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2 Download: 0

동화를 활용한 중급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

Title
동화를 활용한 중급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ntermediate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Children's Stories : Focusing on and
Authors
SONG, SHUANG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지혜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한국어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현재 한국어교육 내에서 언어·문화·문학 간의 연관성을 인식하여 문학 작품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문학이 언어와 문화교육의 도구라는 인식이 아직 만연하며 한국어 학습자의 문학 작품 이해 및 감상 능력을 키우는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충분한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둘째, 문학교육은 고급 학습 단계에 가장 적합하다는 관념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셋째, 작품 선정의 어려움으로 인해 다양한 작품과 장르에 접근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재미있고 접근하기 쉬운 동화를 교육 제재로 활용하여 중급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과 문화 이해 능력뿐만 아니라 문학 감상능력까지 향상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와 관련하여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제시하고 소설과 마찬가지로 서사 장르 내에 포함되는 동화에 주목하되 비교적 동화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연구가 미흡하다는 실정을 고려하여, 현대소설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연구와 동화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연구를 모두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문학을 활용한 한국어교육의 추세, 작품 선정 기준, 교수·학습 모형 등 본 연구에 필요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논의를 본격적으로 전개하기 위해 필요한 이론을 검토하고 문학을 활용한 중급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우선 통합적 한국어교육의 필요성과 그 과정에서 문학 작품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한국 대학기관에서 출판한 중급 한국어 교재 12종을 고찰함으로써 중급 단계의 문학을 활용한 한국어교육에서의 문제점을 밝혔다. 중급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문학이 중요하다는 사실에 모두 공감하고 있으나 현재 중급 단계 한국어교육은 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현대소설 작품의 수가 매우 적고, 작품 난이도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가 있으며, 언어, 문화, 문학을 통합하여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중급 단계에 적합한 교육 제재인 동화의 개념, 특징 및 교육적 가치를 검토하였다. Ⅲ장에서는 기존 연구들에서의 현대소설 작품 선정 기준과 동화 작품의 선정 기준을 함께 살펴보고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선정 기준을 설정하였다. 또한 문학적 가치와 교육적 가치를 모두 가지는 작품을 선정하기 위해 2011 개정과 2015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동화 작품 수록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중 세 번 이상 수록된 작품의 학습활동을 통해 한편으로는 각 작품 안에 담겨 있는 교육적 요소를 살피고 다른 한편으로는 주제, 문화, 문학, 종합적 난이도의 네 가지 측면에서 각 작품이 중급 단계에 적합한지를 본 연구의 선정 기준에 따라 고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선정된 「할머니를 따라간 메주」와 󰡔마당을 나온 암탉󰡕의 전반적인 구성과 주제를 분석하여 작품 발췌와 교육 내용을 선정하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이야기와 학습자의 개인적인 연관성도 함께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앞서 검토했던 연구와 Ⅲ장에서 작품을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실제적인 교수 · 학습 방안을 마련하였다. 특히 세부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도입-정보적 읽기-심미적 읽기-경험적 읽기-마무리’의 다섯 단계로 구성된 교육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수업 시간과 학습 효과를 고려하여 「할머니를 따라간 메주」와 󰡔마당을 나온 암탉󰡕을 발췌하고 발췌문에 담겨 있는 교육적 요소를 언어, 문화, 문학의 세 가지 측면에서 선정하였다. 선정된 교육 내용에 새로 설정한 모형을 적용하여 총 4차시, 차시 당 50분으로 「할머니를 따라간 메주」와 󰡔마당을 나온 암탉󰡕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을 구안하였다. 본 연구는 중급 학습자들이 문학 학습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켜 언어·문화·문학 통합적 한국어교육에서 동화의 교육적 가치를 실현하는 데 의의를 두었다. 그러나 작품 선정 범위를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만 한정하는 것에 한계가 있기에,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다양한 동화 작품을 활용하는 논의가 활발하게 이어지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 integrated Korean education plan using children’s stories for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 have been constant attempts to recognize the connection between language, culture, and literature and to use literary works, with the following issues. First, because the perception that literature is a tool of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s still widespread, there is not enough consensus on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o increase the ability of Korean learners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literary works. Second, literary education is regarded to be best suited only for advanced learning. Third, it is difficult to select literary works that deal with various subjects and genres. Therefore, in order to address these issues, this study examined educational methods to improve not only communication ability and cultural comprehension ability but also literary appreciation ability of intermediate learners by using interesting and accessible children’s stories as educational materials. In this regard, Chapter I presented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research, and focused on children’s stories included in the narrative genre, similar to novels. However, considering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children’s stories is relatively insufficient, this study reviewed both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modern novel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children’s stories, thereby exploring the discussions necessary for this study such as the tren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literature, selection criteria of literary works,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Chapter II reviewed relevant theories and the current circumstances of intermediate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literature. First, the necessity of integr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status of related literary works were confirmed. Next, by reviewing 12 intermediate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by Korean universities, issu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intermediate level literature were identified. Finally, it investigated the concepts,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values of children’s stories suitable for the intermediate level. Chapter Ⅲ examined the selection criteria of modern novels and children’s stories in the existing studies, and set the selection criteria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Also, in order to select literary works with both literary and educational values, the children’s stories in the 2011- and 2015-revised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was reviewed. For the learning activities of the children’s stories that were included in the textbooks three times or more, the educational elements contained in each piece were examined. On the other hand, it was also examined whether each work was appropriate for the intermediate level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of this study, in terms of the following four aspects: subject, culture, literature and comprehensive difficulty. Afterwards, the overall composition and themes of the selected literary works, and , were analyze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selection of extracts and contents of education. Moreover, the personal connections between the stories and learner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previously discussed studies and analysis of the literary works in Chapter III, Chapter IV suggested a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particular, an educational model consisting of five levels of ‘introduction - informative reading - aesthetic reading - experiential reading - finishing’was suggested for detailed goal setting and reaching the goal. Furthermore, in consideration of class time and learning effects, the educational elements included in the excerpts of and were selected in the three aspects of language, culture, and literature. By applying the newly established model to the selected educational contents, a pla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and , with 4 sessions of 50 minutes per session, was planned. This study emphasized to realize the educational values of children’s stories in language, culture, and literature in the integr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satisfying the needs of intermediate learners for literature learning. Yet, it is hoped that the study can contribute to the further development of discussions using various children’s stories beyond the selection of literary works from the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