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순희-
dc.contributor.authorYE, HENG-
dc.creatorYE, HENG-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1:55Z-
dc.date.available2020-02-03T16:31:55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41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415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291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작성한 논술문에 나타난 오류 분석의 결과를 기반으로 자기 점검표를 만들고 이를 활용하여 학습자가 자기 조정 능력으로 자신의 논술문을 수정하고, 이를 통해 보다 더 질적으로 완성된 논술문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어 학습자들은 여러 쓰기 유형 중에서 학업 생활에 많이 접하게 되는 논술문 쓰기에 큰 부담을 느끼며, 실제 유학생들이 작성한 논술문에서 크고 작은 오류들이 많이 발견된다. 학습자들이 작성한 논술문에 나타난 오류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논술문 쓰기 교육에 응용한다면 학습자들의 논술문 쓰기 기술과 능력을 더 효과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한국어 쓰기 수업 진행 방식은 시간적 제약과 공간적 제약을 많이 받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학습자중심교육 이론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학습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자신의 능동성을 발휘하여 고쳐쓰기를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고쳐쓰기 활동에서 학습자가 스스로 자신의 쓰기 과정과 쓰기 결과를 점검하고 수정할 수 있는 자기 조정 전략이 필요하다. 자기 조정 전략은 학습자 자신의 상위인지 능력과 자기 조정 능력을 동원하여 더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주도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의 이유로,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논술문 오류 분석을 기반으로 작성한 자기 점검표를 이용하여 학습자들이 보다 더 훌륭한 논술문을 완성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고쳐쓰기 활동을 설계하고자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원에 재학 중인 인문계 중국인 유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기 점검표를 활용하여 자신의 논술문을 스스로 점검하고 수정하였고, 수정 전·후의 평가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자기 점검이 논술문 고쳐쓰기에 미치는 변화를 살펴보았다. 비교 분석의 결과, 논술문의 조직 측면에서 연구 참여자들이 전체적으로 향상되었으며 문단을 재구분하거나 문장의 순서를 바꿈으로 논술문을 더 논리적으로 조직·배열하는 변화를 볼 수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은 문장과 문장 간의 연결, 단락과 단락 간의 연결이 부적절한 부분에 관련된 오류들을 스스로 점검하고 수정하지 못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논술문의 내용 측면에서 2차 평가의 결과가 1차 평가의 결과보다 많은 발전을 보이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모호한 표현을 바꾸거나 주제에 맞게 내용을 추가하거나 삭제함으로써 논술문 주제의 선명성, 내용의 일관성을 증진시켰다. 하지만 논증 구조에 대한 인식 부족과 한·중 양국의 차이로 인한 사고방식의 불일치로 인해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논거와 논증 방식이 타당하고 적절한지를 판단하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논술문의 표현 측면을 보면,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오류만 수정의 변화를 볼 수 있었으며, 중국식 표현이나 더 어려운 문법 사용의 오류에 대해 연구 참여자들의 한국어 수준의 한계로 많이 점검하지 못했다. 하지만 문장 호응의 오류, 그리고 문어체, 높임말, 주관적인 표현 등 같은 논술문에서 사용하면 적절하지 않은 표현들을 많이 점검하고 수정하였다. 실험 후에 실시한 연구 참여자와의 심층 인터뷰 결과, 자기 점검표를 이용하여 논술문을 스스로 점검하고 수정하는 과정을 통해 연구 참여자의 쓰기 능력 향상이나 고쳐쓰기에 대한 태도 등에도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이 밝혀졌다. 또한 학습자가 자신의 논술문을 스스로 점검하여 수정하는 과정에서 점점 자신감이 생기고, 자기 조정 능력과 상위인지 능력도 같이 훈련될 수 있으며, 나아가 학습자의 주도적 학습 능력과 스스로 문제 해결의 능력을 키우는 데에 큰 도움이 된다. 마지막으로 위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체의 원리, 재배열의 원리, 삭제의 원리, 추가의 원리, 자기 조정의 원리를 활용하여 고쳐쓰기 과정인 ‘탐색 - 진단 – 수정’의 세 단계에 적용해서 실제 교육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기 점검표를 이용한 논술문 고쳐쓰기 학습 활동을 구안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 연구는 두 가지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첫째, 한국어 학습자가 작성한 논술문에 나타난 오류 분석을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논술문 쓰기에서 주로 어떤 오류를 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논술문 쓰기 교육에 반영하여 더 목적적이고 효과적인 논술문 쓰기 교육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둘째, 자기 조정 전략을 활용한 자기 점검표를 논술문 고쳐쓰기에 이용하여 전통적인 쓰기 교육 방식의 시간적 제약과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학습자 자신의 자기 조정 능력을 발휘하였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학습자의 상위인지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신장하는 데에 기여할 것이다. ; Using a self-monitoring list based on the results from an error analysis on argumentative essays written by Chinese learners in Korean, this study aims to promote learners to revise their argumentative essays with self-regulation abilities and write a high-quality essays.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re heavily burdened with writing an argumentative essay frequently used in disciplines among several writing genres and in fact there are many big and small errors in argumentative essays by students studying abroad. Analyzing errors from argumentative essays written by learners and applying its results to instruction of argumentative essay writing can lead to their writing skills and abilities extended more effectively. Since most Korean writing classes are done under a lot of temporal and spatial limitations, to complement such limits, it is needed to have a self-regulation strategy where learners can monitor and correct their writing processes and outcomes for themselves. The self-regulation strategies enable more active and effective self-directed learning by mobilizing learners' metacognition and self-regulation abilities. Hence, this research intends to design an effective rewriting activity in order for learners to complete a better argumentative essay using the self-monitoring list produced based on the error analysis on essays by Chinese learners in Korean.