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9 Download: 0

성역할 고정관념의 장기적 변화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성역할 고정관념의 장기적 변화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Long-term Changes in Gender role Stereotypes on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Authors
김하은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익중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성역할 고정관념의 장기적 변화와 그 변화 양상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관련한 연구 및 향후 정책과 교육 방안을 수립함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성역할 고정관념은 청소년기에 형성되는 주요 가치관 중 하나로, 자아정체감을 형성해가는 청소년 시기의 진로성숙에 개인적, 사회적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현재 시행되고 있는 진로교육은 성평등에 대한 내용을 전혀 담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선행 연구들을 통해 성역할 고정관념과 진로성숙도의 형성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 그리고 두 변인 간의 관계에 있어 남학생과 여학생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이를 살펴보는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시기 성역할고정관념의 장기적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변화양상과 영향에 있어 성별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한국청소년패널 중학교 2학년 1차년도에서 5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총 3,4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도출을 위해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분석에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위해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검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성역할 고정관념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에서 모두 상승하는 양상을 보였고, 개인차가 존재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초기치와 변화율의 상관을 검증한 결과에서는 부적상관이 나타나 초기치가 높을수록 천천히 상승하며, 초기치가 낮을수록 빠르게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성역할 고정관념의 변화에 있어 남학생과 여학생의 잠재평균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시점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청소년의 성역할 고정관념의 장기적 변화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남학생과 여학생의 모든 집단에서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구조동일성 검증 결과 구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역할 고정관념의 초기치와 변화율 모두가 진로성숙도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현장에서 성역할에 대한 충분한 담론이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남학생들이 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 한다. 둘째, 성평등 교육과 양성평등 진로교육에 있어 교사와 학교사회복지사의 노력과 협력이 우선되어야 하며, 부모의 역할과 미디어의 영향력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성평등 교육과 양성평등 진로교육에 있어 조기개입에 더욱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교육과정의 제도적·질적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최근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성평등에 대한 청소년들의 관심을 반영하여 청소년들의 성역할 고정관념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연구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중·고등학교 전반에 걸친 성역할 고정관념의 변화양상과 이러한 변화가 진로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살펴보아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두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들은 성평등 교육과 양성평등 진로교육의 실천 및 정책에 대한 근거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패널데이터는 2003년부터 2007년에 걸쳐 측정된 데이터로, 청소년들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지 못하였다. 따라서 최신 데이터가 꾸준히 구축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성 관련 변인으로 성역할 고정관념만을 사용하였다. 추후 더욱 다양한 성 관련 변인들의 영향을 살펴보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성역할 고정관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에 있어 구체적인 요인과 경로까지 분석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추후 다양한 연구방법을 시도하여 그 관계를 더욱 심층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ong-term changes in gender role stereotypes and their effects on career maturity, and to provide basic data in the research and the establishment of future policies and education plans. Gender role stereotypes are one of the major values ​​that form during adolescence, and have a personal and social impact on career maturity during adolescence. However, the current career education does not contain any information on gender equality.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gender differences in the formation of gender role stereotypes, career maturity, changes over tim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but no studies have yet been conducted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term changes in the gender role stereotypes of adolescent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se changes on career maturity. Also, this study examined whether gender differences exist in these patterns and effects. The used data is from the 1st year to 5th year of the Korean Youth Panel-Middle School ages. A total of 3,449 students were included. The SPSS 25.0 program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to derive the results, and the AMOS 23.0 program was used to verify the Latent Growth Model (LG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ender role stereotypes of adolescents rose with the passage of time.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an upward trend, and individual differences were fou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negative correlation appeared. This means the higher the initial value, the slower the rate, and the lower the initial value, the faster the rate.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latent mean analysi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the latent mean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change of gender role stereotypes, it was confirmed that 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female students at all time points. Second, the effects of long-term changes of gender role stereotypes on career maturity were found to be negatively significant in all groups of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Structural equation test showed no difference in structure and both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of gender role stereotypes negatively affected career maturit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ufficient discourse on gender roles should be made at school sites, especially between male students. Second, In gender equality education and gender equality career education, the efforts and cooperation of teachers and school social workers should be a priority, and the role of parents and the influence of the media also need to be noted. Third, early intervention in gender equality education and gender equality career education should be made, and institutional·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should be mad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reflects the youth's interest in gender equality and reflects the needs of the current age by examining the effects of gender role stereotypes on career maturity. Second, this study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ies by examining the changes in gender role stereotypes and their effects on career education throughout the middle and high schools. Thir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an be used as a basis for the practice and policy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and gender equality career educa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nel data used in this study was measured from 2003 to 2007, and did not examine recent trends of adolescents. This raises the need for a steady stream of up-to-date data. Second, this study used only gender role stereotypes as sex-related variables.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ore diverse sex-related variables. Third, this study did not analyze specific factors and pathways in the longitudinal effects of gender role stereotypes on career matur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y various research methods lat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more in dept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