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6 Download: 0

대학생의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의 관계

Title
대학생의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Student’s Self-compassion and Failure-tolerance : Focusing on the Mediated effect of Positive-reappraisal and Experiential-avoidance
Authors
최서경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수진
Abstract
대학생 시기는 미래의 사회구성원으로서 사회진출을 준비하는 단계인 만큼 이 시기에 실패에 대해 건설적으로 반응하는 경향성인 실패내성 증진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강조되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사회의 성인 진입기 대학생들의 실패내성에 대한 관심이 요구되며, 이를 증진시킬 수 있는 요인들의 마련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실패내성을 측정하기 위해 실패 상황에 대한 감정, 행동, 과제난이도선호로 구성된 ‘성인용 실패내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부정적인 사건에 대한 적응적인 특성으로, 실패나 난관을 겪을 때 자신에게 온정적이고 수용적인 자세를 나타내는 ‘자기자비’가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의 관계에서 개인의 성장과 관련하여 사건을 해석하는 ‘긍정적 재평가’와, 부정적인 내적 사건을 회피하고 억제하려는 ‘경험회피’가 기제 변인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진입기 대학생 404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3.0을 사용하여 변인들의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이중매개 모형을 살펴보았으며,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의 관계에서 긍정적재평가와 경험회피의 매개효과와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주요 변인의 차이검증 결과, 긍정적 재평가에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기자비의 하위요인 중 마음챙김과 과잉동일시, 경험회피의 하위요인 중 억압/부인과 지연행동, 실패내성의 하위요인인 과제난이도선호와 전체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 중 지연행동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모두 남자 대학생이 여자 대학생들보다 높았다. 둘째, 주요 변인 간의 상관분석 결과, 대학생의 자기자비와 실패내성, 긍정적 재평가와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자기자비와 경험회피 그리고 경험회피와 실패내성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의 관계에서 긍정적 재평가와 경험회피의 단순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의 관계에서 긍정적 재평가와 경험회피의 이중매개효과 또한 유의하였다. 더불어 자기자비가 실패내성에 미치는 직접효과 또한 유의하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성인 진입기 대학생들의 자기자비는 효과적인 정서조절변인으로써 실패와 같은 부정적인 상황을 성장의 관점에서 바라보게 하고 이에 직면하게 하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의 실패내성 연구들은 대부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업적 측면에 제한하여 살펴본 경우가 많았으며, 실패내성을 어떻게 발현시킬 것인가에 대한 탐색적 연구가 부족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자비가 실패내성을 증진시키는 역할 함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자기자비가 실패내성 발현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실패 이후의 결과를 극복하고자 하는 건설적인 감정적, 행동적 반응을 촉진하는 정서 및 행동적 변인에 주목하였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reappraisal and experiential-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failure-tolerance.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404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the SPSS PROCESS Macro program was us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t-test of the main variables by gend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sitive-reappraisal. However,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between mindfulness and over-identification among sub-factors of self-compassion, suppression / denial and procrastination among sub-factors of experiential-avoidance, and preferred task difficulty and overall variables among sub-factors of failure-tolerance. In all other areas except procrastination, male university students showed higher differences th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Second,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correlations between all variables were significan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elf- compassion, failure-tolerance, and positive-reappraisal.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compassion and experiential- avoidance, experiential-avoidance and failure-tolerance. Third, positive-reappraisal and experiential-avoidance were significant as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failure-tolerance. In addition, the dual mediated effect of positive-reappraisal and experiential- avoidance was significant. Such results show that university students’ self-compassion promotes failure-tolerance. In addition, the study identified the role of positive-reappraisal and experiential-avoidance as the underlying mechanism in promoting failure-tolerance levels of youths. That is, the self-compass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emerging adulthood is an effective emotional adjustment, which plays a positive role in looking at and facing negative situations such as failure from the perspective of growth. Findings of the study shed light on the need of early interventive approach to support self-compassion of young adults, which were fully accompanied by emotional and behavioral variables that facilitate construc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responses to overcome failure consequences. Further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