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6 Download: 0

아동발달영역 강화를 위한 아파트단지 옥외 놀이시설 디자인 연구

Title
아동발달영역 강화를 위한 아파트단지 옥외 놀이시설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sign of Playground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 for the Strengthening of Children's Development Zone
Authors
천지혜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공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현중
Abstract
Children's development areas and play activities caused by open space are more active and holistic than internally. To date, various scholars related to child development and outdoor play mentioned the need and importance of the interaction of play with the total development area of children through outdoor play,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for children in urban environments, and that changes in play methods and the resulting diversity are possible through the design of rides. As such, outdoor play and amusement facilities support the development and play behavior of children, and act as an important medium to act as a transition between users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while being in a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As the role and importance of outdoor play and play facilities increased with the recent change in the age, some basic specifications of playground space facilities were regulated in 1979 under the Rules on Housing Construction, but most facilities restrictions were deleted in accordance with Article 552 of the Regulations on Housing Construction and others in 1991. In this trend, a number of prior studies related to outdoor play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es were conducted, most of which approached quantitative factors such as the frequency of use of play facilities, the placement of physical space, the type of preference according to interviews,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type and number of play facilities. This researcher conducted a prior study on the qualitative aspects of the survey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play behavior and the design of the play facility. As a result, the overall layout of playgrounds and amusement facilities based on the uniform size and area of existing products due to the legal system was found to be difficult to achieve overall play behavior due to the conceptual design and uniform arrangement, which failed to take into account the relationship with us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duct design research to strengthen the child development area by focusing on functionality, efficiency and diversity in terms of space and user behavior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of amusement facilities design in these apartment complexes. In other words, this study implies a qualitative discussion to enhance the valu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that supports child play behavior.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oject is to emphasize the value inherent in the play facility by applying it to the design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users, and to present the design for supporting various play activities according to the children’s development area. Research is conducted in the following ways. Chapter I describes the framework of the research process, such as the background and purpos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Chapter II conducts a theoretical study on children's development areas and their corresponding play behavior through literature. First, after examining the types of children’s development areas and how play activities of each type are conducted by time and age, the activities of each of the three development areas are organized and reconstructed into six different types. In addition, through the housing law and regulations on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and through the documents and systems related to play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es, such as children's play facilities and safety management manuals, a theoretical study on play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es and the importance of outdoor play and play facilities in the area of children's development are grasped. Chapter III draws a trend of designing amusement facilities that strengthens children's development areas through case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how the previously organized play behavior is being developed in a limited space. Through on-site monitoring, problems in the target play space and the design of the amusement facilities are analyzed and research is conducted focusing on the concept of strengthening the children's development area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Chapter IV presents examples of design models for amusement facilities that apply design trends as a design method to strengthen the areas of child development derived from Chapter III. The following is the content of the study that was organised after this process. Although functions and efficiency are needed in all spaces, it is deemed that the value of play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es, which are limited in area and size, can be further amplified by the users, especially children who use the target space, if there is a variety of play activities according to the child development area. Therefore, research on outdoor play facilities should be conducted continuously, and more specific methods should be sough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esenting design model cases based on how outdoor play facilities and their spatial organization are conducted in today's apartment complex in order to strengthen the children's development.;오픈스페이스에서 유발되는 아동발달영역과 놀이행태는 내부에서보다 활동적이고 총체적으로 이루어진다. 현재까지 아동발달 및 옥외놀이와 관련된 여러 학자들 은 옥외놀이를 통해 아동의 총체적인 발달영역과 놀이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도시 환경의 아동에게 심리적, 정서적 안정감을 준다고 하였으며, 놀이기구를 디자인함으로써 놀이방법의 변화와 그에 따른 다양성이 가능하다고 그 필요성과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이처럼 옥외놀이 및 놀이시설은 아동의 전인적인 발달과 놀이행태를 지원하며, 서로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용자와 물리적인 환경 사이 전이(轉移)역할을 하는 중요한 매개체로 작용한다. 최근 교육 위주의 학업 방식으로 시대가 변화할수록 옥외놀이 및 놀이시설의 역 할과 중요성이 더욱 증대됨에 따라 1979년 ‘주택건설에 관한 규칙’에서 놀이터 공간 시설의 일부 기본 규격을 규제하였으나, 1991년 「주택건설 등에 관한 규정 제 55조의2」에 따라 대부분의 시설 제한 규정이 삭제되었다. 이러한 흐름에서 아파트단지 옥외 놀이시설과 관련된 선행 연구가 다수 진행되고 있는데, 대부분은 놀 이시설의 이용 빈도, 물리적인 공간 배치, 인터뷰에 따른 선호도 유형 조사, 놀이 시설의 종류 및 개수 파악 등 정량적 요소 측면으로 접근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 구자는 아동 놀이행태와 놀이시설 디자인의 관계성을 파악하고자 정성적 측면의 관찰조사에 관한 선행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법적인 제도로 인하여 기성품 위주의 일률적으로 이루어진 놀이시설과 면적에 따른 놀이터 및 놀이시설의 전체 레이아웃은 이용자와의 관계를 고려하지 못한 관념적인 디자인과 획일화된 배치로 인하여 전반적인 놀이행태가 이루어지기 어려움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아파트단지 내 놀이시설 디자인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공간과 이용자 행태 관점에서의 기능성, 효율성, 다양성에 초점을 맞추어 아동발달영역을 강화하기 위한 디자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는 아동의 놀이행태를 지원하는 물리적 환경의 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정성적 논의를 내포한 다. 따라서 놀이 환경과 구조를 접목한 요소에서 더욱 나아가 이용자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디자인에 적용함으로써 놀이시설에 내재된 가치를 강조하고, 아동발달영 역에 따른 다양한 놀이행태 지원을 위한 디자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한다. 제 I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 및 방법과 같은 연구 과정의 체계를 서술한다. 제 II장에서는 문헌을 통해 아동발달영역과 그에 따른 놀이행태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한다. 먼저, 아동발달영역의 종류와 각 종류에 따른 놀이행태가 시기 및 연령대 별로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살펴본 후, 총 세 가지로 한정된 발달영역에 따른 놀이행태를 각 여섯 가지로 정리하여 재구성한다. 또한 주택법과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매뉴얼 등 아파트단지 놀이시설 관련 제도와 문헌을 통해 아파트단지 놀이시설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아동발달영역에 있어 옥외놀이 및 놀이시설의 중요성을 파악한다. 제 III장에서는 앞서 정리된 놀이행태가 한정된 공간의 대상지에서 어떻게 전개 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사례 분석을 통하여 아동발달영역을 강화하는 놀이시설 디자인 경향을 도출한다. 또한 현장 관찰을 통하여 대상 놀이 공간과 놀이시설 디자인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문제점 해결방안으로 아동발달영역 강화에 대한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한다. 제 IV장에서는 III장에서 도출된 아동발달영역을 강화하기 위한 디자인 경향을 디자인 방법으로 적용한 놀이시설 디자인 모형 사례를 제시한다. 이와 같은 과정 후 정리한연구의 내용은 다음과같다. 기능과 효율성은 모든 공간에 필요로 하지만, 특히 면적과 규모가 제한되어 있는 아파트단지 내 놀이시설은 이용자, 즉 아동발달영역에 따른 다양한 놀이행태가 내포되어 있어야 대상 공간을 이용하는 아동에게 있어 그 가치가 더욱 증폭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옥외 놀이시설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보다 구체적인 방법들의 모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아동발달영역을 강화하기 위해 오늘날 아파트단지 옥외 놀이시설과 그 공간 조직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며,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 모형 사례를 제시한데에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