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5 Download: 0

노인의 사회적 자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분석

Title
노인의 사회적 자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분석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Social Capital on the Depression in the Older Genera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Geographic Accessibility
Authors
김나연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현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 depression of the growing elderly population. The older generation are more vulnerable to depression due to poor physical function, bereavement from spouses and acquaintances, and economic difficulties. It is also a time when the amount and the quality of social networks are drastically reduced due to retirement and decrease in external activities. Accordingly, an increasing number of senior citizens are suffering from depression, which became a major condition in the mental health of the older generation in South Korea. Therefore, this study begins with the need for an exploration of the social capital that could affect the depression in the older generation. In conducting a study on the relevance of social capital to depression, this study was interested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It is assumed that environmental factors in residential areas, along with physical deterioration in old age, would have an important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Numerous preceding studies have sufficiently demonstrated the impact on mental health with social capital; however, there are very rare studies about the interaction between environments and social capital. This study, therefore, intended to use the 2017 data from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o see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depression and interactions between social capital and individual’s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welfare facilities, amenities and hospitals in residential areas. Two hypotheses were developed for this study: First, the social capital is negatively related to depression in the older generation. Second, the higher levels of social capital combined with the higher levels of geographical accessibility is associated with the lower likelihood of depression in the older generation. Depression was measured as a binary variable(depressed/not depressed). Social capital was analyzed by the kinship network, the non-kin network, a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civil society. For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elderly, the respondents were also divided into subgroups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gender, generation, single or multiple person household, and physical health status. The research questions for subgroup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depression according to subgroups of seniors? Second, is there a difference in moderating effect of geographic accessibility in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n depression according to subgroups of seniors? T-test, ANOVA analysis, x2-test, logistic regression modeling were utilized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While controlling sociodemographic, housing environment, self-rated health status and health related behavior variables,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ographical accessibility on elderly depression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lderly's kinship network, non-kin network, and participation in civil society reduce the possibility of depression. Second, the interaction term of social capital and geographical accessibility only appeared significant in non-kin networks. Third, the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n depression by subgroups was generally small. Fourth, the interactions between social capital and geographic accessibility by subgroups were also minimal in general. However, some of subgroups such as seniors in their 60s or multi-person household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terms of geographical accessibility and social capital. As the respondent’s geographic accessibility improves, the non-kin networks in their 60s lower the possibility of depression. The non-kin networks of seniors in multi-person households had also significant interactions with geographic accessibility and they decrease the possibility of depres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mong the various factors on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proved significant and showed the importanc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However, this study is limited since it did not utilize specific residential area variables, did not use the longitudinal data necessary to identify environmental impacts on individuals,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was only identified with geographical accessibility. In future studies, detailed local variables could be utilized to look more deeply into the environmental impact on social capital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본 연구의 목적은 증가하고 있는 고령 인구의 우울에 사회적 자본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노년기에는 신체 기능의 저하, 배우자 및 지인과의 사별,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말미암아 타 연령 집단에 비해 우울 문제에 취약하다. 은퇴 및 대외 활동이 줄어들어 사회적 관계망의 양과 질이 급격히 저하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노인 정신 건강의 대표 질환인 우울을 호소하는 노인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적 자본에 대해 탐색적인 조명이 필요하다는 문제 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사회적 자본과 우울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를 시행함에 있어 본 연구는 물리적 환경에 관심을 가졌다. 노년기에는 신체 기능이 저하되어 거주 지역의 물리적 환경 요인이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추측하였기 때문이다. 다수의 선행 연구를 통하여 사회적 자본이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은 이미 충분히 검증된 바 있지만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자본의 상호작용 가능성과 이 요소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염두에 두고 진행된 연구는 매우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보건사회연구원에서 발표하는 ‘노인실태조사 2017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사회적 자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주거지역의 대중교통, 복지관, 편의시설, 병의원 등에 대한 지리적 접근성의 조절 효과가 존재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 가설을 설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첫째, 노인의 사회적 자본은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노인의 사회적 자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지리적 접근성은 조절 효과를 지닐 것이다. 사회적 자본은 가족 연결망과 비가족 연결망의 연락 및 만남 빈도, 그리고 시민사회 참여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노인에 대한 더욱 세부적인 파악을 위하여 전체 응답자를 성별, 연령대, 1인 가구 여부, 신체 건강 여부로 나누어 각각의 집단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비교해보았다. 하위집단 분석을 위한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하위 집단에 따라 사회적 자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노인의 하위 집단에 따라 사회적 자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지리적 접근성에 차이가 있는가? 가설 검증을 위하여 노인 우울에 미칠 수 있는 인구통계학적, 신체 건강 변인들을 통제한 후 사회적 자본의 영향력과 지리적 접근성의 조절효과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가족 연결망, 비가족 연결망, 시민사회 참여도는 우울 가능성을 경감시킨다. 둘째, 지리적 접근성의 조절 효과는 노인의 사회적 자본 중 비가족 연결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만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하위 집단 분류에 따라 사회적 자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은 집단에 관계없이 모두 95% 신뢰 구간 내에서 유의미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가 부분적으로 존재하였으나 대체적으로 크지 않았다. 넷째, 지리적 접근성과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는 60대 집단과 다인 가구 집단에서 유의미한 상호작용항이 발견되었다. 60대와 다인 가구 노인의 비가족 연결망은 지리적 접근성이 좋을수록 우울 가능성을 더욱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노인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 중 사회적 자본의 영향력이 유의미함을 검증하고 물리적 환경의 중요성을 보여줬으며 다양한 노인 집단 비교를 실시하였다는 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세분화된 거주 지역 변수를 활용하지 못했다는 점, 물리적 환경을 오직 지리적 접근성으로만 파악했다는 점, 환경적 영향의 파악에 필요한 종단자료를 사용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향후 연구에서는 세부적인 지역 변수를 활용하여 노인의 사회적 자본과 우울에 미치는 환경적 영향과 그 원인에 대하여 보다 심층적으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