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9 Download: 0

루이 라벨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미궁」에 관한 연구

Title
루이 라벨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미궁」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Labyrinth” Based on the Theory of Louis Lavelle
Authors
김서희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은경
Abstract
In the modern-day society posterior to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capitalist economic system emerged aiming at pursuit of profits based on the established massive production and massive consumption system caused by rationalization, standardization and centralization. The society achieved elevated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provided convenience and abundance for modern-day people. However, as values of which external elements constitute primary conditions of happiness started to settle in line with rapid economic growth, materialist thinking and desire placing emphasis on worldly values such as money, power and fame emerged despite more materialistic abundance than before. As a result, excessive competitive spirit and rivalry with others deepened, thus, people face existential problems such as loss of existence, depression and emptiness. In this reality, Louis Lavelle(1882-1951) highly valued activities of wisdom, which is mind steering towards a true existential life, while reminding us of the fact that human existence is made of fragile and insufficient essence living in the finite temporality. Lavelle regards wisdom as force and courage leading to choice of eternity beyond temporality, and emphasizes that humans can have an existential experience of beauty and death through wisdom. The theory of Louis Lavelle delivers the message of the true meaning of life to modern-day people living in the reality of anxiety, by explaining creative freedom, relationship with the Absolute and the world of infinite eternity. This study intends to express human constant progress towards eternity by way of aesthetic experiences after realizing that we humans indulging in desire for wealth, power and materials face finitude of desire before temporality in which we live through wisdom, by dancing the creative dance work “Labyrinth” (2019) based on the theory of Lavelle. Moreover, this study intends to deliver the message of which we are to prioritize spiritual values and discover the meaning of life while pursuing a true relationship with the Absolute. For the purpose of this, this study constituted three parts of the work and analyzed the theme, detailed content, space usage, movement route, movement and meaning of objects and costume scene by scene. Part Ⅰdescribes how humans search for only worldly and superficial values and indulge themselves in labyrinth of desire until suffering from it helplessly. The stage center was set as a space of existence. Moreover, to symbolize a place that is difficult to escape, the range was restricted using the gobo lighting with the patterns of maze. Besides, it wanted to accentuate feelings of suffering and sadness of the subject by using heavy melodies of cello and gentle rhythms of violin evoking some gloomy and dreary mood. Dancer A expresses the wish of escaping from painful and distressful situation by using the movement of crouching down her body and stretching her arms to the sky. Part II depicts how people escape from the maze by experiencing reflection on beauty and death through wisdom once they start recognizing wisdom. With this in mind, the frontal space of the stage where dancer B shows up was set as a space of eternity, and some pure and chaste mood was added to the appearance of wisdom by shooting the white street