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최재연-
dc.creator최재연-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1:59Z-
dc.date.available2020-02-03T16:31:59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31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311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2940-
dc.description.abstract청소년기는 신체 및 정서적으로 큰 변화를 겪는 시기인 동시에 성인기를 준비하는 시점이다. 학교뿐만 아니라 사회에서는 서로 간의 의사소통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한다. 특히 학교를 벗어나 성인으로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메시지를 받고 이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전달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을 갖는 것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기능을 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즉, 의사소통 능력이 성공적인 성인기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많은 연구들이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있는 발달장애 학생을 위해 보완대체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을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아동을 대상으로 하며, AAC 중 도구적 방법을 사용한 경우가 많다. 도구적 AAC의 경우, 사용되는 그림상징과 도구 사용법을 배우고 습득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도구적 AAC의 사용에 제한을 겪게 된다. 반면 비도구적 방법 중 몸짓상징은 도구적 AAC비해 습득 및 사용을 위해 요구되는 신체 및 인지능력 수준이 낮고 즉각적 사용이 가능하여 발달장애 청소년에게 더 유용할 수 있다. 국외에서는 이러한 몸짓상징을 활용한 중재를 통해 의사소통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하고 있으나, 국내에는 몸짓상징을 활용한 연구가 매우 적은 편이며 대부분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몸짓상징 「손담」을 적용한 연구는 시청각중복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것이 유일하여 발달장애 청소년에게 적용되었을 때 효과를 보고한 연구는 없다. 이에 보다 체계적인 연구를 거쳐 개발된 「손담」을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있는 발달장애 청소년에게 적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 청소년 6명을 대상으로 서울시에 위치한 사립 특수학교에서 두 달간 10회의 몸짓상징 「손담」 교수를 실시하였다. 몸짓상징 「손담」 교수는 교사 대상 오리엔테이션, 주간 회의, 수업 시간 및 일과 시간을 활용한 교수(어휘 제시, 교수 자료를 활용한 교수, 모델링 및 모방, 강화 또는 피드백), 가정 연계를 위한 자료 제공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 설계(pretest-posttest group design)를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몸짓상징 「손담」 교수 실시 전과 후에 사전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몸짓상징 「손담」 교수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SPSS 18.00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검사와 사전검사의 차이에 대해 Mann-Whitney U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몸짓상징 「손담」 교수에 참여한 발달장애 청소년 실험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의사소통행동의 빈도가 증가하였다. 둘째, 몸짓상징 「손담」 교수에 참여한 발달장애 청소년 실험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의사소통행동의 기능 중 반응하기의 빈도가 증가하였으나 기능의 확장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몸짓상징 「손담」 교수에 참여한 발달장애 청소년 실험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의사소통행동의 양식 중 구어와 제스처의 빈도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몸짓상징 「손담」 교수가 발달장애 청소년의 의사소통행동의 발생 빈도를 증가시키고 의사소통행동의 양식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이전에 실시되었던 의사소통 관련 연구가 학령 전 또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던 것과는 달리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적절한 의사소통 방법을 찾지 못했던 발달장애 청소년에게 적절한 AAC 체계를 제공하여 수업 시간 내 몸짓상징 「손담」 교수를 통해 의사소통 향상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Adolescence is a time to experience major physical and emotional changes while preparing for adulthood. In schools as well as in schools, social relationships are formed through communication. In particular, in order to take part in community as an active member of society after school, it is very important for adolescents to have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others by receiving messages from others and expressing their opinion in a proper way. In other words, communication ability is one of the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adulthood. Many studies us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to support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have difficulty communicating so that they can communication better with others. Most studies, however, involve children, and use AAC tools. In the case of using AAC tools, there is a limitation in using the AAC tools since it is difficult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learn the picture symbols used in the AAC tools and acquire how to use those AAC tools. As compared to AAC using tools, simplified manual sign of AAC without tools may be more useful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communicating because it requires its users lower levels of physical and cognitive abilities to understand the ways of using it, and it is also available to use immediately. International studies have reported the effects of implementing the interventions using such simplified manual sign on those students' communication.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using the simplified manual sign in Korea, and most of them are mainly for young children. In addition, the only study applying the simplified manual sign 「SON-DAM」 in Korea was for the congenital Deaf-Blindness. In other words,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nd reported the effects of the simplified manual sign when applied to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is regard, the present study will apply the simplified manual sign 「SON-DAM」 developed through more systematic research to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have difficulty in communication. Therefore, the simplified manual sign 「SON-DAM」teaching were given to six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a private special school in Seoul for two months. The simplified manual sign 「SON-DAM」 consists of orientation period for teachers, weekly meetings, teaching during class and daily schedule time (vocabulary presentation, teaching through teaching materials, modeling and imitation, reinforcement or feedback), and providing materials for family connections. This study used pretest-posttest group design. For this purpose,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simplified manual sign 「SON-DAM」instruction. Also,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simplified manual sign 「SON-DAM」teaching, Mann-Whitney U in SPSS 18.0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differences on the results of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from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in those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simplified manual sign 「SON-DAM」instruction was increased as compared to that of adolescents from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frequency of responding among the functions of communication in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creased as compared to that of adolescents from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extension of the functions of communication found in adolescents. Lastly, the frequency of speech and gestures in the mode of communication was found to be increased in adolesc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s compared to that of adolescents i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mply that teaching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implified manual sign 「SON-DAM」 can increase the frequency of their communication and positively influence the mode of their communication. Unlike the previous studies on communication targeting pre-school and school-age children,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provided the appropriate AAC system to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were not able to find an appropriate communication method, and that it proved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implified manual sign 「SON-DAM」on improving their communi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문제 7 C. 용어의 정의 8 1. 몸짓상징 손담 8 2. 발달장애 청소년 8 3. 의사소통행동 9 Ⅱ. 이론적 배경 11 A. 발달장애학생과 의사소통 11 1. 발달장애학생의 의사소통 11 2.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의사소통 중재 15 B.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몸짓상징 중재 19 1. 몸짓상징의 개념 및 효과 19 2. 몸짓상징 중재를 적용한 선행연구 22 Ⅲ. 연구방법 27 A. 연구 참여자 27 B. 연구 기간 및 장소 32 C. 독립변인 : 몸짓상징 손담 교수 33 1. 몸짓상징 손담개발 절차 33 2. 교수 자료 37 D. 종속변인 43 1. 의사소통행동 빈도 43 2. 의사소통행동 기능 43 3. 의사소통행동 양식 44 E. 실험 설계 및 절차 45 1. 실험 설계 45 2. 실험 절차 46 F. 관찰자간 신뢰도 54 G. 중재충실도 55 H. 사회적 타당도 57 Ⅳ. 연구 결과 63 A. 몸짓상징 손담 교수가 발달장애 청소년의 의사소통행동 발생 빈도에 미치는 영향 63 B. 몸짓상징 손담 교수가 발달장애 청소년의 의사소통행동의 기능별 빈도에 미치는 영향 65 C. 몸짓상징 손담 교수가 발달장애 청소년의 의사소통행동의 양식별 빈도에 미치는 영향 67 Ⅴ. 논의 및 제언 69 A. 논의 70 B. 연구의 제한점 81 C. 제언 83 참고문헌 85 부록 99 ABSTRACT 11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941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몸짓상징 「손담」 교수가 발달장애 청소년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Simplified Manual Sign 「SON-DAM」 Teaching on the communication of adolescent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c.format.pagevii, 11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