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창원-
dc.contributor.author김은비-
dc.creator김은비-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1:33Z-
dc.date.available2020-02-03T16:31:33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36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369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280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규범 언어인 문화어 화자의 현실 발음을 규범 및 평안방언과 비교하여 고찰한다. 어문 규범은 자연발화를 바탕으로 정해지기는 하지만 어디까지나 인공적인 성격을 지니기 때문에 자연발화와 일치하지 않는다. 북한은 사회주의 국가로서 언어를 체제 선전의 무기로 여기기 때문에 언어 규범을 정립하고 교육하는 노력을 행해왔음에도 현실의 언어와 규범은 차이를 보이기 마련인 것이다. 본 연구에서 일컫는 ‘문화어 화자’란 ‘문화어를 사용할 것으로 기대되는 화자’를 뜻한다. 문화어 화자의 발화 자료는 북한 영화를 통해 수집한다. 김정일이 저술한 <영화예술론>에 따르면 북한의 배우들은 대중들에게 모범이 되도록 문화어를 사용하도록 권장되기 때문에 북한 영화는 문화어 화자의 현실 발음을 보여줄 수 있는 자료로 볼 수 있다. 일반적인 극영화에 해당하는 북한의 ‘예술영화’ 중 통일부 북한자료센터에서 영상 자료와 시나리오를 확인할 수 있으며, 현행 북한의 어문 규범이 공포된 이후에 제작되었고, 일상적인 공간을 배경으로 하는 영화를 선정하였다. 이와 더불어 북한 인사의 담화 자료도 부분적으로 참고한다. Ⅱ장에서는 북한 발음 규범 중 어두의 /ㄴ, ㄹ/ 발음 관련 규정과 /ㄷ/ 구개음화 관련 규정, 그리고 모음 관련 규정에 대해 설명하고 문화어의 바탕이 되는 평안방언의 음운 체계에 대해 개괄하였다. Ⅲ장에서는 문화어 화자의 자음 발음 중 어두의 /ㄴ, ㄹ/ 발음과 /ㄷ/ 구개음화의 실현 양상을 고찰하였다. 어두 /ㄴ, ㄹ/ 발음의 경우 후행하는 음소와 개별 단어의 빈도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실현되었다. 반면 /ㄷ/ 구개음화는 일부 노년층의 발화 외에는 거의 정착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여기에는 강력한 문화어 정책이라는 언어 외적인 요인과 평안방언에서 /ㄷ/ 구개음화가 진행 중이라는 언어 내적인 요인이 모두 작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Ⅳ장에서는 문화어 화자의 모음 발음을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단모음에 대해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다양한 견해가 제시된 바 있는 /ㅓ/와 /ㅡ/의 발음에 대해 살펴보았다. /ㅓ/가 [ㅗ]로 실현되고 /ㅡ/가 [ㅜ]로 실현되는 경우가 다수 관찰되었지만 /ㅓ/와 /ㅗ/, /ㅡ/와 /ㅜ/의 합류가 이루어졌다고 단언하기는 어려운 상태임을 확인하였다. 이중모음은 /ㅣ/ 모음 순행동화, 이중모음의 축약, 활음 탈락 현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ㅣ/ 모음 순행동화는 북한에서 규범에 명시한 현상이지만 현실 발음에서는 실현되지 않는 경우가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모음의 축약은 /ㅕ/→/ㅔ/ 축약과 /ㅝ/→/ㅗ/ 축약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ㅕ/→/ㅔ/ 축약은 기존의 연구에서 평안방언의 특징으로 언급되었던 현상인데 본 연구에서 살펴본 자료에는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다른 방언에도 나타나는 보편적인 현상인 /ㅝ/→/ㅗ/ 축약은 비교적 활발하게 실현되었다. 마지막으로 활음 탈락은 /y/계 이중모음과 /w/계 이중모음의 경우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y/계 이중모음의 활음 탈락은 남한과 북한의 규범에서 서로 다르게 규정하고 있었으나, /ㅈ, ㅊ, ㅉ/+/y/ 외에는 실현 양상에 큰 차이가 없었다. /w/계 이중모음의 활음 탈락은 /y/계 이중모음의 활음 탈락에 비해 광범위하게 일어났다. 어두 여부와 선행자음에 따라 분류하여 /w/계 이중모음의 활음 탈락 실현 양상을 살펴본 결과, 음운적 환경, 빈도, 화자의 연령대, 발화 상황, 개별 단어의 사회적 맥락 등이 /w/계 이중모음의 활음 탈락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의의와 한계를 제시하였다.;In this study, the real pronunciation of standard North Korean speakers is compared with the norm and Pyeongan dialect. Although language norms are established based on natural utterance, they do not correspond with natural utterance because it is artificial. Since North Korea regards language as a weapon of propaganda as a socialist state, even though it has made efforts to establish and educate language norms, the language of reality and norms are different. The term ‘standard North Korean speakers’ in this study means ‘speakers who are expected to use standard North Korean’. The utterances of the speakers of the cultural language are collected through North Korean films. According to Kim Jong-il's book “On the Art of the Cinema”, actors in North Korea are encouraged to use standard North Korean to set an example for the public. Therefore, North Korean films can be the material that can show the real pronunciation of standard North Korean speakers. Some of North Korea's 'art films', which are general drama films, were selected as materials. The conditions are as follows; Films whose video materials and scenarios can be viewed at the Information Center on North Korea in the Ministry of Unification, films produced after the promulgation of current standard North Korean, and films whose background is everyday space. In addition, some references will be made to the speech of North Korean officials. Chapter II explains some rules of standard North Korean; rules about the initial /ㄴ, ㄹ/ pronunciation, rules about the /ㄷ/ palatalization, and