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1 Download: 0

과목선택 지도방안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Title
과목선택 지도방안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Other Titles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Guidance for Students' Subject Choices
Authors
정혜수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황규호
Abstract
학생의 과목선택권은 제7차 교육과정의 도입 이후 꾸준히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 고교학점제 논의와 함께 고등학생들의 과목선택 지도가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과목선택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과목선택 지도에 대한 실태를 확인하여, 이를 통해 학생들의 진로와 적성에 적합한 과목선택 지도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교사들은 학생들의 과목선택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 둘째, 고등학교 교사들은 학생들의 과목선택을 위하여 어떻게 지도하고 있고, 과목선택 지도 시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셋째, 고등학교 교사들이 생각하는 과목선택 지도의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교사들의 과목선택 지도에 관련한 인식과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담당하거나 학생들의 과목선택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고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심층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로는 고등학교 현장에서 과목선택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6명의 일반고, 특목고, 자사고 교사를 선정하였고, 각 교사들은 담임교사로서, 교육과정 담당 교사로서, 다양한 배경과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학생 지도 기간 또한 5년에서 33년까지 다양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이 학생들의 과목선택을 지도하는 방향은 크게 세 가지로 나타났다. 우선, 교사들은 학생의 진로를 고려한 과목선택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다. 교사들은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취지와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고, 이에 따라 과목선택을 지도할 때 진로와의 관련성을 강조하였다. 둘째로, 교사들은 학생들이 대학 입학에 유리한 쪽으로 과목을 선택하도록 지도하였다. 이는 고등학교 교육과정이 대학 입시에 반영되는바, 대학 진학이라는 목표를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성적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 셋째로, 교사들은 학생의 흥미를 고려하여 과목선택을 지도하였다. 학생이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는 과목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학문에 대한 관심과 학습에 대한 주도적인 태도를 갖기를 바라고 있었다. 교사들은 과목선택 지도 시, 대체로 전체적인 교육과정 안내, 교육과정 편성, 개인 지도 및 상담의 절차를 따르고 있었다. 교육과정 편성 시의 주된 어려움으로는 교사수급의 문제를 꼽았다. 개인 지도 및 상담은 학생의 성향, 성적, 진로 등을 참고하여 진행하였고, 교육부와 교육청의 선택과목 안내자료를 활용하여 과목선택 지도에 도움을 얻고 있었다. 특목고의 경우는 학생들의 진로 결정이 대부분 이루어진 상태이므로, 학생의 적성과 진로에 맞추어 선택과목 지도가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반면, 일반고, 자사고의 교사들은 학생들이 진로의식이 부족한 경우가 많으며, 이 때문에 과목선택 지도에도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과목선택 지도를 위한 개선방안은 크게 네 가지로 나타났다. 면담에 참여한 교사들은 과목선택 지도를 위한 개선방안으로 학생들의 진로발견 및 개발을 위한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다. 또 학생들의 진로의식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중학교 교육과정의 진로 탐색과정이 효과적으로 진행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둘째로는 학생, 학부모, 교사가 모두 교육과정에 대해 깊이 이해하려는 노력과 그것을 지원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로는 학생들의 진로설계와 과목선택에 관련하여 전문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컨설턴트가 필요하며, 단위 학교가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운영하는데 자문을 구할 수 있는 컨설팅 팀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선택과목 개설 및 지도와 관련하여 교사 수급문제가 원활하게 해결되도록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할 때, 성공적인 과목선택의 지도를 위해서는 학생들의 진로의식이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 교사들은 학생들의 과목선택을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교육과정을 안내하고 과목선택을 지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자유롭게 편성·운영하고, 학생들이 적성과 진로에 적합한 과목을 선택하도록 지도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교사수급 문제를 비롯한 제도상의 어려운 점이 남아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과목선택 지도를 위해 세 가지 논의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학생들의 과목선택 지도를 위해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교사 재교육 및 연수가 필요하다. 과목선택 지도는 고등학교 기간의 학생의 ‘과정’관리와 성적, 진학, 대학교 전공과의 연계를 비롯한 다양한 문제에 관련된 중요한 주제이므로 교사 재교육 및 연수를 통해 학생들의 과목선택을 지도하기 위한 전문적인 지식과 지도역량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실행을 위한 국가 또는 지역 교육청 차원의 지원체계가 지속적으로 마련되고 시행되어야 한다. 셋째, 학교급 간의 연계성을 고려한 진로교육의 내실화와 대학 입학제도의 변화가 필요하다. 고등학교 진학 시 학생들의 진로 인식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는바,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의 이전 교육과정인 중학교 교육과정을 통하여 진로교육이 본래의 목표를 이루는 교육이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반면, 학생들은 과목선택 시 실제적으로 대학 입시와 관련하여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이에, 학생들이 대학 입시 문제에 제한을 받지 않고, 진로와 연계된 과목을 자유롭게 선택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대학 입시 제도가 함께 개선되어야 한다. 학생의 과목선택권 확대는 여러 가지 우려와 기대 속에서 한 단계, 한 단계씩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흐름이 학생들의 진로를 준비하고 개발하는 과정에 진정한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실행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다양한 차원에서의 개선 방안에 대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per method of guidance in choosing subjects related to career by analyzing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status of guidance. There were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is the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 for guidance in choosing subjects? Second, How have high school teachers taught to choosing subjects and what is the difficult point of this? Third, What is teacher’s opinion for improving the method of guidance for choosing subjects? For solving these research questions, I had interviewed the high school teachers who had the experience of guidance the students for choosing subjects. I selected the six teachers from high school as research participants. Each teacher had various experiences and contexts as teacher in charge or career education teacher. There are three main directions for teachers to guide students in their choice of subjects. first, teachers valued the choice of subjects in consideration of the student's career. Second, teachers guided students to choose subjects that were favorable for college admission. Third, teachers taught students to choose subjects in consideration of their interests. Teachers used to follow the method of guidance for choosing subjects as following. Explanation of whole curriculum, the compilation of the curriculum, guide students individually. They cited the problem of teacher supply as a major challenge in the curriculum composition. Finally, Teachers thought the discovering career and development, understanding the curriculum, consultation for choosing subjects, improving the system for supplying teachers were the improvement plan for guidance of choosing subjects. Based on these results, there were three discussion points. First, it is necessary to retrain and train teachers to enhance teachers' expertise in guiding students' choice of subjects. Second, For carrying out the option-based curriculum, education department or nation should prepare the supporting system continually. Thir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ollege entrance system and strengthen career education of middle school considering the link between school levels. The student’s right of choosing subjects has been proceeded step by step. For helping students truly, It needs attention and efforts for practicing and improving the option-based curriculum in various dimens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