lighting connoting honesty and purification. On the other hand, by maintaining the same status of gobo lighting with the patterns of maze in the center of the stage, it wanted to give contrast between the space of eternity with the situation of suffering and despair of Dancer A. As for music, in company with sound effects of resonation of clear sound like water drops and gentle and soft piano melodies, it suggests that the situation will have positive transformation. As for an object, by using the red threads symbolizing wisdom, the position of the red threads changes according to appearance of Dancer A and her movement route and the height of threads position rises to express capacity of wisdom as well as psychological variations of Dancer A. Moreover, when Dancer B gives the red threads to Dancer A, Dancer A starts to recognize wisdom and gathers courage to move towards the origin of life while moving along the path where the red threads are placed. At this moment, Dancer A increases the quantity of red threads and make a dynamic movement of extending her body to express the process searching for meaning of existence. Also, Dance A intends to express how she realizes her finitude, by pulling and entangling the red threads along the path where they are placed. Part III manifests how humans discover spiritual life and true meaning of existence while integrating into the infinite existence through values of something beautiful by obtaining creative freedom after having this existential experience escaping from the labyrinth. By using the entire space of the space, this work expressed the experience of eternity in life in an implicit manner,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purity of arts and religion and horizon of existence can be captured and realized in the presence of time. By harmonizing blueish lighting evoking aesthetic stability with yellow lighting full of warmth throughout the stage, the work intended to describe the process of humans searching for life of mental abundance. On the other hand, by reusing gobo lighting with patterns of maze on the frontal part of Stage Left at the end of the performance, it wishes to suggest that phenomenon of desire can be continuously created in the existence even after humans experienced eternity, thus, the experience of eternity does end as nothing but a one-off event. In addition, passionate melodies and rapid rhythms of piano were used to emphasize dynamic aspects of the subject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spiritual values. By repeating softening piano melodies and sound effects evoking water drops, it demonstrated how a human opts for a life of wisdom at the crossroads of selection. Here, Dancer A expresses the aspect of moving towards eternity in search of meaning of her existence by kicking her legs with quick and strong movements and extending her body. Through this dance creative work, “Labyrinth” (2019),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importance of leading a spiritual life full of true meaning of life, purposes and existence through wisdom, after realizing finitude of worldly and material values of our obsession in front of temporality. Furthermore, this study intend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pirit of wisdom and deliver the message of which the experience of eternity does not end as a one-off event but is open to the existential selection every moment, and this choice forms part of responsibility of humans living in the world. ;산업혁명 이후 현대사회는 합리화, 표준화, 집중화로 인한 대량생산, 대량소비체제가 확립되면서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자본주의 경제체제가 나타났다. 