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6 Download: 0

색체 형용사에 따른 색채 속성 변화

Title
색체 형용사에 따른 색채 속성 변화
Other Titles
Changes in Color Attributes by Color Adjectives
Authors
김다연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실
Abstract
색채어는 시각과 관련된 감각어로 한국어 특성상 다양하게 분화, 발달 되어 있다. 색채어는 색을 구별하여 색채 속성을 담아 색의 세세한 어감을 나타낼 수 있는데 그 종류가 다양하여 사전적 의미만을 보고 한 번에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색채학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여 색채 형용사의 파생 형태에 따라 사람들이 인식하는 색채 속성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본 색채 형용사 중 유채색인‘붉다’, ‘누르다’, ‘푸르다’를 색상 계열별로 접미사 ‘-앟/엏-’, 접두사 ‘새/시-’, 접미사 ‘-스름하다/-죽죽하다’로 파생되는 색채 형용사 21가지의 색채 인식 범위를 파악하여 파생 접사가 어떠한 색채 속성에 영향을 주는지 색 공간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실험은 색 샘플을 제시하고 선택한 색채 선택 실험1과, 피험자가 자유롭게 색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 색채 선택 실험2, 2가지를 통해 진행하였다. 색채 선택 실험은 제시된 색 샘플 중 피험자 과반수 이상이 선택한 색을 KS 색상환, a*b* 그래프 , L*C* 그래프를 통해 비교 분석 하여 파생 형태에 따라 변화하는 색채 속성을 알아보았다. 앞서 진행한 실험의 제시 색 샘플의 한계점을 고려하여 자유 선택 실험2를 추가로 진행하였고, 이를 색채 선택 실험1과 비교 분석하여 색채 속성의 분포가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모든 색상 계열에서 접미사 ‘-앟-’이 ‘-엏-’보다 명도와 채도가 높은 양상을 보였고, 접두사 ‘새/시-’ 는 채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미사 ‘-죽죽하다’는 명도와 채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색상 계열에서 접미사 ‘-스름하다’는 인식되는 색 샘플이 없었고 분포 범위도 넓어 특정 색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색채어의 색채 속성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언어학적인 관점이 아닌, 실제 색 공간을 통해 정량화하여 알아본 것에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나타난 결과로 더욱 명확하고 세밀한 색채어 색채 속성 연구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Color words, which are sensory words related to vision, have been variously differentiated and developed due to the nature of Korean language. By distinguishing colors and representing color attributes, the color words can describe a fine sense of a color. However, because of the wide variety of color words, it is not easy to grasp them at once based only on their dictionary meanings.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color attributes perceived by individuals according to the derived form of color adjectives from a chromatic point of view. For the basic color adjectives, the color recognition range of 21 color adjectives derived from the chromatic colors of ‘red’, 'yellow' and 'blue' as chromatic colors by color series, including the suffix '-at/eot-', the prefix 'sae/shi-', and the suffix '-seureumhada/-jukjukhada', was identified, and the way which how the derived affixes affected the color attributes was explored through the color space. Then, a color selection experiment 1 in which color samples were presented and selected and a free color selection experiment 2 in which experiment subjects could freely select a color were performed. In the color selection experiments, the color selected by more than half of the subjects among the presented color samples was compared and analyzed in the KS color wheel, the a*b* graph, and the L*C* graph to examine the color attributes that changed according to the derived form. Considering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ed color samples of the above experiment, the free selection experiment 2 was additionally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color selection experiment 1 to examine whether the distribution of the color attributes was changed. As a result, the suffix "-at-" was associated with higher brightness and saturation compared to "-eot-" in all color series, and the prefix "sae/shi-" was associated with higher saturation. The suffix "-jukjukhada" was associated with lower brightness and saturation. In all color series, the suffix "-seureumhada" did not have a recognized color sample and had a wider distribution range, implying that it did not correspond to a specific color. As a basic study on the color attributes of color words, this study ha significance in that it quantified the actual color space, not from the linguistic perspectiv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more well-defined and detailed study of color attribut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