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석향-
dc.contributor.author손정원-
dc.creator손정원-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2:06Z-
dc.date.available2020-02-03T16:32:06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37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378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2971-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의 목적은 북한 당국의 핵심적인 사업방식이자 통치방식인 대중운동을 김정은 시기 교육분야에서 고찰하는 것이다. 북한의 대중운동은 북한 주민의 자원과 노동력을 동원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해방 이후부터 사회 전 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졌다. 김정은 시기에도 북한 당국은 대중운동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특히 ‘3대혁명붉은기쟁취운동’, ‘모범교육군(시, 구역)칭호쟁취운동’ 등 교육분야에서 대중운동을 강조하며 교육일꾼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김정은 시기 북한 당국이 대중운동을 통해 교육분야에서 달성하려는 목표는 무엇인지, 교육일꾼을 동원하기 위하여 어떠한 담론을 구성하고 있는지 분석한다. 이를 위해 북한 당국이 교육일꾼을 대상으로 발행하는 「교육신문」 대중운동 기사를 내용분석하였다. 우선 주제 분석 결과 「교육신문」 대중운동 기사는 대중운동 열의, 교육내용, 교원, 교수방법, 학교관리, 개별학생과 학부모, 군 단위 교육사업을 주제로 분류할 수 있었다. 북한 당국은 주제별로 교육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대중운동을 전개하였다. 다음으로 핵심어휘 분석 결과 증오, 모범, 지도자, 행동, 애국심, 집단주의, 역할부여, 국가적 목표, 과학기술, 전쟁 관련 표현이 나타났다. 북한 당국은 이 같은 핵심어휘를 활용하여 교육일꾼을 추동 및 동원하는 담론을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신문」 대중운동 기사의 내용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북한 교육분야 대중운동의 특징을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 첫째, 정치사상화 작업을 촉진하고 김정은의 정통성을 강화하고 있다. 북한 당국은 당과 수령에게 충성하고 그 충성심을 실천으로 옮긴 학교나 교원을 대중운동의 모범 사례로 제시하며 정치사상교양을 강조한다. 또한 김정은을 김일성과 김정일의 “대를 이어” 주체혁명 위업과 사회주의 강성국가건설 위업의 “유훈”과 “위훈”을 “계승”한 존재로 묘사하여 김정은에 대한 정통성을 강화하고 충성을 강조한다. 둘째, 교육일꾼을 동원하여 교육분야의 물질적 조건을 마련하고 있다. 북한 당국은 새로운 교육정책을 추진하고 교육의 양적·질적 발전을 이룩하기 위해 첨단과학기술수단을 비롯한 교육설비 마련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 이에 따라 교육일꾼은 높은 애국심과 충정, 직업의식을 증명하기 위해 교육조건을 “자체로” 마련해야 했다. 셋째, 모범을 만들어 활용하고 있다. 북한 당국은 교육분야 대중운동에서 모범을 보인 단위에 3대혁명 붉은기나 모범교육군 칭호를 수여하고 다른 단위들이 모범 사례를 따라 배우도록 추켜세운다. 이처럼 상이나 모범 칭호는 모범 단위의 사회적 위치와 영향력을 강화하고, 교육일꾼의 능력과 자질을 증명하는 지표로 쓰인다. 넷째, 교육일꾼의 책임감과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북한 당국은 대중운동 참여 및 교육사업 수행을 교원의 책임이자 역할, 의무로 표현하여 교원의 직업적 양심과 도덕성을 자극한다. 또한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교육의 기본담당자인 교원에게 교육사업의 성패가 달렸다고 주장한다. 결과적으로 북한 당국은 필요에 따라 교육분야에서 대중운동을 전개하면서, 상이나 모범 칭호를 교육일꾼의 충성심과 자질을 증명하는 수단으로 활용하여 대중운동에 교육일꾼을 추동하고 있었다. 이처럼 본 연구를 통해 북한 당국이 해방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주요하게 활용해 온 대중운동을 교육분야에서 고찰하고 교육분야 대중운동의 목적과 교육일꾼 추동 담론을 파악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ass movement in education under the regime of Kim Jong-Un in North Korea. The mass movement in North Korea is an effective way to mobilize the resources and labor of the North Korean. North Korean authorities actively implemented the movement in all areas of society since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Even the regime of Kim Jong-Un still implements the mass movement actively. In particular, North Korean authorities are encouraging the active participation of educational workers by emphasizing the movement in education, such as ‘Achieving the Three Great Revolutionary Red Flags Movement’ and ‘Achieving the Exemplary Education District Title Movement.’ This study explores what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are trying to achieve in education through mass movement and what discourse is being constructed to mobilize educational workers, by analyzing the article about mass movement in the education-specialized newspaper, Kyo-yook Shinmun, from 2012 to 2017. As a result of content analysis, the newspaper articles could be categorized into seven themes, which were mass movement enthusiasm, educational contents, teachers, teaching methods, school management, individual students and parents, and district education projects.