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9 Download: 0

유민희 작곡 “18현 가야금을 위한 짧은 산조 <파도>” 분석 연구

Title
유민희 작곡 “18현 가야금을 위한 짧은 산조 <파도>” 분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nalysis of Yoo’s “Brief sanjo for 18-String gayageum
Authors
안은정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은아
Abstract
서양음악의 작곡기법과 전통적 특성이 결합하여 다채롭고 개성 있는 작품들이 작곡되며 창작 국악의 영역이 넓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전통음악의 선율과 전통 연주법을 중심으로 현대적 작곡기법이 활용된 작품인 유민희의 “18현 가야금을 위한 짧은 산조 <파도>”를 분석하였다. 본 곡은 총 152마디로 구성되어 있으며, 곡의 분석을 위해 A·B·C·D·E 총 5단락으로 나누었다. 선율, 장단 및 리듬, 가야금 연주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락별 부분으로 선율분석을 하면 A 단락은 진양장단과 d음-c음-a음-d음 중심 순으로 전통적인 산조선율이 진행되었다. 본래 전통적인 산조의 우조 선율과 계면 선율이 나타났다. B 단락은 현대적 선율이 진행되었다. d음-a음 순으로 중심음과 함께 같은 선율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며 옥타브 진행이 나타났다. C 단락은 a·b부분으로 나누었다. a부분은 중중모리장단과 c음-g음-c음-a음-c음-g음-c음 중심 순으로 전통적인 산조선율이 진행되었다. 경기민요의 경토리 선율을 사용하며 본래 전통적인 산조의 계면 선율이 나타났다. b부분은 특정한 선율로 귀결되지 않으며 5음음계(D, E, G, A, C) 구성음 안에서 현대적으로 만들어낸 자유분방한 선율 진행이 나타났다. D단락은 5음음계(D, E, G, A, C) 구성음 안에서 현대적 선율이 진행되었다. 주제 선율의 모방 및 축소·동형·하행진행이 나타나며 반복적인 선율 진행과 셈여림을 통해 음악의 긴장감을 주는 특징이 나타났다. E 단락은 a·b부분으로 나누었다. a부분은 엇모리장단과 a음-d음 순으로 중심음을 반복하며 전통적인 산조선율이 진행되었다. 중심음을 기준으로 순차적 상행과 옥타브 선율이 진행되며 본래 전통적인 산조의 계면 선율이 나타났다. b부분은 A 단락 진양조 제1마디를 모티브로 활용하여 d음-g음-d음-a음 중심 순으로 선율이 진행되었다. 본래 전통적인 산조의 계면 선율이 나타났다. 둘째, 단락별 부분으로 장단 및 리듬 분석을 하면 A 단락은 18/8박자, 빠르기는 ♩.=30으로 진양장단으로 진행되었다. 리듬 구조는 진양장단에서 사용되는 기준박인 4·2 구조가 나타났다. 악구의 변형과 장단의 연결로 규칙적인 4·2 구조의 흐름에서 벗어나기도 하며 분할 리듬 사용으로 2·2·2 구조가 나타났다. B 단락은 4/4박자, 빠르기는 ♩=120이며 전통 장단이 따로 나타나지 않고 반주자의 음악성과 역량에 따라 4/4박자 안에서 자유롭게 연주하는 장단 형태로 진행되었다. 리듬 구조는 규칙적인 리듬 반복과 강박의 위치가 바뀌는 구조가 나타났다. C 단락은 a·b부분으로 나누었다. a부분은 12/8박자, 빠르기는 ♩.=55이며 중중모리장단으로 진행되었다. 리듬 구조는 중중모리장단에서 사용되는 기준박인 3·3·3·3분박의 리듬 구조가 나타났다. 2분박으로만 구성된 구조, 2분박과 3분박이 혼합된 구조를 함께 활용하면서 다채로운 리듬 효과를 주었다. b부분은 Free tempo로 진행되었다. Free tempo는 카덴짜(cadenza)효과를 나타내며 특별한 장단 및 리듬 구조가 나타나지 않고 자유롭게 진행되었다. D 단락은 3/4박자, 빠르기는 ♩=120이며 전통 장단이 따로 나타나지 않고 반주자의 음악성과 역량에 따라 3/4박자 안에서 자유롭게 연주하는 장단 형태로 진행되었다. 리듬 구조는 3분박 리듬()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며 나타난다. E 단락은 a·b부분으로 나뉘며 a부분은 10/8박자, 12/8박자, 빠르기는 ♪=160이며 엇모리장단으로 진행된다. 리듬 구조는 엇모리장단에서 사용되는 기준박인 3·2·3·2분박의 리듬 구조가 나타났다. 2·3·2·3분박 구조, 2·2·2·2·2분박 구조를 함께 활용하면서 다채로운 리듬 효과를 주었다. b부분은 senza tempo로 진행되었다. tempo와 특별한 리듬 구조가 나타나지 않고 자유로운 형태로 진행되었다. 셋째, <파도>에 사용된 가야금 연주법은 전통적인 연주법, 새로운 주법으로 나눌 수 있다. 전통적인 연주법은 연튕김, 추성, 퇴성, 여음 상행진행, 세음 연결, 한 줄 아래 현을 눌러 윗 현으로 돌아감, 한 줄 아래 현을 눌러 연주, 두 줄 아래 현을 눌러 윗 현으로 돌아감, 꺾는 기법, 약한 전성, 강한 전성, 농현이 사용되었다. 새로운 주법은 양손 주법, 2화음, 3화음, 4화음, 스타카토, 구르는 주법, 글리산도(상행), 세음 이어뜯기, 네음 이어뜯기가 나타났다. 유민희 작곡의 “18현 가야금을 위한 짧은 산조 <파도>”는 전통 산조에 쓰이는 선율 사용과 동시에 현대적 기법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전통적인 가야금 연주법을 통해 산조의 다양한 시김새를 사용하고 18현 가야금의 넓은 음역대 사용과 5음음계 화성의 활용으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다양성을 더 해 주고 있다. 본 고를 통해 한국 음악의 고유성을 보존하며 새로운 음악을 창작하는 하나의 방향 제시가 되기를 바라며, “18현 가야금을 위한 짧은 산조 <파도>”를 연주할 연주자들에게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고 연주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As varied and unique pieces are compose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western music’s composition skills and conventional characteristics, the area of Changjak Gukak (Creative Korean traditional music). This study analyzed Minhee Yoo’s“Brief sanjo for 18-String Gayageum ” that utilizes contemporary composition skills focusing on Korean traditional music’s melody and traditional playing skills. The piece is composed of 152 bars and this study divided the piece into 5 short sections of A,B,C,D, and E to analyze the piece. The results on analyzing the melody, beat, rhythm, and Gayageum playing skill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n melodies of each section is as follows. Section A shows the traditional Sanjo melody in the order of d note – c note- a note- d note with Jinyang beat. Section A also demonstrates the use of traditional Sanjo’s Ujo melody and Gyemyeon melody. Section B shows the contemporary melody. In Section B, same melody is repeated by focusing on d note and a note. Then, the melody finishes with d note in the last bar. Section B also