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bove, the study was conducted for Chinese students majoring in humanities at the Korean graduate school. Research participants monitored and revised their argumentative essays using the self-monitoring list and the effects of self-monitoring on rewriting of an argumentative essay were examined by the comparative analysis on evaluation results before·after revision.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in terms of the structure of an argumentative essay, overall, research participants showed an improvement and there was a change into more logical organization·arrangement of an argumentative essay by re-dividing paragraphs or changing sentence orders. However,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most participants could not self-monitor and revise errors of inappropriate connection between sentences and between paragraphs. The results of the second evaluation showed more advancement than those of the first evaluation in terms of content of an argumentative essay. Research participants increased the clearness of a theme and the coherence of content by changing an ambiguous expression and adding or omitting content considering the theme. However, owing to lack of awareness of the argumentation structure and disagreement of thinking styles resulted from difference in both nations, most participants failed in judging if their argument and argumentation methods supporting an assertion were valid and adequate. Finally, in terms of expression of an argumentative essay, only errors which could be identified easily were corrected and participants could not monitor well errors in Chinese-style expressions or difficult grammar because of their limitations to Korean. However, they could monitor and correct a lot of expressions inadequate to be used for an argumentative essay including a written style, honorific and subjective expressions in addition to error of sentence agreement.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with research participants conducted after the experiment, it revealed that self-monitoring and revising an argumentative essay using the self-monitoring list had positive effects on both their writing competency and attitude towards rewriting. In addition, it allows learners to have confidence and train self-regulation and metacognition abilities, giving great aid to cultivating their abilities in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blem-solving. Finally, based on analytic findings above, this study designed a learning activity for rewriting an argumentative essay which can be used in an actual educational field using the self-monitoring list by applying principles of substitution, rearrangement, deletion, addition and self-regulation to three steps of the rewriting processes including ‘exploration - diagnosis – revision’. Therefore,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wo aspects. First, it examined what kind of errors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re committing generally when writing an argumentative essay through the error analysis on their argumentative essay writing and reflected findings in argumentative essay writing education for more purposeful and effective writing education. Second, it was possible to overcome temporal and spatial limitations of traditional writing education through applying the self-monitoring list using self-regulation strategies to rewriting of an argumentative essay and increase self-regulation abilities of learners, contributing to enhancing learners' metacogni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in the long ter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5 1. 한국어 교육에서의 논술문 쓰기 교육에 관한 연구 5 2. 한국어 교육에서 오류 분석에 관한 연구 8 3.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의 상위인지 전략에 관한 연구 11 C. 연구 문제 및 연구 구성 14 Ⅱ. 이론적 배경 17 A. 학습자중심의 고쳐쓰기 17 1. 학습자중심교육 17 2. 고쳐쓰기의 의의 19 B. 논술문의 평가 기준 및 오류의 분석 기준 22 1. 논술문의 평가 기준 23 2. 오류의 분석 기준 37 C. 자기 조정 및 점검 45 1. 자기 조정 전략 45 2. 자기 점검 항목 48 Ⅲ. 연구 방법 및 결과 53 A. 연구대상 54 B. 연구방법 55 1. 연구절차 55 2. 자기 점검표 항목 선정 59 3. 평가 및 분석 기준 62 C. 분석 결과 65 1. 1차 오류 분석 결과 65 2. 자기 점검표 사용 후 수정 결과 비교 분석 94 3. 자기 점검표 사용에 따른 긍정적인 변화 111 Ⅳ. 자기 점검표를 이용한 고쳐쓰기 활동 설계 121 A. 자기 점검표를 이용한 논술문 고쳐쓰기 활동 설계의 원리 121 B. 자기 점검표를 이용한 논술문 고쳐쓰기 활동의 실제 126 1. 탐색 단계 127 2. 진단 단계 130 3. 수정 단계 145 Ⅴ. 결론 150 참고문헌 153 부록1. 논술문 평가표 159 부록2. 보완 전 자기 점검표 160 부록3. 보완 후 자기 점검표 161 부록4. 연구 참여 동의서 163 ABSTRACT 1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328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논술문 고쳐쓰기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오류 기반 자기 점검표 이용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Design of Rewriting Activities for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 Using Self-Monitoring List Based on Error Analysis-
dc.creator.othernameYE, HENG-
dc.format.pagevi, 1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