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76 Download: 0

소비자의 C2C 중고거래 경험 연구

Title
소비자의 C2C 중고거래 경험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onsumers' Experience in C2C Secondhand goods Transaction
Authors
박고은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천혜정
Abstract
장기화된 불황 및 인터넷 및 모바일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소비자들 간의 중고거래, 중고품 직거래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기반 C2C 중고거래 경험을 탐색해보고 한국 사회에서 C2C 중고거래 활성화가 어떤 사회문화적 의미를 가질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터넷 및 모바일 플랫폼을 이용해 소비자 간 중고거래를 한 경험이 있는 2030 소비자 1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들은 모두 C2C 중고거래를 최소 1년 이상 하고 있는 소비자이며 스스로 ‘중고거래를 활발하게 한다’고 말하는 이들이다. 면담 내용은 참여자들의 동의하에 전부 녹취하였고 추후 전사하였다. 전사한 자료를 반복하여 읽으며 의미있는 주제덩어리들을 추출, 정리하였고 이를 범주화하여 다섯 가지의 핵심 주제를 도출하였다. 첫째. 온라인 C2C 중고거래의 성장은 똑똑한 소비를 추구하는 소비자의 증가와 연관이 있다. 소비자들은 판매자이든 구매자이든 간에 C2C 중고거래에 참여한다는 사실만으로 자신이 이익을 얻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소비를 잘 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고 있었다. 판매자는 사용하지 않을 물건을 현금화할 수 있고 구매자는 저렴한 비용에 필요한 것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거래참여자들 간 ‘WIN-WIN’관계가 형성된다. 이러한 생각은 중고거래에 대한 활발한 참여 및 긍정적인 인식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둘째. 소비자들이 C2C 중고거래를 재미있어한다는 사실은 C2C 중고거래 성장의 숨겨진 원동력이다. 소비자들은 C2C 거래를 통해 ‘역할놀이’를 하는 듯한 재미를 느끼기도 하고 저렴한 가격에 양질의 물건을 ‘득템’하는 기쁨을 느끼기도 한다. 소비자들이 단순히 비용절감을 위한 경제적 이유로 C2C 중고거래를 하는 것이 아니라, 놀이를 하는 듯한 재미와 보물을 찾을 수도 있다는 기대감에서 느끼는 즐거움 역시 크다. 셋째. 소비자들 간 직접 소통이 거래의 기반이라는 점은 C2C 거래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C2C 중고거래에서 소비자들은 그들이 원하는 대로 거래의 내용을 바꿀 수 있고 자신이 딱 필요로 하는 ‘바로 그것’을 구할 수 있으며 실제 사용자가 남긴 글을 통해 실질적인 소비자 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나의 필요와 상황에 ‘딱딱 맞춰 떨어지는’ 거래 경험들은 소비자들에게 큰 만족을 줄 뿐만 아니라 상당한 즐거움 및 편리함을 느끼게 한다. 넷째, 하지만 중고거래를 활발히 사용한다고 해서 모두 ‘똑똑한’소비자라 할 수는 없다. 대개 선착순으로 거래가 이루어진다는 점, 재고가 없고 물건이 하나뿐이라는 C2C 중고거래의 특성들은 소비자의 충동소비를 유발한다. 이렇게 우발적으로 소비를 하면서도 소비자들은 자신이 ‘합리적’인 소비를 하고 있다고 여겼다. 소비자들은 충동구매를 하면서도 시장가에 비해 저렴한 가격에 구매했다는 사실에서 큰 만족을 느끼고 이로써 자신의 소비를 ‘정당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다섯째. C2C 중고거래가 활발해지고 점차 보편화되고 있다고는 하지만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모르는 이와의 직접 거래는 항상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소비자들도 이를 알고 있기에 그들 나름대로의 안전망을 찾아나서고 있었는데, C2C 중고거래만을 목적으로 하는 플랫폼 외에 각종 커뮤니티들에서의 거래를 더 신뢰하고 있었다. 커뮤니티에서 활동하는 사람이라고 해서 모두 다 믿을 수는 없지만 자신이 소속감을 느끼는 커뮤니티일수록 해당 커뮤니티에서의 거래가 다른 플랫폼을 통하는 거래보다는 더 믿을 수 있다고 여기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비자의 C2C 중고거래 참여가 단순히 필요한 상품을 저렴히 구매하는 경제적 행위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님을 시사한다. 소비자들은 C2C 중고거래에 참여하면서 다양한 효용을 얻고 있으며 그들 나름의 전략과 연대로 C2C 중고거래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한국 사회에서 C2C 중고거래는 앞으로 더욱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C2C 중고거래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재화의 재분배와 같은 기본적인 경제적 기능 뿐 아니라 소비자들의 실제적 행위 차원과 사회문화적 맥락을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C2C 중고거래에 참여하는 소비자들의 경험을 통해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차원에서 소비자들의 가치와 행동이 어떻게 발현되고 상충되는지 보였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또한 이를 통해 C2C 중고거래의 소비문화적 가치를 발굴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With the advancement of the internet and mobile technology as well as the long-term recession, a market of a direct transaction of the secondhand goods has been growing rapidly.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consumers’ behavior of the online-based C2C secondhand goods transaction and to find out how the vitalization of the C2C secondhand goods transaction brings about a sociocultural significance in Korea. An in-depth interview was carried out for fourteen consumers aged from 20 to 30 years old, who have experienced the secondhand goods transaction by using the Internet and the mobile platform. All of them were participating in the C2C secondhand goods transaction at least over one year and they regarded themselves as an active participant in the secondhand transactions. Each interview was recorded and transcribed under the participant’s agreement. Several meaningful topic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reading the transcription repetitively, and these topics were further categorized into the five main themes. First, the growth of the online C2C secondhand goods transac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consumers