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3 Download: 0

일하는 청년의 시간압박(Time Pressure)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Title
일하는 청년의 시간압박(Time Pressure)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Other Titles
A Factor Analysis of Time Pressure on Working Youth
Authors
김민정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윤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일하는 청년의 시간압박(time-pressure) 정도를 분석하여 이들의 불안정성과 전반적인 삶의 질에 대한 다차원적인 접근 및 제언을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 거주 여부에 따른 시간압박 차이를 살펴보았고, 일하는 청년의 일자리 특성, 인적자본 특성, 그리고 가구경제 특성을 중심으로 시간압박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 활용한 자료는 한국노동패널 17차 가구용, 개인용, 그리고 부가조사 자료인 ‘시간사용과 삶의 질’을 병합한 자료이다. 분석대상자는 연구의 목적에 따라 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자’에 속하는 만 19세~29세의 일하는 청년으로, 총 602명이다. 연구 설계에서 종속변수는 ‘시간압박 정도(degree of time pressure)’로, 시간압박을 구성하는 세 가지 시간영역인 ‘생활필수시간’, ‘사회활동시간’, ‘여가시간’의 압박 여부에 따라 ‘압박 없음’, ‘다소 압박’, ‘압박’, 그리고 ‘매우압박’으로 정도를 나누었다. 독립변수는 일자리 특성(종사상지위, 직종, 월평균소득), 인적자본 특성(교육수준, 자격증 유무), 그리고 가구경제 특성(부모의 경제적 도움 여부, 가구자산)이며,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혼인상태, 거주 지역)은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카이제곱 검정, 독립표본 t-검정,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수도권 거주 여부에 따라 일하는 청년의 시간압박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카이제곱과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이들의 시간압박은 수도권 거주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수도권에 거주하는 일하는 청년의 경우 시간압박을 더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일하는 청년의 시간압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일자리 특성 중에서는 ‘직종’이 시간압박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서비스·판매·단순노무직에 종사하는 일하는 청년의 경우 시간압박을 더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적자본 특성 중에서는 일하는 청년의 시간압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경제 특성 중에서는 ‘가구자산’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가구자산이 낮을수록 시간압박을 더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인 개인적 특성 중에서는 연령과 거주지역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연령이 높을수록, 그리고 거주지역의 경우 수도권에 거주할 때 시간압박을 더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서술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일하는 청년의 시간압박에 대한 해석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하는 청년의 시간압박은 거주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지역격차에 따른 시간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 및 인프라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불안정 노동에 속하는 서비스·판매·단순노무직은 고용의 불안정을 경험할 뿐만 아니라 시간의 불평등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들에 대한 일-생활시간 균형(work-life time balance)을 보장해주어야 한다. 서비스·판매·단순노무직에 대한 소득보장과 사회보험 가입의무 준수를 지속적으로 강화해야 하며, 자유롭게 휴게시간 및 휴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서비스·판매·단순노무직에 종사하는 일하는 청년이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소득 및 정서적 지원, 그리고 공간적 지원을 해주어야 한다. 셋째, 가구자산, 즉 가정의 경제적 지위에 따라 일하는 청년의 시간압박에 차이가 나타났으므로, 이에 대한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 상대적으로 부모로부터 대물림된 부가 부족한 빈곤층의 청년이나 사각지대에 빠질 수 있는 중산계층의 청년에게도 동일한 혜택을 지원하는 보편적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보편적 청년 기본소득이 시행 및 강화되어야 하며, 과잉된 부동산 소유를 억제하고 상속세의 증대를 추진해야 한다. 또한, 청년에게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는 학자금 대출, 주거비용, 취업준비활동에 대한 지원 정책이 강화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gree of time pressure" on working youth and to offer multidimensional approaches and suggestions on their precariousness and overall quality of life.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in time pressure according to the area of residence, and then analyzes factors affecting time pressure focusing on the job characteristics,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and household economy characteristics. The raw data used for the analysis was the 17th wave household, individual, and supplementary survey of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conducted by Korea Labor Institute. The subject limited for this study is the working youth aged 19 to 29, belonging to the state of "employed" among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nd the total was 602. In the research design,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degree of time pressure", which depends on the pressures of the three time domains that constitute time pressure: "life essential time", "social activity time", and "leisure time". Depending on how many categories that a subject fell into, the degree was divided into "no time pressure", "somewhat pressured", "pressured", and "very pressured".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job characteristics (status of workers, types of occupation, average monthly income),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education level, presence of certificates), and household economy characteristics (availability of parental financial help, household assets),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x, age, marital status, area of residence) are set as the control variables. SPSS 23.0 was used as a tool,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hi-squared test, independent two sample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statistical techniques. The primary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ime pressure of working youth depending on whether they live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analyzed by using chi-squared test and independent two samples t-test. The result was that the working youth who live in the metropolitan area experienced more time pressure. Secondl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various factors on time pressure of working yout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job characteristic factors, “types of occupation”had a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 on the time pressure, and among them, working youth in service, sales, and simple labor sector experienced more time pressure. On the other hand, among the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there was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ime pressure of the working youth. Among the household economy characteristics, “household asset” had a significant negative (-) influence on the time pressure, which means that the lower the household asset, the more time pressure that the working youth experiences. Amo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which are the control variables, age and the area of resid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older the working youth, the more they experienced time pressure, and in the case of area of residence, the working youth who live in the metropolitan area had more time press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interpretation and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for alleviating the time pressure of the working youth. Firstly, Since the time pressure of the working youth are different depending on where they live, various policies and infrastructures need to be improved to resolve the time inequality caused by regional gap. Secondly, workers who belong to precarious work such as service, sales and simple labor sectors are not only experiencing employment instability, but also experience time inequalities. Therefore, a "work-life time balance" must be guaranteed especially for them. Also, Income protection and social insurance obligations for the workers in service, sales, and simple labor sectors should continuously be strengthened, and recess time and holidays should be more provided. Furthermore, income, emotional and spati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the working youth engaged in service, sales and simple labor sector, to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more in social activities. Lastly, sinc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me pressure according to the household assets of the working youth, policy intervention is needed, for alleviating so-called "passing down of wealth" tendency in Korea. An universalistic youth policy should be in place to support the same benefits for young people in the middle class who might fall into the poor or those who are already in the poor strata, lacking wealth inherited from their parents. To this end, universal youth basic income must be implemented and strengthened. Also, the excess property ownership must be curbed, and the increase in inheritance tax should be promoted. In addition, support policies for student loans, housing costs, and job preparation activities, which are of greatest concert to young people, should be strengthe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escribed above,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also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