rules about vowels. Then it outlines the phonological system of Pyeongan dialect that is the basis of standard North Korean. In chapter Ⅲ, among the consonant pronunciation of standard North Korean speakers, the research on how the initial /ㄴ, ㄹ/ pronunciation and the /ㄷ/ palatalization are realized was conducted. In the case of /ㄴ, ㄹ/ pronunciation, it was realiz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following phonemes and the frequency of individual words. On the other hand, /ㄷ/ palatalization was almost settled, except for the utterance of some aged speakers. It was confirmed that both extralinguistic factors such as strong language policy and linguistic factors such as that the /ㄷ/ palatalization is in progress in Pyeongan dialect have worked. It was confirmed that both extralinguistic factors, such as strong language policy, and linguistic factors, such as the /ㄷ/ palatalization of Pyeongan dialect in progress, were found to have worked on this phenomenon. In chapter Ⅳ, the research on the vowel pronunciation of standard North Korean speakers is conducted, divided into monophthong and diphthong. For monophthong, various views were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on the pronunciation of /ㅓ/ and /ㅡ/, so the research on how the pronunciations of /ㅓ/ and /ㅡ/ was conducted. Although it was observed the case that /ㅓ/ is realized as [ㅗ(o)] and /ㅡ/ is realized as [ㅜ(u)], it is difficult to assert that the merge of /ㅓ/-/ㅗ/ and /ㅡ/-/ㅜ/ has been completed. Among diphthong,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progressive assimilation of /ㅣ/, the vowel contraction, and the deletion of glide. Progressive assimilation of /ㅣ/ is stated in the language norm of North Korea, but in many cases it is not realized in real pronunciation. The vowel contraction was examined centering on /ㅕ/→/ㅔ/ contraction and /ㅝ/→/ㅗ/ contraction. The /ㅕ/→/ㅔ/ contraction is a phenomenon that was mentioned as a feature of the Pyeongan dialect in the previous studies, but it was often not shown in the materials examined in this study. On the other hand, /ㅝ/→/ㅗ/ contraction, which is a common phenomenon in other dialects, is relatively active. Lastly, the research on the deletion of the glide was conducted, divided into /y/-diphthong and /w/-diphthong. The deletion of glide in /y/-diphthong was defined differently in the language norms of South and North Korea,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ay of realization except /ㅈ, ㅊ, ㅉ/+/y/. The deletion of glide in /w/-diphthong occurred more extensively than the deletion of glide in /y/-diphthong. The deletion of glide in /w/-diphthong was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it was located in initial or not and the antecedent consonants. The results showed that phonological environment, frequency, speaker's age group, utterance situation, and social context of individual words influenced the deletion of glide in /w/-diphthong. Chapter V summariz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presents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목적 및 연구 배경 1 B. 선행 연구 검토 4 1. 북한 발음 규범 전반에 대한 연구 4 2. 북한 발음 규범의 세부 항목에 대한 연구 5 C. 연구 방법 6 Ⅱ. 북한의 발음 규범 및 평안방언의 음운 체계 11 A. 북한의 발음 규범 11 1. 어두 /ㄴ, ㄹ/ 발음 관련 규정 12 2. /ㄷ/ 구개음화 관련 규정 16 3. 모음 관련 규정 20 B. 평안방언의 음운 체계 25 1. 자음체계 25 2. 모음체계 27 Ⅲ. 문화어 화자의 자음 발음 32 A. 어두의 /ㄴ, ㄹ/ 발음 32 1. 한자어 어두의 /ㄴ, ㄹ/ 발음 32 2. 고유어 어두의 /ㄴ, ㄹ/ 발음 46 3. 외래어 어두의 /ㄴ, ㄹ/ 발음 46 B. /ㄷ/ 구개음화 47 1. 형태소 경계의 /ㄷ/ 구개음화 48 2. 형태소 내의 /ㄷ/ 구개음화 50 Ⅳ. 문화어 화자의 모음 발음 53 A. 단모음의 발음 53 1. /ㅓ/ 53 2. /ㅡ/ 59 B. 이중모음의 발음 63 1. /ㅣ/ 모음 순행동화 63 2. 이중모음의 축약 65 3. 활음 탈락 68 Ⅴ. 결론 81 참고문헌 84 ABSTRACT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566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00-
dc.title문화어 화자의 현실 발음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규범 및 평안방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real pronunciation of standard North Korean speakers : Focused on comparison with standard and Pyeongan Dialect-
dc.creator.othernameKim, Eunbi-
dc.format.pagev,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