s were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lexed child trauma experience and the interpersonal problem. Therefore, in this study, the variables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mong cognitive concepts of ‘self'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influenced as mediating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lex trauma and interpersonal problems. It is significant that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the two variables is influenced sequential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