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0 Download: 0

남자 중학생의 또래괴롭힘 피해 수준, 거부 민감성, 남성 성역할 갈등, 전위된 공격성의 관계

Title
남자 중학생의 또래괴롭힘 피해 수준, 거부 민감성, 남성 성역할 갈등, 전위된 공격성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Victimization from Peer Bullying, Rejection Sensitivity, Male Gender Role Conflict, and Displaced Aggression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Nonjudgment Disposi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정세련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또래괴롭힘(bullying)이란 실제 혹은 지각된 힘의 불균형이 있는 대인관계 상황에서 또래를 향해 반복적이며 고의적으로 위해를 가하는 것으로(Olweus & Limber, 2015), 또래괴롭힘 피해는 다시 가해를 낳는 악순환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알려졌기에 또래괴롭힘 피해와 공격성의 기제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특히, 남자 청소년은 자신보다 더 약한 또래를 향해 신체적 완력을 발휘함으로써 지배성을 드러내고자 하며(Pellegrini, 1995), 중학교 시기는 특히 또래괴롭힘에 취약한 시기이므로(관계부처합동, 2012; Neal, 2010) 본 연구는 남자 중학생의 또래괴롭힘 문제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먼저, 남자 중학생의 또래괴롭힘 피해 수준이 거부 민감성과 남성 성역할 갈등을 매개로 전위된 공격성의 증가를 설명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후, 또래괴롭힘 피해 수준, 거부 민감성, 남성 성역할 갈등, 전위된 공격성의 관계를 비판단 성향이 조절하는지 확인하고자, 비판단 성향에 따른 조건부 과정모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 소재 다섯 개 남자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 445명의 자기보고식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고, SPSS 22.0과 Process macro(Hayes, 2017)를 이용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또래괴롭힘 피해 수준은 거부 민감성, 남성 성역할 갈등, 전위된 공격성과 정적 상관을, 거부 민감성은 남성 성역할 갈등, 전위된 공격성 또한 정적 상관을, 남성 성역할 갈등은 전위된 공격성과 정적 상관을 유의하게 나타냈다. 반면, 비판단 성향과 또래괴롭힘 피해 수준 간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고, 비판단 성향은 거부 민감성, 남성 성역할 갈등, 전위된 공격성과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또래괴롭힘 피해 수준이 거부 민감성, 전위된 공격성으로 이어지는 직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또래괴롭힘 피해 수준은 거부 민감성을 경유하여 전위된 공격성의 증가를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남성 성역할 갈등은 또래괴롭힘 피해 수준에 의해 직접 설명되지 않았고, 또래괴롭힘 피해와 전위된 공격성의 관계를 단독으로 매개하지 못하였다. 다만, 남자 중학생의 또래괴롭힘 피해 수준이 증가할수록 거부 민감성이 증가하고 이는 남성 성역할 갈등의 증대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전위된 공격성이 증폭되었다. 즉, 또래괴롭힘 피해 수준과 전위된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거부 민감성과 남성 성역할 갈등의 이중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비판단 성향은 또래괴롭힘 피해 수준과 전위된 공격성 간의 직접 효과를 조절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또래괴롭힘 피해 수준과 거부 민감성의 관계를 비판단 성향이 유의하게 조절하였으며, 또래괴롭힘 피해 수준과 전위된 공격성의 관계에서 거부 민감성의 단순매개효과 역시 비판단 성향이 유의하게 조절하였다. 또한, 비판단 성향은 또래괴롭힘 피해 수준과 전위된 공격성의 관계에서 거부 민감성 및 남성 성역할 갈등의 이중매개효과를 조절하였다. 종합해 볼 때, 남자 중학생의 또래괴롭힘 피해 수준과 거부 민감성의 증가로 이어지는 관계는 비판단 성향에 의해 조절되었다. 그리고 또래괴롭힘 피해를 많이 경험할수록 거부 민감성이 증가하여 전위된 공격성으로 이어지는 관계를 비판단 성향이 조절하였다. 마지막으로, 또래괴롭힘 피해를 많이 경험한 남자 중학생은 거부 민감성을 크게 경험하고 이는 남성 성역할 갈등의 증가로 이어져 결국 전위된 공격성을 야기할 수 있지만, 이러한 기제는 비판단 성향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남자 중학생의 또래괴롭힘 피해에 대한 전위된 공격성을 예방하고 심리적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해 비판단 성향을 활용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남자 중학생의 또래괴롭힘 피해와 전위된 공격성의 기제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으며, 이에 대한 예방적 요인으로서 최근 심리치료 분야에서 각광 받고 있는 마음챙김 성향 중 하나인 비판단 성향의 역할을 조명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ictimization from peer bullying and displaced aggression via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e gender role conflict. In addition, moderation effect of nonjudgement disposition was verified. Self-reported data of 445 middle school boys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victimization from peer bullying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rejection sensitivity, male gender role conflict and disaplaced aggression. In addition, nonjudgement disposition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rejection sensitivity, male gender role conflict and disaplaced aggressi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nonjudgement disposition and victimization from peer bullying. Second, process macro model 6 indicated that a greater frequency of victimization from bullying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rejection sensitivity, which contributed to displaced aggression. The double mediation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e gender role conflict were significant for victimization from bullying and disaplaced aggression. Third, process macro model 85 indicated that nonjudgment disposition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ictimization from bullying and disaplaced aggression. And, this model also showed that the moderation effect of nonjudgment dispos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ictimization from peer bullying and rejection sensitivity was significant. Additionally, nonjudgment disposition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victimization from bullying on displaced aggression via rejection sensitivity. Moreover, nonjudgment disposition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victimization from bullying on displaced aggression through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e gender role conflict. Specifically, the indirect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nonjudgment disposition was in high leve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intervention strategies for male students victimized by peers were discusse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giv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