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8 Download: 0

고령자의 복지인식이 사회복지정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고령자의 복지인식이 사회복지정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Impact of the Welfare Perception of the Elderly on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 Focused on the Regulating Effect of the Experience of the Use of Social Services
Authors
박근주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for the enhancement of senior citizens’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by verifying the regulating effect of the experience of social services in their social welfar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policies. Recently, demands for social welfare have increased with the growth of the elderly population, Korean society is interested in the promotion and effect of the social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To establish and implement the proper social welfare policies for the needs of the aged, active evaluations of the policies should be made, and ultimately, the policies should be promoted so that the elderly, the persons directly concerned with the policies, can be satisfied with them. Thus,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of their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and the impact facto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the welfare perception of the elderly on their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assuming that the welfare perception of the elderly may serve as a factor determining their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experience (of the use) of social services would show a regul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elfar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by focusing on the social services expanding centered around the elderly. This study divided the welfare perception of the elderly into three factors: the perception of welfare expenditure, the perception of welfare recipients, and the perception of raising tax for welfare, and consider the multi-dimensionality of the independent variable, welfare perception. Then,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each factor on the dependent variable,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In addition, this study will check the influence of the experience (of the use) of social services by investigating if the experience (of the use) of social services by the elderly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welfar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from social welfare policies. For the analysis, this study utilized the 11thKoreaWelfarePaneldatasurveyedbytheKoreaInstituteforHealthandSocialAffairsandSeoulNationalUniversityInstituteofSocialWelfare,and1,108seniorcitizensagedover60,whocompletedthesurvey,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impact of the welfare perception of the elderly on their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the perceptions of welfare expenditure and welfare recipients, which are the sub-factors of welfare perception,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The elderly who perceived that welfare expenditure should be increased for the 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 and who perceived that welfare should be provided universally for all people, not just for the poor, had the lower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Meanwhile, the perception of raising tax for welfare did not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Second, in the verification of the regulating effect of the experience (of the use) of social service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act of) the welfare perception of the elderly and their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only the perception of welfare expenditur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welfare expenditure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the experience (of the use) of social services had a negative regulating effect. In other words, in the relationship in which the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decreased in those who perceived that welfare expenditure should expand for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the experience of the use of social services rather improved the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This is interpreted that for the elderly who perceived that welfare expenditure should be increased (experienced social services), the type and range of the social services were judged to be lower than they expected, which results in low satisfaction, and it seems that there should be an additional study for this. Meanwhile, in the impacts of the perceptions of welfare recipients and raising tax for welfare on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the experience of the use of social services did not have a regulating effect.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examined multi-dimensional welfare perception and the experience of the use of social services together as impact factors on the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As an impact factor on the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welfare perception formed based on individuals’value and subjective perceptions Also, this study sought practical solutions in welfare policies and welfare fields by investigating whether the experience (of the use) of social services is helpful for the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lfare perception of the elderly and the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In addition, by dividing welfare perception into three sub-factors: the perception of welfare expenditure, the perception of welfare recipients, and the perception of raising tax for welfare,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impacts of each factor on the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and the experience of the use of social services. In this process,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welfare expenditure by the elderly serves as an important impact factor, and a suggestion was drawn that there might be different determinants of their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As a practical implication, it is necessary to propose various, quality social services reflecting the needs of the elderly