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7 Download: 0

조은혜의 작품 연구

Title
조은혜의 작품 연구
Other Titles
An Analysis of Four Compositions by Eunhye Cho : 1. Cord for Flute Solo (2016), 2. Cube for Clarinet and Piano (2016), 3. Paradise for String Trio (2017/2018), 4. tata for 6 Players (2019)
Authors
조은혜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승현
Abstract
This thesis is a study on four works from the graduation recital of Eunhye Cho, a graduate music composition student at Ewha Womans University. It is aimed to research and demonstrate the background, form, pitch structure, and development method of the following works: Cord for Flute Solo (2016), Cube for Clarinet and Piano (2016), Paradise for String Trio (2017/2018) and tata for 6 Players (2019). On October 22, 2019, these works were premiered at the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usic Recital Hall. Cord for Flute Solo is influenced by Density 21.5, a work for solo flute by Edgard Varèse (1883-1965). This piece cited motive of Varése and used his compositional method-intervalic composition. This work consists of five sections and expresses various musical effects through repetition and change of two intervallic combinations: the minor second and the augmented fourth. This is expanded via octave displacement, and includes different timbre by extended technique of flute. Cube for Clarinet and Piano was inspired by Cubes, the basic form of a cuboid. The musical elements replaced the verbal and mathematical meanings contained in dice with musical elements, and based on these, the music revolve through same pitch, minor second, and the six chords. Six sides of the dice, which have the same shape but are different objects, are represented by musical tone changes using the clarinet's glissando, multi-phonics, smorzato, diverse vibrations and key clicks and piano’s pedaling techniques. The work consists of six sections. Paradise for String Trio is composed by as a result of an individual experience and its influence of composer. The work is a musical expression of the three words "None," "Conjoining" and "Apnea“. The work consists of five parts. The work use three string instruments-violin, viola, cello for intending to cut off the diversity of sound. In this work, the timbre change is an important development, and this piece was formatted following theses timbre changes. The extreme contrast between the dynamics and musical figures generate various sound changes. Tata for 6 Players is composed of appreciation from the two books the composer has read, Friedrich Wilhelm Nietzsche’s "The Human, All Too Human" and Kim Ae-ran's novel "The Outside is Summer." The work consists of four sections and uses musical gestures based on the theme. The repetitive figures on the piano and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meter make the music tense. This work has sub themes- irritation, disappearance, and accumulation. Structure of this piece related on its sub themes. And meaningless lyrics was used in this work for concentration on sopranos voice. In conclusion, through study of these works, this thesis demonstrates how ideas related to various experiences are expressed in music. By analyzing structures, harmonies and timbre of these four works, this thesis indicates that the composer choose various types of musical structures, timbre and diverse instrument techniques to express musically certain ideas. Especially focusing on music timbre and each sound of instruments, the composer shows her own thoughts and feelings through these compositional techniques.;본 논문은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음악학부 작곡과 조은혜가 작곡한 플루트 솔로를 위한 <선(Cord)>(2016), 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큐브(Cube)>(2016), 바이올린, 비올라와 첼로를 위한 <낙원(Paradise)>(2017/2018), 6인의 연주자를 위한 <타타(tata)>(2019)에 관한 연구이다. 이 네 작품은 석사학위 이수를 위한 졸업연주회에서 연주된 작품으로 2019년 10월 22일 이화여자대학교 음악관 국악연주홀에서 초연되었다. 플루트 솔로를 위한 <선>은 석사학위과정 이수 중에 작곡한 <연습을 위한 작은 모형> 시리즈 중 첫 번째 곡으로 선으로부터 착안한 생각을 음악적으로 나타낸 작품이다. 다섯 부분으로 구성된 이 작품은 선율 전개 방식에서 바레즈(Edgard Varés, 1883-1965)의 “Density 21.5”의 주제의 인용과 음정 작곡기법(Intervalic Composition)을 사용하였으며, 원형집합 (0 1 2)와 단2도 및 증4도 음정을 중심으로 곡을 전개한다. 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큐브>는 <연습을 위한 작은 모형> 시리즈 중 두 번째 곡으로 입체모형의 기본 형태인 입방체(Cube)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하였다. 일상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입방체인 ‘주사위’에 내포된 언어적, 수학적 의미를 음악 요소로 치환하여 곡에 사용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곡은 동음과 단2도, 증4도 음정과 여섯 개의 화성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동일한 모양을 가지나 다른 개체인, 주사위의 여섯 면은 클라리넷의 글리산도, 멀티포닉스, 스모르자토 등의 주법과 피아노의 페달링 주법을 통해 음색의 변화로 표현된다. 작품은 총 여섯 부분으로 구성된다. 바이올린, 비올라와 첼로를 위한 <낙원>은 작곡가 개인이 겪은 한 사건과 이로부터 받은 정신적 영향을 소리로 구현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음색 변이를 주요 음악 전개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곡의 형식이 구분된다. 곡은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며 현악기 주법, 악상, 음형, 음정 등의 극단적인 대비를 통해 곡의 주제인 ‘없음’, ‘결여’, ‘무호흡’을 표현하였다. 6인의 연주자를 위한 <타타>는 작곡가가 읽은 두 권의 책인 프리드리히 빌헬름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84-1900)의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I>과 김애란(1980-)의 소설 <바깥은 여름>에서 얻은 감상을 바탕으로 작곡된 곡이다. 곡은 소프라노, 플루트, 베이스 클라리넷, 비올라, 더블베이스, 피아노의 총 6인 편성이며 형식은 네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이 작품은 주제에 대한 상징성, 정형성, 주기성을 성악의 가사와 악기의 특수 주법, 음향 구조와 같은 음악적 장치를 통해 구현되고 있으며 특히 ‘자극-휘발-축적’의 주기를 음악적으로 서술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논문은 앞서 제시한 네 작품의 연구를 통해 작곡가가 작품마다 설정한 명확한 주제와 이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 다채로운 음악 어법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