사회는 높은 경제 성장을 이루었고, 또한 과학과 기술의 발달은 현대인들에게 생활의 편의와 풍요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경제가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외적인 요소가 행복의 일차적 조건이라는 가치관이 자리 잡게 되면서 인간은 과거보다 물질적 풍요를 누림에도 불구하고 돈과 권력, 명예와 같은 세속적인 가치만을 중요시하는 물질주의적 사고와 욕망이 생겨났다. 이에 과도한 경쟁의식과 타인과의 비교의식이 심화되었고 인간은 존재성 상실, 우울증, 공허함 등 정신적 실존의 문제를 겪고 있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루이 라벨(Louis Lavelle, 1883 – 1951)은 유한한 시간성 안에서 살아가고 있는 인간의 실존이 나약하고 불충분한 존재라는 것을 상기시키며, 진정한 실존적 삶으로 나아가게 하는 정신인 지혜의 활동을 중요하게 여겼다. 라벨은 지혜를 시간성을 넘어 영원성을 선택하게 하는 힘이자 용기라고 했으며 인간이 지혜를 통해 아름다움과 죽음에 대한 실존적 체험을 겪을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루이 라벨의 이론은 창조적 자유, 절대자와의 관계, 무한한 영원성의 세계에 관해 설명함으로써 오늘날 불안한 현실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진정한 삶의 의미란 무엇인지를 전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라벨의 이론을 바탕으로 무용창작작품「미궁」(2019)을 안무하여, 부와 권력, 물질 등을 갈망하는 욕망에 빠진 인간이 지혜를 통해 자신이 살아가고 있는 시간성 앞에서 욕망이 유한한 것임을 깨닫고 미적 체험을 매개로 영원성을 향해 나아가게 됨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영적인 가치를 우선적인 가치로 여기고 절대자와의 진정한 관계를 추구하면서 삶의 의미를 발견해야 한다는 것을 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작품을 총 3장으로 구성하여 각 장면에 따라 주제 및 내용, 공간사용과 이동경로 및 움직임, 오브제와 의상의 의미로 분석하였다. 1장은 인간이 세속적이고 외형적인 것만 추구하며 결국 끝없는 욕망의 미궁에 빠져 무기력하게 고통받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무대 중앙을 실존의 공간을 설정하였으며 쉽게 빠져나올 수 없는 곳임을 상징하기 위해 미로무늬의 고보조명을 비추어 공간범위를 제한하였다. 또한 우울하고 음산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첼로의 무거운 선율과 바이올린의 잔잔한 리듬을 사용하여 주체의 고통과 슬픔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무용수 A는 주로 몸을 웅크리듯이 수축하거나 하늘을 향해 팔을 뻗는 동작으로 아픔과 괴로운 상황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모습을 표현하였다. 2장은 지혜를 인지하기 시작하면서 지혜를 통해 아름다움과 죽음에 대한 사유를 체험함으로써 미궁을 벗어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이에 무용수 B가 등장하는 무대 앞쪽공간을 영원성의 공간으로 설정하고 이 공간에 정직과 정화의 의미가 내포된 흰색 길 조명을 비춤으로써 지혜의 등장에 순수하고 순결한 분위기 더하였다. 반면 무대 중앙에 미로무늬의 고보조명은 그대로 유지하여 무용수 A의 고통과 절망의 상황을 영원성의 공간과 대조시키고자 하였다. 음악은 물방울이 떨어지는 듯 맑은소리의 울림이 느껴지는 효과음과 부드러우면서 잔잔한 피아노 선율로 상황이 긍정적으로 전환될 것을 암시하는 효과를 주었다. 또한 오브제로 지혜를 상징하는 붉은 실을 사용하여 무용수 B의 등장과 이동경로에 따라 붉은 실의 위치를 바꾸고 높이를 상승시킴으로써 지혜의 능력과 이에 이끌리고 있는 무용수 A의 심리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어서 무용수 B가 무용수 A에게 붉은 실을 전달함에 따라 무용수 A는 지혜를 인지하기 시작하고 붉은 실이 놓여있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삶의 근원으로 나아갈 수 있는 용기를 갖게 된다, 이때 무용수 A는 붉은 실을 늘리면서 신체를 확장시키는 역동적인 동작으로 존재의 의미를 찾아가는 깨달음의 과정을 나타내었고, 붉은 실이 놓인 길을 따라 이를 잡아당기거나 엉키게 만들며 지혜를 통한 사유를 바탕으로 자신의 유한성을 깨닫는 모습을 표현하였다. 3장은 미궁에서 벗어난 인간이 실존적 체험 후 창조적인 자유를 얻어 아름다운 무엇에 대한 가치를 통해 무한한 존재에 참여하면서 영적인 삶과 진정한 존재의 의미를 발견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무대 전체 공간을 사용하여 삶 속에서 영원성에 대한 체험, 즉 예술과 종교의 순수성과 실존의 지평이 시간 속에서 파악하고 깨달을 수 있음을 함축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때 심미적인 안정감을 주는 푸른색과 따뜻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노란색 조명을 무대 전체에 조화롭게 사용하여 정신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찾아가는 인간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반면 작품 후반에는 상수 앞쪽에 미로무늬의 고보조명을 재사용하여, 인간이 영원성을 체험했음에도 실존 안에는 욕망이 계속 생성될 수 있음과 이로써 영원성의 체험이 일회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암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격정적인 피아노의 선율과 빠른 리듬감을 통해 영적인 가치를 발견해가는 주체의 역동적인 모습을 강조하였고 잔잔해지는 피아노 선율과 물방울 떨어지는 소리와 비슷한 효과음을 재차 사용하여 선택의 기로 앞에서 지혜로운 삶을 선택하는 주체의 모습을 드러내었다. 이때 무용수 A는 다리를 빠르고 강하게 차거나 신체를 확장하는 동작으로 자신의 존재의미를 찾으려 애쓰면서 영원성을 향해 나아가려는 모습을 표현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무용창작작품「미궁」(2019)을 통해 삶을 살아가면서 자신이 집착한 세속적이고 물질적인 것들이 시간성 앞에선 유한한 것임을 깨닫고 지혜를 통해 진정한 삶의 의미와 목적, 존재가 충만한 영적인 삶을 살아가는 것의 중요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이를 통해 지혜의 정신을 다시 환기시키고 영원성의 체험이 일회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매 순간 실존적인 선택을 하도록 열려져 있으며, 이를 선택하는 것은 세상을 살아가는 인간이 가져야 할 책임이라는 점을 전하고자 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