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1 Download: 0

유아교사의 정서적 지형도에 나타난 거리감 분석

Title
유아교사의 정서적 지형도에 나타난 거리감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n the dist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geographies
Authors
한산섬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distance and personal/institutional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whole, area and target of their emotional geographi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set up as follows. 1. How is the distance in the emotional geograph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distance of emotional geographies according to early childhood teachers’ variables? 2-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distance of emotional geographies according to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 variables(age, teaching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marital status)? 2-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distance of emotional geographies according to early childhood teachers’ institutional variables(institution type, institutional size, presence of assistant teachers, age of children in the homeroom class, number of children in the homeroom class, monthly pay, working hours)? The study was conducted on 229 teachers of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earcher developed a questionnaire based on previous research about teachers’emotional geographies. For data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lso independent sample t 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and Scheffé posterior test was performed if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distance of the whole, area and target in the emotional geographies were all below average, so it appeared that they felt less distance overall. Early childhood teachers felt the most distance in moral geography among the emotional geographies area, and they felt the most distance in parents among the emotional geographies target. Second, according to the personal variables, the differences in emotional geographies appeared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among personal variables. The lower the age, the more distance teachers felt in the whole emotional geographies, moral geography among the area, and children among the target. The more educated teachers felt more distance in moral, physical geography among the area, children and parents among the target. According to institutional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hole emotional geographies, area and target depending on the institution type, age of children in the homeroom class, number of children in the homeroom class and working hours. Compared to daycare center teachers, kindergarten teachers felt more distance in moral, physical geography among the area, and among the target, they felt more distance in children, parents, and principal. Compared to the teachers of toddlers, teachers of infants felt more distance in the whole emotional geographies, sociocultural, moral geography among the area, and among the target, they felt more distance in children and parents. The more children in the homeroom class, the more distance the teachers felt in the whole emotional geographies, moral geography among the area, and among the target, they felt more distance in children and parents. The longer the working hours are, early childhood teachers felt more distance in the whole emotional geographies, sociocultural, moral, professional, political geography among the area, and among the target, they felt more distance in parents, peer teachers and principal. In summary, the most variable that affected distance on the emotional geographies was working hours, followed by institution type, age of children in the homeroom class, number of children in the homeroom class, educational background, and age which means that distance on the emotional geographies was affected by institutional variables more than personal variables. And among the area of emotional geographies, moral geography was most affected by the variables, and among the target, children and parents were most affected, so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tance.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정서적 지형도에 나타난 거리감은 어떠한가와 유아교사의 개인적 ․ 기관적 변인에 따라 정서적 지형도 전체와 영역(사회문화적 지형도, 도덕적 지형도, 전문적 지형도, 정치적 지형도, 물리적 지형도) 및 대상[영유아, 학부모, 동료교사, 원장(원감)]별로 거리감의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교사의 정서적 지형도에 나타난 거리감은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변인에 따라 정서적 지형도에 나타난 거리감의 차이가 있는가? 2-1. 유아교사의 개인적 변인(연령, 경력, 학력, 결혼여부)에 따라 정서적 지형도에 나타난 거리감의 차이가 있는가? 2-2. 유아교사의 기관적 변인(기관유형, 기관규모, 보조교사 유무, 담임학급 영유아 연령, 담임학급 영유아 인원수, 월 급여, 근무시간)에 따라 정서적 지형도에 나타난 거리감의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 ․ 경기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담임교사로 근무하는 유아교사 2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교사의 정서적 지형도에 나타난 거리감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연구도구로는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박선미(2011), 박은혜와 고재천(2008), 이혜림과 조하나(2012), Hargreaves(2000, 2001a, 2001b, 2002)의 연구물을 참고하여 제작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사후검증(Scheffé)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정서적 지형도 전체와 영역 및 대상에서 거리감 모두 평균 이하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거리감을 덜 느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정서적 지형도 영역 중 도덕적 지형도가 가장 거리감을 많이 느끼는 영역이었다. 그리고 정서적 지형도를 형성하는 대상 중에서는 학부모가 가장 거리감을 많이 느끼는 대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 기관적 변인에 따라 정서적 지형도에 나타난 거리감의 차이를 살펴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개인적 변인 중에서는 연령과 학력에 따라서 정서적 지형도 전체와 영역 및 대상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이 낮을수록 정서적 지형도 전체와 도덕적 지형도 영역, 대상 중 영유아에게 거리감을 더 느꼈으며, 학력이 높은 교사가 도덕적 지형도, 물리적 지형도와 영역과 대상 중 영유아, 학부모에게 거리감을 더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적 변인 중에서는 기관유형, 담임학급 영유아 연령, 담임학급 영유아 인원수, 근무시간에 따라서 정서적 지형도 전체와 영역 및 대상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가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에 비해 정서적 지형도 전체와 도덕적 지형도, 물리적 지형도 영역, 대상 중 영유아, 학부모, 원장(원감)에서 거리감을 더 느꼈다. 유아반을 담임하는 교사가 영아반을 담임하는 교사보다 정서적 지형도 전체와 사회문화적 지형도, 도덕적 지형도 영역, 대상 중 영유아, 학부모에서 더 거리감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담임학급 영유아 인원수가 많은 유아교사가 정서적 지형도 전체와 도덕적 지형도 영역, 대상 중 영유아, 학부모에서 거리감을 더 느꼈다. 근무시간이 긴 교사가 정서적 지형도 전체와 사회문화적 지형도, 도덕적 지형도, 전문적 지형도, 정치적 지형도 영역, 대상 중 학부모, 동료교사, 원장(원감)에 대한 거리감을 더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정리한 바에 따르면 정서적 지형도에 나타난 거리감에 가장 유의한 영향을 많이 미친 변인은 근무시간이었으며 기관유형, 담임학급 영유아 연령, 담임학급 영유아 인원, 학력, 연령순으로 나타나 정서적 지형도에서의 거리감은 개인적 변인보다 기관적 변인의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정서적 지형도 영역 중 도덕적 지형도가, 정서적 지형도를 형성하는 대상 중 영유아와 학부모가 가장 많은 변인의 영향을 받아 거리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