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성경-
dc.contributor.author김지선-
dc.creator김지선-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1:46Z-
dc.date.available2020-02-03T16:31:46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32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327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2878-
dc.description.abstract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parenting guilt mediated by self-compassion and husband’s support through structural modeling. 292 married women with their first child under the age of 7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adult insecure attachment, self-compassion, husband’s support, and parenting guilt all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one-another. However, parenting guilt did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ttachment avoidance or husband’s support. Second, self-compassion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insecure attachment and parenting guilt while husband’s support did not.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attachment anxiety between parenting guilt and self-compassion was nearly double the amount of attachment avoidance. Fourth, working mothers showed higher levels of parenting guilt than non-working mothers, showing group difference in the cause of such gui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th coefficients with self-compassion and husband’s support between working mothers and non-working mothers.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as it showed how self-compassion can lower a mother’s parenting guilt, so therapists can apply this to approach depressed, anxious mothers with high levels of parenting guilt.;본 연구는 성인 애착과 양육 죄책감의 관계를 자기-자비와 남편 협력이 매개하는 구조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7세 이하의 첫 자녀를 둔 기혼 여성 29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성인 불안정 애착, 자기-자비, 남편 협력, 양육 죄책감은 애착-회피와 양육 죄책감 간, 남편 협력과 양육 죄책감 간의 관계를 제외하고 모두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애착-불안이 양육 죄책감에 자기-자비로 매개되는 효과는 애착-회피의 2배에 달했다. 셋째, 자기-자비는 성인 불안정 애착과 양육 죄책감의 관계를 매개했지만, 남편 협력은 매개하지 못했다. 넷째, 취업모의 양육 죄책감이 비취업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돌봄 부족 죄책감이 부정적 양육 행동 죄책감, 미숙한 부모 역할 죄책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 나와 죄책감의 원인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었다. 또한 취업모와 비취업모 사이 자기-자비 뿐만 아니라 남편 협력의 경로 계수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 연구를 통해 자기-자비 개입이 어머니의 양육 죄책감을 낮출 수 있다는 것을 밝혔으므로 앞으로 상담 실무에서 양육 죄책감을 많이 느끼는 우울하고 불안한 어머니들에게 응용될 수 있는 자기-자비적 개입이 많아지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어머니의 성인 애착과 양육 죄책감 5 1. 성인 애착의 개념 및 유형 5 2. 양육 죄책감 7 3. 성인 애착과 양육 죄책감 및 양육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 8 B. 자기-자비 11 1. 자기-자비의 개념 및 구성요소 11 2. 자기-자비와 성인 애착 13 3. 자기-자비와 양육 죄책감 및 양육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 14 4. 자기-자비와 남편 협력 16 C. 어머니의 취업과 양육 죄책감 18 Ⅲ.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20 A. 연구모형 20 B. 연구가설 21 Ⅳ. 연구방법 22 A. 연구대상 22 B. 연구절차 27 C. 측정도구 27 1. 성인 애착 27 2. 자기-자비 28 3. 남편 협력 30 4. 양육 죄책감 31 D. 분석방법 32 Ⅴ. 연구결과 34 A. 기술통계, 상관 분석 34 1. 기술통계 34 2. 상관분석 35 B.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집단간 차이 분석 36 C. 측정 모형 검정 39 D. 구조 모형 검정 41 E. 다집단 비교 43 F. 매개 효과 검정 44 Ⅵ. 결론 및 논의 47 A. 결과 요약 및 해석 47 B. 의의 및 제언 49 참고문헌 52 부록(설문지) 64 ABSTRACT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692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어머니 성인 애착과 양육 죄책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남편 협력의 매개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lationship of Maternal Adult Attachment to Parenting Guilt :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husband’s support-
dc.format.pagevi,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