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9 Download: 0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자를 위한 한국 문학사 교재 구성 방안 연구

Title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자를 위한 한국 문학사 교재 구성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Korean Literature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Authors
LIN, JIAO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ut forward the composition scheme of Korean literary history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First of all, Korean and Chinese literary history are compared to fi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n features of the period division and the literature genre division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textbook in Chinese universities are analyzed based on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Lastly, the defects of learning activities are found ou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ettings and types of learning activities. The specific research methods and contents are as follows. In ChapterⅠ,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s determined by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problems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Secondly, it understands the significance of literature education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literature as educ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the critical investigation of previous research. However,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on the educational methods and teaching materials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available in practical teaching. Therefore,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research puts forward a composition scheme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textbook that is suitable for Korean language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In view of it, this study chooses five textbooks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used by Chinese universities as the research object, which can master the characteristics and shortcomings of each textbook by analyzing the period division, genre division and learning activities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in this textbook, so as to design the composition scheme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textbook for Korean language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according to it. In Chapter II, theoretical premise of this research are explained in three aspects. Firstly, Features of the Korean language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are determined by means of their culture backgrounds and study conditions. Secondly, this research presents the significance of learning Korean literary history for Korean language majors. Namely, these students can systematize the knowledge of the literary history by studying literary history. Then they can deepen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by comparing the history of Korean and Chinese literature. Lastly, the relevant theories are analyzed and the perspectives of this research are proposed in order to analyze the period division, literary genre division and learning activities in Chapter III. In Chapter III, this study analyzes features of the period division, literary genre division and settings and the types of learning activities in five Korean literary history textbooks. In order to construct a literature history textbook for Korean language students in Chinese universit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students must be considered. In this chapter, the Korean literary history textbooks are analyzed based on the learner’s background knowledge of Chinese literature history. In other words, this study analyzes the features of period division and literary genre division by comparing Korean and Chinese literary history. The settings and types of learning activities of five textbooks are analyzed to find out the defects of learning activities. In Chapter Ⅳ, it designs the composition scheme of Korean literature textbook used by Korean language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teaching materials. First of all, the goal of Korean language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to study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s put forward in this paper, which is specifically as follows. Korean literature knowledge is systematized through the period division and genre division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hich will help foreign language learner form a comprehensive literary history vision, and enhance their cultural understanding ability. Under this goal, it will combine the analysis result of the third chapter to put forward the principles of the composition of the textbooks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used by Korean language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In other words, it fully takes into account the composition principle of the literary history system of learners' background knowledge. When it comes to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paper, it is to design a composition scheme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textbook by analyzing the period division, genre division and learning activities in Korean literature history textbooks used in Chinese universities. As a result, this study gives full consider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which also proposes the composition scheme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textbooks for Korean learners in Chinese universities. Al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negligible, such as the comparison of literature history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and the composition scheme of literature history textbooks in South Korea, it provides certain help to the further development of Korean culture education and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among Korean language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in the future.;본 논문은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자를 위한 한국 문학사 교재의 구성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한·중 문학사를 비교함으로써 유사점과 차이점을 찾아내고, 이를 토대로 중국 대학용 한국 문학사 교재의 시대 구분과 갈래 구분을 분석하였다. 또한 교재의 학습활동의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현행 한국 문학사 교재의 학습활동이 지닌 한계점을 살폈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하여 한국 문학사 교재 구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Ⅰ장에서 먼저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 문학사교육의 의의와 지금 중국의 한국 문학사교육에서 존재하는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본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외국어교육에서 문학교육의 의의와 문학교육에서 문학사교육의 중요성을 파악하였으며 실제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사용할 만한 적절한 교육 방안이나 교재가 매우 부족하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본고는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자를 위한 한국 문학사 교재의 구성 방안을 설계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대학교에서 많이 쓰고 있는 한국 문학사 교재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교재의 시대 구분, 갈래 구분과 학습활동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학습자의 특징을 고려하는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자를 위한 문학사 교재 구성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자를 위한 문학사 교재의 구성 방안의 이론적 전제를 마련하기 위하여 세 가지 측면을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자의 문화 배경과 한국 문학사 학습 조건을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특징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문학사적 맥락에서 한국 문학 지식을 정교화하고, 한·중 문학사를 비교하여 문화교육을 실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자를 위한 문학사교육의 의의를 확인하였다. 또한 문학사교육의 쟁점이라고 할 수 있는 시대 구분, 갈래 구분과 학습활동을 분석하기 위해 관련된 이론을 고찰하여 분석 관점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에 살펴본 내용을 토대로 다섯 종의 한국 문학사 교재에 대해 시대 구분, 갈래 구분과 학습활동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자를 위한 문학사 교재 구성 방안을 구안하려면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자들의 특징을 많이 고려해야 한다. 이 장에서는 학습자들이 중국 문학사 지식 배경을 고려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즉 한·중 양국 문학사를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선정된 다섯 종 교재의 시대 구분과 갈래 구분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다섯 종의 교재에서 학습활동의 수록 상황 및 유형의 구성을 분석하여 그 안에 담고 있는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교재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자를 위한 한국 문학사 교재의 구성 방안을 설계하였다. 이 장에서는 우선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자를 위한 한국 문학사교육의 목표를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자들은 시대 구분과 갈래 구분을 통해 한국 문학 지식을 체계화해야 하며, 외국어 학습자로서의 총체적 문학사 안목을 형성하고 문화 이해 능력을 신장해야 한다. 그 다음에는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자를 위한 문학사 교재의 구성 원리를 구안하였다. 즉, Ⅲ장의 분석 결과를 연관시켜 학습자의 모국어 사전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문학사 체제를 먼저 고려한 뒤에 그들의 능동적 한국 문학사 이해능력을 신장할 수 있는 체계적인 학습활동 유형을 구성하고, 그 다음에 학습자들로 하여금 총체적인 문학사 안목을 형성시키기 위한 작품의 선정과 문학사교육의 제재 구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이 연구는 실제 중국 대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국 문학사 교재의 시대 구분, 갈래 구분과 학습활동을 면밀히 분석하며 각 교재의 특징과 한계점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대학 한국 문학사 교재 구성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자의 특징을 고려하여 한국 문학사 교재의 구성 방안을 구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한·중 문학사 시대 구분과 갈래 구분을 비교한 결과와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한 한국 문학사 교재 구성 방안은 향후 중국의 한국 문학교육이 한 단계 발전하는 데 의미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