and review whether they have any limitation in terms of accessibility to the information on social services. It is required to continuously promote social services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the services and make an eff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social services and procedures of use to enhance the actual accessibility as well as to develop differentiated social services, considering the sex, education level, and economic level of the elderly and to expand qualitative promotional activities of developing promotional methods and strategies for that. In addition, to increase the use of the services, it is needed to develop the service contents that are easy to use and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s a policy implication, for the promotion of the elderly-related social welfare policies, it is necessary to explain to the elderly the purpose and the effect of welfare policies sufficiently. The elderly may not evaluate the effect of welfare policies positively if they do not trust the policies. Especially, in a situation in which it is predicted that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will continuously expand,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s important because the promotion of welfare policies with which the elderly are not satisfied ultimately cannot but be evaluated as a failure in spite of their direction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ir purpose. In addition, the elderly should be considered seriously in a process of designing the welfare policies because they are the direct recipients of social welfare policies. It is necessary to seek measures to enhance the satisfaction with welfare policies and to design them elaborately so that they could reflect the needs and understanding of the direct consumers of welfare policies.;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자의 복지인식과 사회복지정책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서비스 이용경험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고령자의 사회복지정책만족도 향상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최근 고령 인구 증가에 따라 사회복지 수요가 확대되면서 한국 사회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정책의 추진과 효과에 관심을 두고 있다. 고령자의 욕구에 맞는 사회복지정책을 수립하고 이행하기 위해서는 정책에 대한 평가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고, 궁극적으로 정책의 당사자들의 만족도와 효과성을 높이는 정책이 추진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사회복지정책만족도와 그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복지인식’이 사회복지정책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고, 고령자의 복지인식이 사회복지정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동시에 고령자를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는 사회서비스에 주목하여, 사회서비스 이용경험이 고령자의 복지인식과 사회복지정책만족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인 복지인식의 다차원성을 고려하여 고령자의 복지인식을 복지지출에 대한 인식, 복지대상에 대한 인식, 복지증세에 대한 인식의 세 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이후 각 요인들이 종속변수인 사회복지정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고령자의 사회서비스 이용경험이 복지인식과 사회복지정책만족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검증함으로써 사회서비스의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서울대 사회복지연구소가 조사한 제 11차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조사 완료된 만 60세 이상 고령자 1,108명을 본 연구의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자의 복지인식이 사회복지정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복지인식의 하위요인 중 복지지출 대한 인식과 복지대상에 대한 인식은 사회복지정책만족도와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 복지정책을 위해 복지지출을 더 늘려야 한다고 인식하는 고령자와, 복지를 가난한 사람만이 아닌 모든 사람들에게 보편적으로 제공해야 한다고 인식하는 고령자의 경우 현재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복지증세에 대한 인식은 사회복지정책만족도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령자의 복지인식이 사회복지정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사회서비스 이용경험의 조절효과 검증에서는 복지지출에 대한 인식만이 사회복지정책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다는 결과를 보였고, 복지지출에 대한 인식과 사회복지정책만족도의 관계에 있어 사회서비스 이용경험은 부적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령자 복지정책을 위해 복지지출을 늘려야 한다고 생각할수록 사회복지정책만족도가 낮아지는 관계에서, 사회서비스 이용경험이 고령자의 복지인식과 사회복지정책만족도의 관계를 오히려 강화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복지지출을 늘려야 한다고 인식하는 고령자가 사회서비스를 경험했을 때 사회서비스의 종류 및 범위가 자신의 기대보다 낮다고 판단되어 오히려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해석되며, 이를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복지대상에 대한 인식과 복지증세에 대한 인식이 사회복지정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사회서비스 이용경험이 조절효과로 작용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는 다차원적인 복지인식과 사회서비스 이용경험을 사회복지정책만족도의 영향요인으로 함께 살펴보았다는 점에 있다. 사회복지정책만족도의 영향요인으로 개인의 가치와 주관적 인식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복지인식에 주목하였으며, 고령자의 복지인식과 사회복지정책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서비스 이용경험이 사회복지정책만족도에 도움이 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복지정책과 복지현장의 실천적 대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복지인식을 복지지출에 대한 인식, 복지대상에 대한 인식, 복지증세에 대한 인식의 세 가지 하위요인으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요인이 사회복지정책만족도와 사회서비스 이용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서 고령자의 복지지출에 대한 인식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고령자의 사회복지정책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이 다를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실천적 함의로는 고령자의 욕구를 반영한 다양하고 질 높은 사회서비스가 제안되어야 하며 사회서비스 정보 접근성 측면에서 제한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지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사회서비스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홍보와 실제 이용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사회서비스 내용 및 이용절차에 대한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고령자의 성별, 교육, 경제수준 등을 고려한 차별화된 사회서비스의 개발과 이에 대한 홍보방법 및 전략을 개발하는 질적인 홍보 활동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서비스 이용 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실제 이용이 쉬우면서도 고령자의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 내용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책적 함의로는 고령자 관련 사회복지정책을 추진을 위해 고령자를 대상으로 복지정책의 목적과 효과를 충분히 설명할 필요가 있다. 고령자가 복지정책을 신뢰하지 못하면 복지정책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고령자 대상의 복지정책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것이 예견되어있는 상황에서 고령자가 만족하지 못하는 복지정책을 추진하게 되면 그 방향과 목적의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궁극적으로는 정책실패로 평가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분석결과가 주는 함의는 중요하다. 또한 사회복지정책의 직접적 수혜자인 고령자가 복지정책의 설계과정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복지정책의 직접적 수요자의 요구와 이해가 반영될 수 있도록 정책을 정교하게 설계하여 복지정책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