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6 Download: 0

한국어-카자흐어·러시아어 통번역 교육과정 혁신을 위한 요구 분석 연구

Title
한국어-카자흐어·러시아어 통번역 교육과정 혁신을 위한 요구 분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eeds Analysis for the Innovation of Korean-Kazakh/Russi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urriculum
Authors
Toktarova, Zhansaya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카자흐어·러시아어 통번역 전공 학습자, 졸업생, 교수자, 통번역사 및 통번역 에이전시들의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카자흐스탄에서의 한국어-카자흐어·러시아어 통번역 교육과정과 비교하고, 현 카자흐스탄 교육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교육과정 혁신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먼저 I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요구 분석의 필요성을 기술하였다. 우선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카자흐스탄은 한국을 포함한 다른 나라와의 교류가 빈번해짐에 따라 통번역 수요가 높아짐을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또한, 카자흐스탄 교육과정 혁신 문제점과 한국어-카자흐어·러시아어 통번역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을 지적하였다. II 장에서는 통번역 교육과정, 교육과정에서의 혁신, 요구 분석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론적 배경은 통번역의 개념, 통번역 능력의 개념, 카자흐스탄 통번역 교육의 현황과 통번역 교육과정에서의 혁신에 있어 고려해야 할 원리 및 모형을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선행 연구는 요구 분석 연구와 통번역 교육과정 연구로 나눠 살펴보았다.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의 고찰을 통해 본고의 연구 문제를 도출하였다. III 장에서는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 39명, 졸업생 14명, 교수자 7명, 통번역 에이전시 5개와 통번역사 2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 앞서 예비 조사를 실시 하였는데, 예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설문지 내용을 수정하였다. IV 장은 본고의 연구 결과를 다룬 장으로 SPSS와 인터뷰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학습자들은 통번역 실습 수업 중 사용되는 교수법에 있어 동기 부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방법을 희망하는 반면 교수자들은 가장 접근하기 쉽고 편리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력이 부족한 통번역 강사들의 경우 방법론, 자료 등 지원이 부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강사들이 수업 외에 다른 교내 활동을 해야 하기 때문에 수업 준비, 자기 계발 등에 시간을 할애할 수 없는 실정이었다. 셋째, 현직 통번역사들과 졸업생들은 통번역사 윤리, 통번역 이론 등 번역에 관한 지식, 긴급 상황 통역 방법 등 전략적 하위 능력과 카자흐스탄 문화와 한국 문화 등 언어 외적 하위 능력, 웅변술, 한국어 토론 능력 등 의견 표현을 위한 과목들을 교육과정에 포함시키면 좋겠다고 하였다. 넷째, 통번역 에이전시들은 통번역 일과 함께 행정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인재를 원했다. 또한 한국 문화, 한국 회사 업무 스타일, 긴급 상황 문제 해결 능력 등 언어외적 능력과 전략적 능력이 부족하다고 지적하였다. 다섯째, 카자흐스탄 대학교에서 제공하는 교육과정은 통번역 교육과정이라고 하지만 통역 훈련보다 번역 훈련 중점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통번역 능력에 관한 분석을 제시하였다. 카자흐스탄 통번역 교육은 학습자들의 이중 언어 하위 능력과 언어 외적 능력을 우선적으로 향상시키려고 하였다. 나머지 번역에 관한 지식, 도구적 하위 능력과 전략적 하위 능력 숙달도는 부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통번역 교육과정은 전문 통번역사로 활동하지 않는 교수자들에 의해 개발되어 시장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다시 말해, 실제 현장에서 통번역사가 마주치는 상황을 잘 모르기 때문에 제공하는 교과목들이 통번역 능력 형성에 기여를 못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통번역 분야의 각 이해 당사자들의 요구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카자흐스탄 통번역 교육의 문제점을 질적, 양적 연구로 확인하여 기술하였기에 추후에 이를 기초로 하여 통번역 교육과정 개발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나아가 본고를 바탕으로 향후 한국어-카자흐어·러시아어 통번역 교육을 위한 연구를 진행해 볼 수도 있다는 점에서 또 그 의의가 크다. 본고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카자흐스탄 교육에 관련된 성공적인 혁신의 기회가 증가되기를 기대한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면에서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가 있다. 첫째, 본 연구는 한국어-카자흐어·러시아어에만 초점을 맞추어 조사하였기에 연구 참여자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통번역 에이전시의 경우에는 통번역 업체 하나를 대상으로만 인터뷰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이로 인해 얻은 답변에만 의존하여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더 많은 교수자, 졸업생, 통번역 에이전시와 통번역사를 대상으로 한 양적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둘째, 카자흐 국립 대학교에서 개정 이후 제공하는 새로운 통번역 교육과정을 구하기가 어려웠고 이를 카자흐 국제 관계 및 세계 언어 대학교의 새로운 통번역 교육과정과 비교해 볼 수 없었다. 따라서 카자흐 국립 대학교에서 개정 이후 제공하는 새로운 통번역 교육과정도 분석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요구 분석은 카자흐스탄 통번역 교육 분야의 각 이해 당사자들의 요구를 확인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교육과정을 개발한 다음, 혁신된 교육과정에 대한 효과성 검증까지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위의 한계와 제언을 통해 한국어-카자흐어·러시아어 통번역 교육과 관련한 많은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어서 카자흐스탄 통번역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of Korean-Kazak/Russian lan-guage translation learners, graduates, professors, translators and translation agencies. This will be done by comparing the needs of the named target groups with the cur-rent Korean-Kazakh·Russian language translation curriculum in Kazakhstan. Spe-cifically, problems that are occurring in the implemented curriculum in Kazakhstan will be identified followed by a discussion on the implications and how the curricu-lum could be innovat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deals with the concept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he concept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ompetencies, and the principles and models to be considered in innovation in the translation and translation curricu-lum. The preceding researches were divided into needs analysis study and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urriculum study. Afterwards, the current status of Kazakhstan's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was examined by analyzing the Korean-Kazakh·Russi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urriculum