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have carried out mass movements to achieve educational goals on each subject. Next, the newspaper articles contain expressions related to hatred, model, leadership, action, patriotism, collectivism, role, national goal, science and technology, and war.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use these expressions to construct a discourse to mobilize educational work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of Kyo-yook Shinmu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ss movement in North Korea's education sector under the regime of Kim Jong-U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ss movements promote political ideology in education and reinforce Kim Jong-un's legitimac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strengthen political ideology education by commending teachers, principals, or students who are loyal to the supreme leader and the Korean worker's party with Juche Ideology and revolutionary awareness. Also, Kim Jong-un is described as the successor of Kim Il-sung and Kim Jong-il. It emphasizes legitimacy and loyalty to Kim Jong-un. Second, mass movements encourage educational workers to develop the material conditions of education.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stress that it is essential to prepare educational conditions, including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facilitie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new education policies an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evelopment of education. The provision of educational conditions by the educational workers themselves is the basis for demonstrating the high patriotism, loyalty, and professionalism of the educational workers. Third, best practice models are used to mobilize educational workers in mass movements.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award ‘Three Great Revolutionary Red Flags’ or title ‘Exemplary Education District’ to the school unit and encourage other units to learn those best practice models. The model is evidence of the skills and qualities of educational workers and it strengthens their social status and influence. Fourth, the responsibility and role of educational workers are emphasized in order to drive them into the mass movement. Participation in mass movements and educational work is described as the responsibilities, roles, and duties of teachers. Moreover, the regime emphasizes that the future of North Korea and the success of education depend on the teachers. In conclusion, this study explored the mass movement, which is the core business and governing method of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in educa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help us to understand the general methods of mobilization and discourse beyond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주요 개념의 정의 3 C. 선행연구 검토 5 Ⅱ. 연구 방법 7 A. 분석 대상 : 북한의 교육신문 7 B. 분석 방법 9 C. 분석 유목 11 Ⅲ. 북한 교육분야 대중운동 14 A. 3대혁명 붉은기쟁취운동 14 B. 모범교육군(시, 구역) 칭호쟁취운동 18 Ⅳ. 북한 교육분야 대중운동 주제 분석 21 A. 교육분야 대중운동 기사 주제별 보도 추이 21 B. 교육분야 대중운동 기사 주제 분석 24 1. 대중운동 열의 24 2. 교육내용 25 3. 교원 28 4. 교수방법 29 5. 학교관리 31 6. 개별학생과 학부모 33 7. 군 단위 교육사업 34 Ⅴ. 북한 교육분야 대중운동 핵심어휘 분석 36 A. 교육분야 대중운동 기사 핵심어휘별 보도 추이 36 B. 교육분야 대중운동 기사 핵심어휘 분석 38 1. 증오 38 2. 모범 39 3. 지도자 43 4. 행동 47 5. 애국심 48 6. 집단주의 49 7. 역할부여 50 8. 국가적 목표 53 9. 과학기술 54 10. 전쟁 55 Ⅵ. 북한 교육분야 대중운동의 특징 57 A. 정치사상화 작업과 지도자의 정통성 강화 57 B. 교육의 물질적 조건 마련 58 C. 모범 창조 및 활용 60 D. 교육의 중요성 강조와 교원의 책임 및 역할 62 Ⅶ. 결론 64 참고문헌 66 ABSTRACT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8441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북한 교육분야 대중운동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Mass Movement in Education under Regime of Kim Jong-Un in North Korea-
dc.creator.othernameSon, Jeongwon-
dc.format.pagevi,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북한학과-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