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0 Download: 0

앙드레 브르통의 시에 나타난 파리의 장소성

Title
앙드레 브르통의 시에 나타난 파리의 장소성
Other Titles
Étude sur la lieuité de Paris dans la Poésie d’André Breton
Authors
박소윤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불어불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윤경
Abstract
초현실주의의 주창자인 앙드레 브르통(André Breton)의 작품에서 파리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는 브르통의 시에서 나타난 파리의 장소성을 밝히고자, 시인의 작품 세계에서 형상화된 파리의 모습을 대상으로 파리에 대한 브르통의 장소감을 살펴볼 것이다. 연구 범위는 파리의 모습이 나타나는 브르통의 운문 시로 제한할 것이며, 『공영 전당포』(Mont de Piété, 1919), 『대지의 빛』(Clair de terre, 1923), 『백발(白髮)의 권총』(Le Revolver à cheveux blancs, 1932), 『성좌』(Constellations, 1958) 외 시집에 수록하지 않고 별도로 발표한 운문 시를 포함한다. 이에 파리에 대한 브르통의 장소감이 표현된 『나자』(Nadja, 1928)를 더해 분석에 보탤 것이다. 본 연구는 브르통 만의 감각과 사유를 바탕으로 일상의 공간인 파리가 구체적 장소로 인식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파리에 대한 장소감을 통해 드러나는 시인의 정체성과 함께 브르통의 작품에 나타난 파리의 장소성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서론에서 공간과 장소의 개념을 구분해 정립할 것이다. 공간이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것을 담아내는 개념이라고 한다면, 장소는 특수하고 예외적인 속성을 바탕으로 한 주관적인 개념이다. 인간은 자신이 경험하는 장소에 의미를 부여하고 장소에 애착을 갖는 장소감을 획득한다. 물리적 환경, 인간의 활동, 장소의 의미는 낯선 공간을 장소로 만들고 개별의 장소성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추상적인 공간은 각 개인에게 구체적인 장소가 된다. Ⅱ장에서는 브르통의 작품 속에서 접경의 장소로서 의식 세계를 초월하는 파리의 ‘거리’와 ‘탑’을 분석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경계’에 부여된 브르통의 의미를 간략히 살펴볼 것이다. 브르통은 목적 없는 거리 산책을 즐겨했는데 이 때 ‘거리’는 의식 세계와 무의식 세계가 교차되는 ‘경계’이자 두 차원을 이분법적으로 나누지 않고 자유롭게 넘나드는 통로로 그려지며 브르통에게 장소화된다. 한편 브르통이 그려내는 ‘탑’은 지상에서 하늘로 솟아있는 건축물로, 화자와 대면하면서 분리되어 있던 현재와 과거를 잇는 매개체가 되며, 탑이 가지고 있는 역사와 신화가 중첩되는 공간이다. 더 나아가 이는 의식 세계를 초월하는 경계로 작용해 브르통 만의 장소로 변모함을 보여준다. Ⅲ장에서는 파리의 ‘광장’과 ‘강’이 장소감 형성이 어려운 무장소적 속성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브르통의 작품에서 어떻게 장소로서 의미가 부여되는지 분석한다. 이 때 무장소적 속성이란 주체가 낯선 장소에 머무르거나 그곳을 스치는 과정에서 장소감을 획득하지 못할 때 형성되는 속성으로, 주체가 장소에 독자적인 의미를 부여하지 못할 때 나타난다. 그러나 브르통은 이러한 속성이 짙은 ‘광장’과 ‘강’에서 장소감을 획득하며 이를 작품에 그려낸다. 브르통에게 ‘광장’은 ‘객관적 우연’이 실현되는 곳이자, 더 나아가 브르통의 내면 공간 형상화가 이루어지는 장소로 그려진다. 한편 파리의 ‘강’은 시인에게 있어 대립되는 가치의 교차 또는 기존 흐름의 전복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브르통에게 장소화됨을 알 수 있다. 브르통의 시에서 파리는 브르통이 추구하는 초현실주의 사상이 실현되는 곳으로 그려진다. 시인은 도시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매개로 의식과 무의식, 꿈과 현실의 대면을 가능케 하는 장(場)으로서의 파리를 체험하며 추상적이고 막연한 일상의 ‘공간’이었던 도시를 구체적이고 뚜렷한 ‘장소’로 받아들이게 된다. 이와 같은 ‘장소감’을 바탕으로 형성된 파리의 장소성은 초현실주의에 대한 브르통의 사유를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기반이 될 수 있다. ;L’objet d’étude de notre mémoire est de démontrer la lieuité de Paris dans la Poésie d’André Breton, l’instigateur du surréalisme, à partir du sentiment d'appartenance de Paris créé par les images du poète. Rétrécissant le champ de nos recherches à « Mont de piété » (1919), « Clair de terre » (1923), « Le Revolver à cheveux blancs » (1932) et « Constellations » (1958), nous analyserons également le sentiment de Paris avec « Nadja » (1928), qui met en évidence l’importante signification de Paris pour Breton. Cette étude a donc pour objectif d’éclairer la lieuité de Paris qui s'est formée avec l'identité du poète. Pour mener notre travail à bien, le concept d'espace et de lieu sera d'abord mis en place dans l'introduction. Si l'espace est un concept qui capture des choses universelles et générales, le lieu est un concept subjectif basé sur des attributs spéciaux et exceptionnels. Les êtres humains acquièrent un sentiment d'appartenance pour attacher du sens à l'endroit où ils vivent et pour être attachés à l'endroit. Le sens de l'environnement physique, de l'activité humaine et du lieu est qu'il fait d'un espace étranger un lieu pour former un lieu individuel. Grâce à ce processus, l'espace abstrait devient ainsi un lieu spécifique pour chaque individu. Dans le chapitre II, nous analyserons les rues et les tours de Paris, qui transcendent le monde conscient comme lieu frontière dans l'œuvre de Breton. Breton appréciait les promenades sans but dans la rue, où le monde de la conscience et de l'inconscience se croise et est représenté comme un passage libre à travers les deux dimensions sans les diviser dichotomiquement et sans être localisées. La tour de Breton est un bâtiment qui s'élève du sol au ciel, reliant le présent et le passé, séparés du locuteur, et qui recoupe l'histoire et la mythologie de la pagode. De plus, la tour agit comme une frontière qui transcende le monde de la conscience, montrant la transformation en un lieu dans l'espace de Breton. Dans le chapitre III nous verrons la signification de la place et de la rivière parisiennes comme lieux privilégiés dans les œuvres de Breton, même s'ils ont des qualités sans-lieuité, difficiles à créer. Pour Breton, la place est non seulement un lieu où se réalisent du « hasard objectif », mais aussi un lieu où se forme l'espace intérieur pour Breton. La rivière de Paris, quant à elle, est un lieu où le poète peut traverser des valeurs conflictuelles ou renverser des flux existants. Reconnu en tant que lieuité unique dans la poésie de Breton, Paris est une étape magique qui permet la réalisation du surréalisme recherché par le poète, à savoir le visage de la conscience, de l'inconscience, des rêves et de la réalité. Paris devient un lieu étrange pour offrir une expérience concrète, distincte mais surréaliste dans « l’espace » quotidien abstrait et vague. Cela pourrait ouvrir la voie pour comprendre comment se déroule l'imagination surréaliste de Breton. Étape infinie du surréalisme, Paris incarne ainsi les idées bretonnes et le « lieu » qui soutient le monde de la poési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