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6 Download: 0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의 하향취업과 이직의도의 관계

Title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의 하향취업과 이직의도의 관계
Other Titles
A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underemploy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South Korea’s millennial genera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rotean career attitudes
Authors
공현정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이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하향취업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자기주도적 경력태도의 조절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극심한 취업난에서도 조기퇴사를 선택하는 청년층이 늘어나는 오늘날 상황은 개인 수준을 넘어 사회·경제적 차원에서 비효율을 야기하고 실업 재생산을 초래할 수 있어 우려가 높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의 하향취업과 이직의도 사이에 어떤 구체적인 심리적 기제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조기퇴사로 인한 개인적·사회적 비용을 줄이고자 했다. 이를 위해 1980년에서 1996년 사이에 태어나 4년제 대학교를 졸업하고 국내 다양한 기업에 전일제로 근무하고 있는 남·여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 323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질문과 하향취업, 이직의도, 직무만족, 자기주도적 경력태도를 측정하는 척도를 사용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6.0을 이용해 분석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했고 각 변수들 간의 관계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했다. 다음으로 2단계 접근법(Anderson & Gerbing, 1988)에 따라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차례로 검증했고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해 매개효과를 검증했다. 이어 Ping(1996)의 2단계 접근법을 활용해 조절효과를 검증했으며 경로에서의 성차를 확인하고자 다집단 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하향취업 수준이 높을수록 회사를 떠나고자 하는 의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하향취업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을 더 적게 경험해 결과적으로 직장을 떠나려는 의도가 커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셋째, 자기주도적 경력태도가 높으면 하향취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정적 영향을 완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하향취업에서 직무만족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남성과 여성의 집단 간 차이가 확인됐다. 남성과 여성 모두 하향취업이 직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남성의 경우 하향취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부적 영향이 여성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봤을 때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은 하향취업 수준이 높다고 주관적으로 지각할수록 직무만족을 더 적게 경험해 결과적으로 직장을 떠나려는 의도가 커지게 된다. 또 자기주도적 경력태도 수준이 높을수록 하향취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완충한다. 하향취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부적 영향은 남성이 여성보다 크다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주관적 하향취업 수준에 따른 이직의도, 직무만족의 관계를 나타냈다는 점, 조절변인으로서 자기주도적 경력태도의 효과를 입증했다는 점, 하향취업, 직무만족, 이직의도 간의 경로에서 성차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의 조기퇴사를 예방하는 방안으로 자기주도적 경력태도를 증진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음을 밝혔으며 기업상담 및 진로상담 장면에서 내담자의 하향취업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중요함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rotean career attitud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underemployment and turnover intentions of South Korea’s millennial generation. Even during the severe job crisis in Korea, the number of early separation in younger generations is increasing. This situation is highly concerning as it can cause social, economic inefficiency and reproduction of unemployment beyond one’s means. Therefore this research intends to explore the specific psychological mechanism between the millennials’underemployment and turnover intentions, assisting them to reduce the cost of early separation and towards a more functional resignation and turnovers. 323 male and female millennials born between 1980 and 1996 who graduated from 4-year universities and are working in various domestic enterprises participated in a survey measuring demographics, underemployment, turnover intention, job satisfaction, and protean career attitud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6.0.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was also measured. In addition the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was tested for mediation effect according to the two-step approach of Anderson and Gerbing(1988). Then Ping(1996)’s two-step approach was employed to test the moderation effect, followed by a multi-group analysis to confirm difference in gender. The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underemployment had an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s. Second, there proved to be a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underemployment and turnover intentions. Third, protean career attitudes proved to moderate the direct effect of underemployment on turnover intentions. Fourth, there proved to be a gender difference in the path from underemployment towards turnover intentions. In both genders, underemploy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but the effect was greater on men.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the more a millennial worker perceives one’s underemployment to be greater, the less the job satisfaction, leading to increased intention to leave one’s workplace. It also showed how having a protean career attitudes can reduce underemployment’s effect on turnover intentions. Furthermore the negative effect of underemployment on job satisfaction was greater on men than women. This research has theoretical implication as it is the first research in South Korea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urnover intentions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erceived level one’s underemployment and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of a protean career attitude. It also confirmed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employ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s. In matters of practica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creasing an employee’s protean career attitude can serve as a means to prevent millennial’s early separation, and stresses the importance of a client’s perception of one’s underemployment in workplace and career counsel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