for the Bachelor’s pro-gram of Kazakh National University and Kazakh University of International Relation and World Languages. The research problem of this paper is derived from the dis-cussed theoretical background and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A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ith 39 learners, 14 graduates, 7 faculty members, 5 translation agencies and 28 translators were conducted for this study. Based on this analysis, seven main conclusions were found. First of all, learners hop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ir motivation in terms of the teaching methods whereas instructors used the most accessible and convenient methods. Secondly, it was confirmed that the inexperienced instructors lacked support such as methodology and materials. In addition, because instructors had to do other school activities besides classes, they could not spend time on class preparation and self-development. Thirdly, in-service interpreters and graduates expressed opinions on disciplines which needed to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such as translators' ethics, knowledge of translation such as theory of interpretation and interpretation, emergency inter-preting methods, and non-language competencies such as Kazakh culture and Korean culture, eloquence, and debate in Korean. Fourthly, translation agencies have signaled to prefer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that are able to perform administrative tasks along with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work. They also pointed out the lack of non-language and strategic competencies such as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working style of a Korean company, and emergency problem-solving skills. Fifthly, the curriculum provided by Kazakhstan universities is called a transla-tion and translation curriculum, but the training tends to be more focused on transla-tion training rather than interpretation training. Sixthly, an analysis on th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ompetencies was pre-sented.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Kazakhstan's education o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preferentially improved learners' bilingual and non-language competen-cies. On the other hand, translation knowledge, instrumental competency and strate-gic competency were found to be lacking. Lastly, th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urriculum is developed by instructors who do not act as professional translators. Consequently, the existing curriculum does not properly reflect the needs and demands of the Kazakhst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market. In other words, the subjects offered were not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translation competencies because curriculum developers did not have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actual situations translators face in practice and the required competency se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needs of each stakeholder in the field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In addition, the problems of Kazakhstan trans-l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have been identified and described by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Furthermore, this paper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is now possible to conduct further research for the education of Korean-Kazakh·Russi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by building on the outcomes of this pap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increase the opportunities of suc-cessful innovation related to education in Kazakhstan.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this research as well. First, this study fo-cused on Korean-Kazakh·Russian language only, making it hard to secure research participant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agencies, on-ly one agency was interviewed. As a result, there are limitations to the generalization of these interpretation agencies. In subsequent studies, we hope that quantitative re-search will be conducted with more faculty members, graduates, translating agencies and in-service translators. Second, it was difficult to find new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curriculum of Kazakh National University, which could not be compared with the new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curriculum of Kazakh University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World Language. Therefore, the new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curriculum of Ka-zakh National University should be analyzed.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actual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eeds analysis, and then conduct the research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innovative curriculum. It is hoped that the above named limitations and suggestions will lead to many further studies related to Korean-Kazakh·Russi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which will be helpful in teaching Kazakhsta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