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52 Download: 0

듀이의 경험과 흥미 이론에 근거한 교육 실천 사례 분석

Title
듀이의 경험과 흥미 이론에 근거한 교육 실천 사례 분석
Other Titles
Case Analysis of Teaching Practice by Dewey’s Theory of Experience and Interest : Focusing on Teaching Activities by Reorganization of Competency Based Curriculum
Authors
이지은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환

한유경
Abstract
This study has a purpose that it is to analyze experience and interest of students, revealed in a practical case reconstructed by curriculum reorganization based on competence, depending on Dewey’s theory of experience and theory of interest, and it researches the teaching activities could relate with actual competence cultivation. This study developed each discussion in every chapter as follows. In the chapter Ⅰ, this study revealed teaching activities based on experience and interest of students were emphasized in the curriculum reorganization to derive practical changes of education fields in order to realize core competence 2015 revised curriculum stressed, and it suggested a purpose of this study and research inquiries. In the chapter Ⅱ, this study reviewed meaning of ‘experience’ from the Dewey’s theory of experience, and it organized the concept based on principles of educational experience. In the chapter Ⅲ, as contemplating Dewey’s theory of interest, this study researched concept,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interest’. In the chapter Ⅳ, depending on Dewey’s theory of experience and interest, this study analyzed experience and interest of students, revealed in practical cases by reconstructing curriculum in order to competence cultivation in education fields. Also, it researched what relation teaching activities focusing on experience and interest of students had with actual competence cultivation. In the chapter Ⅴ, this study summarized researches, revealed limitations and suggested issues for follow-up researches. This study researched Dewey’s theory of experience and interest as theoretical grounds for pedagogical meaning and importance of student’s experience and interest centered education. First, the experience is a special combination of active and passive elements and it emphasizes reflective thinking that could make it possible to connect them significantly. In addition, educational experience includes principle of consistency and principle of interaction. Second, characteristics of the interest include activeness and purpose compared to attitude of participants and it points out the integration of self and object. Four types of educational interest indicate physical interest, operational interest, theoretical interest, which develop sequentially, and social interest, which penetrate and develop them.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follows. First, as researching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and insignificance Dewey’s educational philosophy, this study helped comprehend pedagogical meaning and features of experience and interest of students. Second, as analyzing student’s experience and interest revealed in practical cases of teachers depending on Dewey’s theory of experience and interest, this study connected pedagogical theories with practical cases, and also it highlighted importance of authentic educational experience and interest of learners again. Third, as discussing relation between teaching activities focusing on experience and interest of students and competence cultivation that 2015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this study revealed that not just experience of students could not be simple experience and momentary stimulation but also educationally practical efforts to bring authentic educational experience and interest involving thought should be needed in order to realize core competence. ;본 연구의 목적은 듀이의 경험 이론과 흥미 이론을 근거로 하여 역량에 기반을 둔 교육과정 재구성에 의한 실천 사례에 드러난 학생들의 경험과 흥미를 분석하고, 이러한 학생들의 교육 활동이 실제로 역량의 함양과 관련을 맺고 있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각 장에서 다음과 같은 논의를 전개하였다. Ⅰ장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량의 구현을 위해 교육 현장의 실천적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에서 학생들의 경험과 흥미에 의한 교육 활동이 강조되었음을 밝히고, 이 연구의 목적과 연구 문제를 제시한다. Ⅱ장에서는 듀이의 경험 이론에서 ‘경험’의 의미를 살펴보고 교육적 경험의 원리를 토대로 해당 개념을 정리한다. Ⅲ장에서는 듀이의 흥미 이론을 고찰함으로써 ‘흥미’의 개념과 특징, 흥미의 유형을 살펴본다. Ⅳ장에서는 듀이의 경험 이론과 흥미 이론에 입각하여 교육현장에서 역량 함양을 위해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실천한 교육 사례에 드러난 학생들의 경험과 흥미를 분석한다. 또한 학생들의 경험과 흥미를 중심으로 한 교육 활동이 실제로 역량의 함양과 어떠한 관련을 맺고 있는지 살펴본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고 한계를 밝히며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경험과 흥미 중심의 교육에 대한 교육학적 의미와 중요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로서 듀이의 경험 및 흥미 이론을 살펴보았다. 첫째, 경험이란 능동적 요소와 수동적 요소의 특수한 결합이며 이들 사이의 유의미한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반성적 사고가 강조된다. 또한 교육적 경험에는 계속성의 원리와 상호작용의 원리가 내포되어 있다. 둘째, 흥미의 특징은 참여자의 태도로 비유되는 능동성과 목적성을 지닌 것이고, 자아와 대상의 통합을 나타낸다. 교육적인 흥미의 네 가지 유형은 순차적으로 발달하는 신체적 흥미, 조작적 흥미, 이론적 흥미 그리고 이들 사이로 침투하여 발달시키는 사회적 흥미를 말한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듀이의 교육 사상에서 경험과 흥미의 의미와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학생들의 경험과 흥미에 대한 교육학적 의미와 특징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둘째, 듀이의 경험과 흥미 이론에 근거하여 교사들의 교육 실천 사례에 드러난 학생들의 경험과 흥미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교육 이론을 실천 장면에 연결하고 이와 함께 학습자의 진정한 교육적 경험과 흥미의 중요성에 대해 재조명하는 의미를 지닌다. 셋째, 학생들의 경험과 흥미를 중심으로 한 교육 활동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역량 함양과의 관련성에 대해 논함으로써 핵심 역량의 구현을 위해 학생들의 경험이 단순한 체험과 순간적인 흥미의 유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고가 수반되는 진정한 교육적 경험과 흥미를 일으키는 교육 실천적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