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설경옥-
dc.contributor.author안은지-
dc.creator안은지-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1:42Z-
dc.date.available2020-02-03T16:31:42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29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295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2858-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재외국민 특례입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한국어 효능감, 역문화 충격, 내면화된 수치심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외국민 특례입학생은 귀국 후 국내대학에 입학하면서 역문화 충격뿐만 아니라 한국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거나 일반 대학생이 가지는 재외국민 특례입학생에 관한 편견에 노출되어 수치심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그러나 재외국민 특례입학생의 절반 정도가 부적응을 호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에 관한 연구가 여전히 부족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재외국민 특례입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이해하기 위해 이와 관련된 한국어 효능감, 역문화 충격, 내면화된 수치심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구체적으로 한국어 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역문화 충격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이중매개효과를 조사하였다. 재외국민 특례입학생 216명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4단계 회귀분석 방법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한국어 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역문화 충격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부분매개가 각각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Hayes(2013)가 제안한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부트스트래핑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성별, 국외로 이주한 나이, 귀국한 나이를 통제하였을 때 한국어 효능감은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역문화 충격과 내면화된 수치심을 거쳐 대학생활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한국어 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역문화 충격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단순매개효과와 이중매개효과가 모두 유의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한국어 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역문화 충격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부분매개효과와 이중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확인된 재외국민 특례입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한국어 효능감, 역문화 충격, 내면화된 수치심 간 관계는 이들이 귀국 후 겪는 어려움을 부분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이들에게 어떤 도움을 제공하여야 할지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재외국민 특례입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역문화 충격이나 내면화된 수치심을 낮출 수 있도록 한국어 효능감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둘 필요성을 제기한다.;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turning Overseas Koreans’ College Life Adaptation to Korean-Efficacy, Reverse Culture Shock, and Internalized Shame. Returning overseas Koreans not only go through reverse culture shock when they enter a Korean college, but they also experience shame and low self-esteem due to language issues and prevailing prejudice regarding returning overseas Koreans. Although some returning overseas Koreans suffer from severe maladaptation, local research on returning overseas Koreans still remain scarc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life adaptation to Korean-efficacy, reverse culture shock, and internalized shame in order to understand returning overseas Koreans’ college life adaptation better.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on effect of reverse culture shock and internalized sham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efficacy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 total of 216 returning overseas Korean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four-step Regression Analysis testing for mediation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efficacy and college life adapta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both reverse culture shock and internalized shame. Second, according to the Bootstrapping Method suggested by Hayes(2013) to test for indirect effects, Korean-efficacy not only directly affected college life adaptation but also indirectly affected college life adaptation through reverse culture shock and internalized shame when controlling for gender, age of immigration and age of return. More specifically, the single-mediation and double-mediation effects of reverse culture shock and internalized shame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efficacy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is study’s findings confirmed the single-mediation and double-mediation effects of reverse culture shock and internalized sham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efficacy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ese findings not only help to partially understand the difficulties returning overseas Koreans face when attending Korean colleges, but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to recognize specific measures that need to be taken in order to help returning overseas Koreans adapt better at Korean colleges. Specifically, this study raises the need for enhancing Korean-efficacy among returning overseas Koreans in order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 of reverse culture shock and internalized shame on the college life adaptation of returning overseas Korea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재외국민 특례입학생 6 1. 재외국민 특례입학생 정의 6 2. 재외국민 특례입학생 특징 7 B. 대학생활적응 9 1. 대학생활적응 정의 9 2. 재외국민 특례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10 3. 재외국민 특례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관련된 인구통계학적 변인 11 4. 재외국민 특례입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관련된 심리적 변인 13 C. 한국어 효능감 14 1. 한국어 효능감 정의 14 2. 재외국민 특례입학생의 한국어 효능감 15 3. 한국어 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 16 D. 역문화 충격 17 1. 역문화 충격 정의 17 2. 재외국민 특례입학생의 역문화 충격 18 3. 역문화 충격과 대학생활적응 19 4. 한국어 효능감과 역문화 충격 20 E. 내면화된 수치심 21 1. 내면화된 수치심 정의 21 2. 재외국민 특례입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21 3.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학생활적응 23 4. 한국어 효능감과 내면화된 수치심 23 5. 역문화 충격과 내면화된 수치심 24 III. 연구방법 26 A. 연구대상 26 B. 측정도구 29 1. 인구통계학적 특성 29 2. 한국어 효능감 29 3. 역문화 충격 29 4. 내면화된 수치심 30 5. 대학생활적응 30 C. 자료수집 32 D. 분석방법 32 IⅤ. 연구결과 34 A.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34 B. 주요 변인의 상관분석 35 C. 매개효과 검증 37 V. 결론 및 제언 43 A. 요약 및 논의 43 1. 대학생활적응과 관련된 인구통계학적 및 심리적 변인 43 2. 역문화 충격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45 B. 연구 의의 47 C. 한계 및 제언 49 참고문헌 51 부록 1. 설문지 70 ABSTRACT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0055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재외국민 특례입학생의 한국어 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에서 역문화 충격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이중매개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Double Mediation Effect of Reverse Culture Shock and Internalized Sham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Efficacy and College Life Adaptation of Returning Overseas Koreans-
dc.creator.othernameAhn, Eun Ji-
dc.format.pagevii, 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