pursuing a ‘smart’ consumption. The consumers, regardless of the buyer or the seller, tend to think that they are making profits only due to the fact that they are participating in the C2C secondhand transaction, and feel that they are consuming in a reasonable way. From this, the participants could build a ‘win-win’ relationship, in that the sellers can encash the unused goods, while the buyers can gain what they need at a low price. This kind of consumers’ thought leads to an active participation and a positive recognition of the secondhand goods transaction. Second, one of the driving forces in the development of the C2C secondhand goods transaction is the fact that the consumers find the C2C secondhand transaction enjoyable. The consumers think of the C2C transaction as a roleplaying, such that they feel excited about obtaining a high-quality goods from a good deal. They do not merely participate in the C2C secondhand transactions for the financial reasons to reduce their expense, but participate in them for the pleasure as if they are playing a role of the buyer and the seller and the expectation that they can find a valuable product as if they are finding a buried treasure. Third, one of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C2C secondhand goods transaction is that the transaction is based on a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sumers. The consumers can modify the terms and conditions of the transaction as they want, gain ‘the very items that they need’, and obtain the essential information from the experience of the actual users. The experience arising from the transaction that optimally meets one’s demand and circumstances can not only greatly satisfy the consumers’ needs but also provide a great deal of pleasure and convenience. Forth, the fact that the consumers are actively using the secondhand goods transaction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y are all the ‘smart’ consumers. The impulse purchase can be triggered by several characteristics of the C2C secondhand goods transactions: the transactions are generally available on a first-come-first-served basis, and the used items are not in stock, but exist the one and only item that can be bought. Even though the consumers are accidentally consuming the secondhand goods, they justify their impulse buying as a reasonable consumption that they can buy the items satisfactorily at a lower price compared to the market price. Lastly, although the C2C secondhand goods transaction becomes widely spread and gain its popularity, a direct transaction with the unknown individual in online can be dangerous. The consumers are already informed about the danger, so that they try to find their own way to protect themselves, which in turn leads them to trust more on the transactions in various “communities” other than the C2C secondhand transaction-oriented platforms. Even though they cannot trust an individual that is a member of that community, they tend to trust the transaction in the community where they feel a sense of belonging than that in the other platforms.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implies that the active participation in the consumers’ C2C secondhand goods transaction has a significance beyond the economic behavior that only pursues buying a product that they need at a low price. The C2C secondhand goods transaction provides a variety of efficacy to the consumers. The online-based C2C secondhand goods transaction is expected to become more popular in the future, but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sumer’s viewpoint in the C2C secondhand goods transaction, the sociocultural contexts as well as the fundamental economic function such as the redistribution of the commodities must be taken into an account. Relatively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online-based C2C secondhand goods transaction, being regarded as a kind of a subculture despite a great impact on the consumer’s daily lives. The present study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how the consumers’ value and behavior is realized and contradicted through their experiences in the C2C secondhand goods transaction with a practical and down-to-earth approach. Moreover, this study contributes to creating the cultural meaning of consumption in the C2C secondhand goods transa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