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7 Download: 0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고 있다’ 습득 양상 연구

Title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고 있다’ 습득 양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Behavior behind the Acquisition of ‘-고 있다(-ko issta)’ of Japanese People Learning Korean Language
Authors
츠지히토미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미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고 있다’의 습득 양상을 밝히는 것이다. ‘-고 있다’ 는 초급 단계에서 학습하게 되는 문법임에도 불구하고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는 오류를 범하거나 어색한 표현을 흔히 사용한다는 지적이 많다. 이는 한국어 ‘-고 있다’와 그것에 대응하는 일본어 ‘-ている(teiru)’가 유사하면서도 많은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이유로 지금까지 한국어 ‘-고 있다’와 일본어 ‘-ている(teiru)’의 대조 분석이나 일본인 학습자의 ‘-고 있다’ 오류 분석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렇게까지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고 있다’습득 양상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가 어떤 과정을 통해 ‘-고 있다’를 습득하는지 자세히 알아보았다. Ⅰ장에서는 ‘-고 있다’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본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인 학습자에 있어 진행의 ‘-고 있다’와 결과 상태 지속의 ‘-고 있다’의 의미 습득 순서는 어떠한가, 둘째, 일본인 학습자의 ‘-고 있다’ 습득 양상은 동사 분류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가, 셋째, 일본인 학습자의 ‘-고 있다’ 습득은 언어 숙달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가이다. Ⅱ장에서는 한국어에 있어 상의 개념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어 ‘-고 있다’와 동사의 결합 상황, 그리고 상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동사의 결합 상황에 대해서는 동사가 가지는 자질 중에서 [순간성]과 [결과성]을 기준으로 알아보았다. 그 다음으로 한국어 ‘-고 있다’에 대응하는 ‘-ている(teiru)’의 상적 의미를 알아보면서 한국어와 대조분석을 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대상, 연구 절차, 연구 도구를 설정하였다. 대상자는 일본인 중고급 학습자와 한국인 모어 화자로 설정하여 중급 학습자 20명, 고급 학습자 24명, 한국어 모어 화자 2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Ⅱ장에서 살펴본 ‘-고 있다’와 결합하는 동사 조건을 고려하여 동사를 7가지로 나누고 그 동사들을 무작위로 제시한 총 36 문항을 설정하였다. 설문 조사 문항은 동사와 ‘-고 있다’가 결합하는 문장을 제시하여 맞으면 ○를 표시하고 틀리면 ×를 표시하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자세히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행을 나타내는 ‘-고 있다’와 결과 상태를 나타내는 ‘-고 있다’ 중에서 일본인 학습자는 진행을 나타내는 ‘-고 있다’를 습득한 다음에 결과 상태를 나타내는 ‘-고 있다’를 습득한다. 둘째, 일본인 학습자의 ‘-고 있다’ 습득은 동사 분류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있다’와 결합하는 동사에 대해서는 중고급 단계에 상관없이 높은 정답률을 보였고 ‘-어 있다’와 결합하는 동사에 대해서 중급 학습자는 낮은 정답률을 보였으나 고급 학습자는 높은 정답률을 보였다. 그러나 ‘입다’와 같은 ‘-고 있다’와 결합하여 ‘진행’과 ‘결과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는 언어 능력에 상관없이 낮은 정답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본인 학습자의 ‘-고 있다’ 습득은 언어 숙달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일본인 학습자는 고급단계가 되면 중급단계보다 ‘-고 있다’를 더 정확히 습득하지만 한국어 모어 화자 수준까지는 도달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일본인 학습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고 있다’를 습득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언하였다. 마지막 Ⅴ장에서는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고 있다’ 습득 양상을 밝힌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숙달도에 따른 ‘-고 있다’의 습득 양상을 살펴봤을 뿐만 아니라 ‘-고 있다’의 결합 상황을 고려하여 동사를 분류하였고, 동사 분류별로 분석하였다는 것도 의의가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eal the behavior behind the acquisition of ‘-ko issta’ in Korean language targeting Japanese people learning Korean language. Though ‘-ko issta’ is a grammar learned in the elementary level, Japanese people learning Korean language often make errors or use awkward expressions. Such behavior comes from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ko issta’ in Korean and ‘-ている(teiru)’ in Japanese which corresponds which the term. There has been numerous studies focused on carrying out contrastive analysis between ‘-ko issta’ in Korean and ‘-ている(teiru)’ in Japanese or analyzing the errors of ‘-ko issta’ of Japanese people learning Korean because of such reasons. However, there has been only few studies focused on the behavior behind the acquisition of ‘-ko issta’ in Korean of Japanese people learning Korean language. The study examined how Japanese people learning Korean acquire ‘-ko issta’ while considering the abovementioned facts. In Chapter 1, the study examined the preceding studies on ‘-ko issta’ and set the necessity and the problems of the study. The problem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order for the acquisition of the meaning of ‘-ko issta’ which describes the progressive state and ‘-ko issta’ which describes the continuous state of a result. Second, ‘Is there a difference on the behavior behind the acquisiti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verb’. Third,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speed of the acquisition of ‘-ko issta’ among Japanese people learning Korean language according to the level of proficiency.’ In Chapter 2, the study organized the superior concept in Korean and and examined the combination of ‘-ko issta’ in Korean and verb and the aspectual meaning at the same time. The study examined the combination of verbs based on the [semelfactive] and [resultative] among the properties of verbs. Next, the study conducted a contrastive analysis with Korean language while examining the aspectual meaning of ‘-ている(teiru)’ which corresponds with ‘-ko issta’ in Korean. In Chapter 3, the study set the target, process, and the tools for the study. The study targeted Japanese people learning Korean language in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and conducted a survey on 20 people in intermediate level and 24 people in advanced level. The survey classified verbs into 7 types while considering the conditions of verbs that combine with ‘-ko issta’ examined in Chapter 2, and set 36 questions which randomly suggested the verbs. The question was marked ○ if the participant suggests a sentence where verb successfully combines with ‘-ko issta’, and was marked × if the participant suggests a sentence where verb failed to combine with ‘-ko issta’. In Chapter 4, the study analyzed the result of the study in detail.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apanese people learning Korean learn ‘-ko issta’ which describes the continuous state of a result after learning ‘-ko issta’ which describes the progressive state. Second, there has been distinct difference regarding the acquisition of ‘-ko issta’ by Japanese people learning Korea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verbs. For the verb the combine with ‘-ko issta’,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high regardless of the level of proficiency. Meanwhile, for the verb that ‘-eo issta’,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low for the people in intermediate level but high for the people in advanced level. However,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low regardless of the level of proficiency for the verb that combines with ‘-ko issta’ like ‘Ipta’ which describes ‘progressive’ and ‘continuous’ state of a result. Third,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cquisition of ‘-ko issta’ among Japanese people learning Korean according to the level of proficiency. However, the study was able to find out that Japanese people learning Korean acquires ‘-ko issta’ more accurately in the advanced level compared to the ones in intermediate level but still do not reach the level of the people who speaks Korean as their mother tongue. The study suggested an educational method which enables Japanese people who learns Korean to acquire ‘-ko issta’ more effectively. Last Chapter depicted the meaning and the limit of the study. The study is meaningful as the study revealed the behavior behind the acquisition of ‘-ko issta’ of Japanese people learning Korean. Also, the study is meaningful as the study not only examined the behavior behind the acquisition of ‘-ko issta’ according to the level of proficiency but also classified verbs in regard to the combinations while analyzing the verbs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standra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