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3 Download: 0

赵本山小品中的东北方言语音研究

Title
赵本山小品中的东北方言语音研究
Authors
WANG, YINI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재돈
Abstract
方言承载了丰富的地域文化,是一种具有丰厚表现力的活泼的特色语言形式。 自古以来,方言与艺术作品的结合是不可分割的。从传统的戏剧表演开始,一直到近现代以来的多种艺术形式,在小品、相声、舞台剧甚至电视剧、电影等创作中都自觉或不自觉地在表演时使用了方言要素。这种在艺术作品中使用方言要素进行创 作的现象渐渐增加,近年来也有一些对于此类现象的关注与研究。赵本山作为中国 “小品王”,在二十余年里一直使用方言进行小品表演。本文以赵本山小品创作生涯的最后五年里与东北其他地区演员合作的五部小品为中心,分析台词中的语音要素,研究小品中表现出的东北方言特征。本文共分为四部分: 第一章是绪论。介绍方言与艺术作品的联系,阐述研究目的,综述东北方言语 音的研究现状,最后介绍本文的研究方法和语料来源,阐述本文的研究内容。 第二章是对东北方言的概述和对赵本山的艺术创作的介绍。在东北方言的概述中首先讲述了东北地区的地理概况和历史沿革,通过对黑吉辽三省历史上各个不同时期的版图分析,可以对东北方言内部一致性的原因有所了解。其次通过对史料、 论文等的分析与整理介绍了东北方言的形成背景及形成时间,之后概括总结其他资料中介绍的东北方言特点。在对赵本山艺术创作的介绍中通过对赵本山的生平、创作背景等的介绍,可以对赵本山的艺术生涯有一定认知,并由此可知赵本山热衷在表演中使用东北方言的原因。 第三章是分析赵本山小品中的东北方言特征。通过对各小品中语音要素的分析、归纳,整理出小品中所呈现的东北方言中的声母、韵母及声调体系,并对比分析小品中的方言音系与普通话的语音特征差异,再将方言音系与自五代以来的历代音系对比分析,研究从中古语音系统到小品方言系统的演变规律。 第四章是结语。主要总结本文的主要观点和创新之处,指出本文研究的不足以及有待继续研究的问题。 ;방언은 풍부한 지역문화를 담고 있으며 풍부한 표현력을 가진 활발하고 특색 있는 언어형식이다. 옛날부터 방언과 예술작품은 갈라놓을 수 없을 만큼 밀접하게 결합되어있다. 전통적인 연극으로부터 근현대의 다양한 예술형식에 이르기까지 소품, 재담, 무대극 심지어 드라마, 영화 등 창작에서도 의식적으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방언요소를 사용해왔다. 예술작품 속에 방언요소를 사용하여 창작을 진행하는 이런 현상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현상에 대한 관심과 연구도 늘어나고 있다. 조본산(赵本山)은 중국의 ‘소품왕’으로서 20 여 년 간 줄곧 방언으로 소품 연기를 해왔다. 이 논문은 조본산 소품창작생애의 마지막 5 년 동안 동북 기타 지역의 배우와 합작한 5 부의 소품작품을 중심으로 각 작품 속의 어음요소를 분석하고 소품 속에 나타나는 동북방언의 특징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 논문은 아래와 같이 네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제 1 장은 서론이다. 방언과 예술 작품의 관련을 소개하고 연구목적을 논술하고 동북방언 어음의 연구현황에 대해서 총괄해서 서술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연구방법 및 언어자료의 유래를 소개하고 이 연구의 연구내용을 논술한다. 제 2 장은 동북방언의 개술와 조본산 예술 창작에 대한 소개이다. 동북방언의 개술에서 먼저 동북지역의 지리적 상황 및 역사 연혁에 대해 소개한다. 헤이룽장성, 지린성, 랴오닝성 3 성의 역사상 각 시기별의 영역분석을 통하여 동북방언의 내부적 일관성의 원인을 파악한다. 그리고 사료 및 논문 등에 대한 분석 및 정리를 통하여 동북방언의 형성된 배경, 형성된 시기를 알아내고 기타 자료에서 소개한 동북방언의 특징을 요약한다. 조본산 예술 창작에 대한 소개에서 조본산의 생애, 창작 배경 등의 소개를 통하여 조본산의 예술 셍애에 대해 어느 정도 인지할 수도 있고 이것으로부터 조본산이 연기에서 동북방언의 사용에 열중하는 이유도 알 수 있다. 제 3 장은 조본산 소품작품 속의 동북방언의 특징에 대한 분석이다. 소품 속의 음성 요소에 대한 분석, 귀납을 통하여 조본산 소품작품 속의 동북방언 중의 모음, 자음 및 성조의 체계를 그려내고 소품 속의 동북방언과 표준어 사이의 음성특징의 차이에 대해서 비교분석을 진행한다. 또한 역대 음계와의 비교 연구의 시각에서 오대 이후의 음계와 비교하여 중세의 어음체계로부터 소품 속의 방언 음계에 이르기까지의 변화 규칙에 대해서 탐구한다. 제 4 장은 맺음말이다. 이 연구의 핵심적인 논점 및 창의성에 대해서 귀납하고 연구의 한계 및 앞으로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