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5 Download: 0

중국의 한국어 교재의 사자성어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

Title
중국의 한국어 교재의 사자성어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mprovement of Four-Character Idiom Education in Chinese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Authors
LI, CHUNYUN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Four-character idiom has been commonly used since the ancient times in the East Asian cultural sphere including Korea and China. Korean four-character idioms and Chinese four-character idioms have something to do with each other but Korean idioms are changing with the new four-character idioms which were coined as the Korean society has developed. Hence, Korean four-character idioms have a lot of difference from Chinese ones in their form·meaning and usage. As such, since there are many difference in Korean· Chinese four-character idioms, related instruction is absolutely needed for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Meanwhile, there have been quite a few comparative studies on the form and meaning of Korean·Chinese four-character idioms and research studies on instructional methodologies of Korean idioms for Chinese learners. In particular, there is a research on four-character idioms included in Korean textbooks from Korea but Chinese research on education of Korean idioms for Chinese learners in Korean is not in the spotlight yet. Considering that education for four-character idioms is needed but there are a few related studies, it is essentially required to examine related instructional content in Chinese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as a basi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in Korean and find out more effective measures for improvements.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ducational content of four-character idioms in Korean·Chinese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this study identified problems and limitations of instruction of four-character idioms shown from Chinese textbooks of Koran language and suggested measures for improvements. First, as for the range of research, the study investigated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Chinese four-character idioms and conducted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ir forms and meanings, classifying them according to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ad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educational needs for four-character idioms in Chinese learners and things to be improved in textbooks,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s a result, it showed that Chinese learners had more difficulty in Korean four-character idioms than general vocabularies and needed related education. Findings from the questionnaire on educational needs revealed that learners were aware of needs for learning the meanings of Korean idioms, their difference from Chinese idioms, grammatical combination and usage. As for the evaluation of textbooks, they said idiom content in Chinese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is not well structured. In order to analyze instructional content of four-character idioms in Korean·Chinese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the research was done for 4 Chinese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frequently used in Chinese colleges and 4 Korean textbooks published by linguistic institutes under Korean major colleges.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number of four-character idioms, their types, presentation frequency and method, description and practice to analyze idioms now included in Korean·Chinese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and related curriculum. Through the process abov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derived between textbooks of both nations. Overall, the total number of four-character idioms listed in 4 Korean textbooks of each nation and the number of idioms corresponding to each type is very similar. However, idioms presented once or twice only are occupying a greater ratio from Chinese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than Korean textbooks. The reason why is that Chinese textbooks provide idioms under a single form. Besides, to describe idioms, Chinese idioms or vocabularies are presented on a superficial basis. Furthermore, it is a situation that exercises in four-character idioms are not sufficient. Based on analytic findings above, the study suggested measures for improving instructional content of four-character idioms in Chinese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First, the research entered an idiom list presented at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a list included in 4 Korean textbooks analyzed in the research and a list contained in 『The Survey of Modern Korean Language Use Frequency 1, 2』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into KKMA Sejong Corpus Utilization System and selected lists derived from frequency research as basic data. And then, it prepared idiom lists for instruction based on criteria for selection. Moreover, combinations of each idiom were analyzed for instruction. Next, the research suggested measures to improve methods of presenting, describing and practicing idioms in Chinese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First, as for a method for presentation, to improve a limited presentation of idioms through sentences and grammar examples of a text without differentiation from general