demonstrates octave melody based on the keytone. Section C is divided in to Part a and Part b. Part a shows the traditional Sanjo melody based on c note – g note – c note- a note – c note- g note – c note with Jungjungmori beat. It also uses Gyeongtori melody from Gyeonggi folksongs while using serial melody and Gyemyeon melody at the same time. In Part b, the progress of melody does not lead to specific melody and it shows free progress of melody created in contemporary ways by using notes from 5 pentatonic scales (D,E,G,A,C). Section D shows the contemporary melody only with pentatonic scales (D,E,G,A,C). It demonstrates the copying, diminishing, same shape, and descending progress of theme melody. It also repeated melodies and brings tension to the music by using dynamics. Section E is divided into Part a and Part b. Part a repeats a note and d note with Utmori melody and shows traditional Sanjo melody. It also demonstrates the serial ascending and octave melody based on keynote while using traditional Sanjo melody’s Gyemyeon melody together. Part b uses Section A’s Jinyangjo Bar 1 as the theme and the melody progresses in the order of d note- g note – d note – a note. Part b also uses the traditional Sanjo’s Gyemyeon melody. Secondly, the analysis on beat and rhythm of each section is as follows. Section A shows Jinyang beat with 18/8 beat and ♩.=30 tempo. Section A proceeds in 4·2 structure as standard beat for Jinyang beat. It also breaks away from the regular 4·2 structure by changing phrase and connecting beat. It also shows 2·2·2 structure by using divisive rhythm. Section B involves 4/4 beat and ♩=120 tempo. It does not show traditional beat and the melody is played freely in 4/4 based on the accompanist’s musicality and competence. Section B shows repetition of regular rhtym structure and rhythm structure where upbeat position changes. Section C is divided in to Part a and Part b. Part a proceeds in Jungjungmori beat in 12/8 beat and ♩.=55 tempo. It shows 3·3·3·3 rhythm structure with keynote used in Jungjungmori beat composed of 2 bunbak (basic unit split in 1 beat) and it shows structure mixed with 2 bunbak and 3 bunbak. Part b proceeds in free tempo. The free tempo shows cadenza effect and it proceeds freely without special beat or rhythm structure. Section D proceeds in 3/4 beat and ♩=120 tempo. It does not involve separate traditional rhythm and it is played freely in 3/4 beat based on the accompanist’s musicality and competence. Section D also sequentially repeats 3 bunbak beat. Section E is divided into Part a and Part b. Part a proceeds in Utmori beat in 10/8 beat and ♪=160 tempo. It shows 3·2·3·2 rhythm structure with as the keynote used in Utmori beat. It also demonstrates varied beats by using 2·3·2·3 structure and 2·2·2·2·2 structure together. Part b proceeds in senza tempo. It also proceeds in free style without separate tempo or special rhythm structure. Third, Gayageum playing skills used in are divided into traditional playing skill and new playing style. The traditional playing skill includes serial string picking, Chusung, Toisung, ascending yeoum, three-note connecting, going back to upper string by pressing the string below, playing by pressing the string below, going back to upper string by pressing string below two string, sudden note fall, weak picking, and strong picking. The new playing style includes two-hand playing style, 2-chord, 3-chord, 4-chord, staccato, rolling, glissando (ascending), playing three notes in sequence, and playing four notes in sequence. “Brief sanjo for 18-String Gayageum ” composed by Minhee Y uses melodies from traditional Sanjo while using contemporary techniques at the same time. The traditional Gayageum playing skills use various Sigimsae of Sanjo and it uses the broad range of 18-string Gayageum. It also utilizes the pentatonic scales to cover both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elements. This study seeks to suggest a direction for preserving the uniqueness of Korean music and creating new music. This study also aims to help performers in understanding and playing “Brief sanjo for 18-String Gayageum ”.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