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1 Download: 0

포스터 제작 협동 활동과 연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의 인성역량, 장애학생 수용태도 및 친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포스터 제작 협동 활동과 연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의 인성역량, 장애학생 수용태도 및 친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 connected with poster production cooperative activities on character competency, acceptance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ro-social behavior of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s
Authors
정지선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숙향
Abstract
오늘날 학교폭력, 따돌림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위 또는 장애유무에 따른 차별과 혐오 발언 등 장애학생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학벌과 같은 외적인 성취를 강조하는 경쟁 위주의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학생들의 더불어 사는 능력이 낮아졌다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는「인성교육진흥법(2015)」을 제정하는 등 인성교육에 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인성이란 개인 내적인 면뿐만 아니라 관계 및 사회적인 면에서도 고루 함양되어야 하는 성품 또는 인간다움으로 존중, 배려, 책임, 정직, 소통, 협동, 예 등과 같은 인성덕목을 포함한다. 인성을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데 지녀야 할 사회성과 관련된 성품으로 본다면, 인성교육은 인간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하며 타인과 협력할 줄 아는 역량을 기르기 위해 통합학급 학생들에게 꼭 필요하며, 장애학생들의 사회화 과정에도 꼭 필요한 교육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참여로 인해 학급 내 다양성이 증가한 통합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급 내 모든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포스터 제작 협동 활동과 연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학생의 인성역량, 장애학생 수용태도, 친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에 위치한 A초등학교 4학년과 5학년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2명과 그들이 속해 있는 각 통합학급 비장애학생 51명이고, 통제집단은 B초등학교 4학년과 5학년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2명과 그들이 속해 있는 각 통합학급 비장애학생 44명이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인 포스터 제작 협동 활동과 연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해당 초등학교의 특수교사인 연구자가 연구 참여 학급에서 주 2회씩 총 20회기 실시하였다. 포스터 제작 협동 활동과 연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비장애학생의 인성역량 및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두 집단을 대상으로 인성역량 및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대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비장애학생의 자료는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인성역량과 장애학생 수용태도의 사전검사 점수를 통제한 후 사후검사 점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했으며, 장애학생의 인성역량 및 친사회성의 변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점수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터 제작 협동 활동과 연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인성역량의 전체 영역 및 자기존중, 배려·소통, 책임, 정직·용기, 정의의 모든 하위영역에서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본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학생의 인성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또한 포스터 제작 협동 활동과 연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장애학생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인성역량에 대한 사전, 사후검사 점수의 변화를 산술적으로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 장애학생의 경우 2명 모두 인성역량 전체 영역 및 모든 하위영역에서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 점수가 향상된 반면, 통제집단 장애학생의 경우 1명은 점수가 향상되었으나, 1명은 감소하였다. 이는 본 프로그램을 통해 장애학생의 인성역량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둘째, 포스터 제작 협동 활동과 연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장애학생 수용태도의 전체 영역 및 학습활동, 조력활동, 일상활동의 모든 하위영역에서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본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셋째, 포스터 제작 협동 활동과 연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장애학생의 친사회성에 대한 사전, 사후검사 점수의 변화를 산술적으로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 장애학생 2명과 통제집단 장애학생 2명 모두 친사회성 전체 영역에 대한 점수가 향상되었다. 하위 영역에 대해서는 실험집단 장애학생 2명은 모두 도움주기, 나누기, 협력하기, 위로하기의 모든 하위영역의 점수가 향상된 반면, 통제집단 장애학생 1명은 나누기, 협력하기 하위영역의 점수가 감소하였다. 즉, 실험집단 장애학생 점수의 향상 정도가 통제집단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본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친사회성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 분야에서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모든 학생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인성역량, 장애학생 수용태도, 친사회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oday’s school violence, bullying, discrimination, hate speech based on their status or disability, negative attitudes toward student with disabilities have emerg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and this is recognized by the fact that student’s ability to live together is reduced because of a competitively-oriented social atmosphere that emphasizes external achievements such as educational background. To solve these problems, the government is making efforts for character education by enacting the 『Act on the Promotion of Character Education (2015)』. Character is a personality or humanity that should be cultivated equally not only in personal but also in relational and social aspects. It includes character virtues such as respect, consideration, responsibility, honesty, communication, cooperation, manner(etiquette), etc. Character education is essential to inclusive students in order to understand human diversity, respect each other and cooperate with others, and it is essential to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o.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mpact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connected with poster production cooperative activities for all students in the inclusive classroom which has increased diversity in the classroom due to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on the character competency of inclusive students, acceptance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ro-social behavior.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tw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rades 4 and 5 of A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51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each inclusive class, the control group was tw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rades 4 and 5 of B elementary school, and 44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each inclusive class.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connected with poster production collaborative activities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wice a week, 20 times in a class engaged in study, by researchers, a special education teacher at the school. In order to analyze whether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connected with the poster production cooperative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haracter competency and acceptance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pre-post test of the character competency and acceptance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both groups. For the data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he covariance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trol the pre-test scores of character competency and acceptance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echnical statistical score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degree of change in character competency and pro-social behavio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connected with the poster production collaborative activities showed that the all area of character competency and the scores in all sub-areas of self-respect, consideration and communication, responsibility, honesty, courage and justi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meaning that th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haracter competency of inclusive students. In addition, after looking at the variation in the scores of the character competency of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connected with poster production collaborative activ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ores of post-test for both student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compared to the pre-test in the all area of character competency and in all sub-areas, while one student in the control group showed a decrease in scores. This means that there has been a positive change in the character competenc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program.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connected with the collaborative poster production activities showed that the overall level of accepta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overall level of learning, tidal and daily activit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meaning that th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acceptance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inclusive students. Third, after looking at the variation in the scores of the pro-social behavior of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connected with collaborative poster production activ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ores for the all area of pro-social behavior were improved for both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control group. For the sub-areas, both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scores in all sub-areas of help, division, cooperation and comfort, while one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control group decreased scores in the sub-areas to divide and cooperate. In other words, we could see that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the scor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greater than in the control group, which means that the program has made a positive change in the pro-social behavio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inclusive classrooms.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developed and applied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for all students of inclusive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which resulted in positive effects on character competency, acceptance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ro-social behavio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