vocabularies, the study suggested a methodology to select four-character idioms matching a subject of a unit as words to be learned and suggest a combination of idioms by theme through other learning activities. As for cultural education using four-character idioms, escaping from idioms related to Confucianism, it suggested idioms reflecting the unique Korean culture or showing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Chinese cultures. As for a method for explanation, an alternative method was adopted considering their types and meanings through comparison of Korean·Chinese idioms. As for a method for exercise, the study designed exercises in sequence from acquisition of the form and the meaning of idioms to applica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epared measures for improving instructional content of four-character idioms in Chinese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used by Chinese learners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n idioms of Korean·Chinese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However, such an analysis was mainly done in terms of vocabulary education so there is a limitation that in-depth research could not be implemented in terms of 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current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will be done continually in relation to instructional content and method of four-character idioms fitting for characteristics of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a textbook. ;사자성어는 오래전부터 현대사회에 이르기까지 한국과 중국을 포괄하는 한자문화권에서 널리 사용된 관용 표현 중의 하나이다. 한국어 사자성어와 중국어 사자성어는 긴밀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지만 한국의 사회와 언어의 발전에 따라 한국어 사자성어는 변화하거나 새로운 사자성어가 생성되어 왔다. 이로 인해 한국어 사자성어는 중국어 사자성어의 형태, 의미, 사용 등에서 중국어 사자성어와 많은 차이를 보인다. 이와 같이 한·중 사자성어가 지닌 많은 차이로 인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사자성어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한편 한·중 사자성어의 형태·의미 비교 연구와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사자성어의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그 중 한국의 한국어 교재의 사자성어 수록 양상과 같은 교육 현황을 연구 대상의 하나로 삼는 연구가 있으나, 중국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중국의 한국어 사자성어의 교육에 관한 연구는 아직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사자성어 교육의 필요성과 관련 연구가 부족한 것을 고려할 때, 중국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하여 한국어 교육의 기초인 중국의 한국어 교재의 사자성어 교육 내용을 살펴보고 더 효과적인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한·중 한국어 교재의 사자성어 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비교하는 방식으로 중국의 한국어 교재의 사자성어 교육 내용의 문제점과 한계를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연구의 범위를 정하기 위하여 한·중 사자성어의 개념과 특징을 탐구하고 한·중 사자성어의 형태·의미를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준으로 사자성어를 분류하였다. 그리고 중국인 학습자들의 사자성어에 대한 이해 실태와 교육 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사자성어를 일반 어휘보다 어렵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사자성어에 대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교육 요구에 대한 조사 결과, 학습자들은 한국어 사자성어의 의미, 중국 사자성어와의 차이, 문법적 결합 양상과 활용에 대한 학습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으며, 교재 평가에서는 중국의 한국어 교재의 사자성어 교육 내용이 잘 구성되지 못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었다. 한·중 한국어 교재의 사자성어 교육 내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중국에서 한국어 학과를 개설한 대학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중국의 한국어 교재 4종과 한국의 주요 대학교 어학기관이 편성한 한국의 한국어 교재 4종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한·중 한국어 교재의 사자성어 수록 현황과 교육 내용 구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사자성어의 수와 제시 빈도, 유형, 사자성어의 제시 방식, 설명 방식과 연습 활동에 대하여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양국 교재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전체적으로 볼 때, 각국 4종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사자성어 총수와 각 유형에 해당하는 사자성어 수량은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한국의 한국어 교재보다 중국의 한국어 교재에 1회 혹은 2회만 나타난 사자성어가 큰 비중을 차지고 있다. 이는 중국의 교재가 단일한 형식으로 사자성어를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자성어에 대한 설명에도 주로 직역하여 중국어 사자성어나 중국어 어휘를 제시하고 있으며 사자성어에 대한 연습 문제 역시 부족한 실정이다. 위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의 한국어 교재의 사자성어 교육 내용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한국어능력시험 출제 사자성어 목록, 본 연구가 분석한 4종의 한국의 교재에 수록된 사자성어 목록, 국립국어원의 『현대 국어 빈도 조사1, 2』에 수록된 사자성어를 꼬꼬마 세종 말뭉치 활용 시스템에 입력하고, 다시 사용 빈도를 확인하여 도출한 목록을 기초 자료로 선정한 후 선정 기준에 따라 교육용 사자성어 목록을 작성하였다. 또한 교육용 사자성어로의 활용을 위하여 각 사자성어의 결합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다음으로 중국의 한국어 교재의 사자성어에 대한 제시 방식, 설명 방식, 연습 활동에 대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다. 먼저, 제시 방식의 개선 방안으로 일반 어휘와 차별 없이 본문 문장과 문법 예문을 통해 제시하는 방식에 국한되는 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단원 주제에 부합하는 사자성어를 학습 어휘로 삼아 다른 학습 활동을 통해 사자성어를 제시하고 주제별로 여러 사자성어를 함께 제시하여 교육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사자성어를 활용한 문화 교육에서는 유교 사상과 관련된 단일한 사자성어 문화 내용을 제시하는 것에서 벗어나 한국 고유의 문화를 반영할 수 있는 사자성어나 한·중 문화 간의 차이를 반영할 수 있는 사자성어를 제시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설명 방식의 개선 방안으로는 한·중 사자성어의 비교로 본 사자성어의 형태·의미 유형에 따라 다른 설명 방식을 채택하였다. 사자성어의 연습 활동 측면에서는 사자성어의 형태·의미의 습득부터 사자성어의 응용까지 순차적으로 연습 문제를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한·중 한국어 교재의 사자성어 교육 내용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토대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사용하는 중국의 한국어 교재의 사자성어 교육 내용의 개선 방안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한·중 한국어 교재의 사자성어의 교육 내용에 대한 분석이 주로 어휘 교육 측면에서 논의되어 문화 교육적인 논의는 자세히 이루어지지 못한 한계가 있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중국의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에 적합한 사자성어의 교육 내용, 교육 방법, 교재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