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영-
dc.contributor.author고윤영-
dc.creator고윤영-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1:30Z-
dc.date.available2020-02-03T16:31:30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29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297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2799-
dc.description.abstract국내 간호사 수는 OECD 국가들에 비해 부족한 편이고 간호사의 높은 이직률은 업무부담의 가중으로 이어져 간호사들의 업무강도가 상당히 높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직접간호를 수행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사의 업무강도와 신체증상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종합병원 간호사 32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9년 5월 28일부터 2019년 6월 11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 사용된 업무강도는 김인아(2007)가 표준산업분류에 따른 직업군을 대상으로 구성한 설문지를 김효진(2015)이 간호사에 맞게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신체증상은 Cornell 대학의 Brodman의 연구팀에 의해 고안된 건강 조사표를 산업보건안전연구원(2002)에서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Kruskal-Wallis test, Bonferroni correc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은 여성이 309명(95.1%)이었으며, 나이는 평균 27.63±5.11세였다. 결혼 여부는 미혼이 273명(84%)였고, 학력은 간호학사가 304명(93.5%)이었다. 연구 대상자의 근무관련 특성으로 일반간호사가 312명(96.0%)였으며, 평균 임상경력은 4.63±5.11년이었다. 대상자의 근무부서는 병동이 245(75.4%)였고, 평균 연장근로시간은 1시간 미만이 156명(48.0%)이었다. 평균 한 달간 밤 근무는 5.59±1.86일이었다. 2. 연구 대상자의 업무강도는 90점 만점에 58.26±6.92점이었으며, 세부적으로는 30점 만점에 절대적 업무강도가 21.02±3.75점, 상대적 업무강도가 20.58±3.53점, 유연화가 16.67±2.81점이었다. 3. 연구 대상자의 신체증상에서 평균 점수는 15.06±11.05점으로 나타났으며, 소화기계 3.63±3.03점, 피로 2.79±1.83점, 순환기계 2.66±2.08점, 호흡기계 1.93±2.26점, 신경계 1.86±2.08점, 피부질환 0.99±1.42점, 근골격계 0.99±1.24점, 이비인후과 0.22±0.47점으로 확인되었다. 4.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F=9.29, p<.001), 결혼유무(t=-2.54, p=.012), 학력(t=-2.85, p=.005)이 업무강도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31세 이상이 25세이하 대상자보다, 기혼이 미혼보다, 석사학위자가 학사학위자보다 업무강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5. 연구 대상자의 근무관련 특성 중 직위(t=-2.92, p=.004), 임상경력(F=10.49, p<.001), 근무병동(t=-4.66, p<.001), 연장근로 시간(F=5.01, p=.002)에 따라 업무강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책임간호사가 일반간호사보다, 1년 이상이 1년 미만의 대상자보다, 특수부서(중환자실, 응급실, 수술실, 회복실)가 병동보다, 시간외 근로가 1시간 이상인 대상자가 시간외근로가 없는 대상자보다 업무강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6.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에서 신경계(t=-5.10, p<.001)와 피로(t=-2.12, p=.048) 증상이, 연령에서 소화기계(χ=7.45, p=.001), 피부계(χ=9.86, p=.007), 근골격계(χ=17.01, p<.001) 증상이, 결혼유무에서 근골격계(t=-2.12, p=0.35) 증상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사후분석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신경계와 피로 증상이, 31세 이상이 25세 이하보다 소화기계와 피부계 증상이, 26세 이상이 25세 이하보다, 기혼이 미혼보다 근골격계 증상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7. 연구 대상자의 근무관련 특성 중 임상경력과 이비인후과(χ=9.98, p=.041), 호흡기계(χ=12.92, p=.012), 소화기계(χ=12.89, p=.012), 근골격계(χ=28.27, p<.001), 피로(F=2.88, p=.041) 증상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사후분석에서 특수부서가 일반병동보다 근골격계(t=-2.24, p=.026) 증상이, 5년 초과~10년 이하가 1년 이하의 대상자보다 이비인후과, 호흡기계, 피부계 증상이, 3년 초과가 1년 이하의 대상자보다 소화기계와 근골격계 증상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8. 연구 대상자의 업무강도와 신체증상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업무강도와 신체증상은 약한 양의 상관관계(r=.21, p<.001)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 결과, 연령이 높고, 기혼이며, 임상경력이 많고, 특수 부서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이 업무강도가 더 높고, 신체증상 중 근골격계 증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사의 업무강도가 높을수록 신체증상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특수부서에 근무하는 경력간호사의 업무강도를 완화하기 위하여 시간외근로를 줄일 수 있는 근로환경개선과 간호인력의 확보, 교육전담간호사제도의 운영과 같은 처우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The number of nurses in Korea is less than those in OECD countries, and the high turnover rate of nurses lead to heavier burden of work, so th nurses’work intensity are high.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rses' labor intensity and physical symptoms in nurses performing direct care. For our data collection, a total of 325 nurses at a general hospital in Gyeonggi-do were surveyed through written questionnaires during the period of May 28, 2019 - June 11, 2019. IBM SPSS Statics 22.0 was used to analyze the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Job-related characteristics, work intensity, as well as physical symptom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test, Kruskal-Wallis test, Bonferroni correc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to analyze the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work intensity according to job-related characteristcs, physical symptoms. Finally, a correlation anan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variables.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1. As a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study subjects, 309 women (95.1%) were sexes, and Average age was 27.63±5.11 years. There was 273 unmarried (84%), and a nursing bachelor's degree was 304 (93.5%). As a result of the work-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e average clinical experience was 4.63±5.11 years. 2. The labor intensity of study subjects had 58.26±6.92 out of 90 points, and in detail, out of 30 points, the absolute work intensity was 21.02±3.75 points, the relative work intensity was 20.58±3.53 points, and the flexibility was 16.67±2.81 points. 3. The average score in physical symptoms of the study was 15.06±11.05 points, followed by 3.63±3.03 points for the digestive system, 2.79±1.83 points for fatigue, 2.66±2.08 points for the circulatory system, 1.93±2.23 points for the respiratory system, 1.86±2.08 points for the nervous system, 0.99±1.42 points of skin disease, 0.99±1.24 points for musculoskeletal system, and 0.22±0.47 points for ENT. 4.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ge(F=9.29, p<.001), marital status(t=-2.54, p=.012) and academic background(t=-2.85, p=.002)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labor intensity. 5.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related work of the study subjects, the work intens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osition(t=-2.92, p=.004), clinical experience(F=10.49, p<.001), service ward(t=-4.66, p<.001), and overtime work(F=5.01, p=.002). 6. In terms of gender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nervous system(t=-5.10, p<.001) and fatigue(t=-2.12, p=.048) are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gestive(χ=7.45, p=.001), skin(χ=9.86, p=.007) and musculoskeletal system(χ=17.01, p<.001) in age. Th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culoskeletal system(t=-2.12, p=0.35) in Marital status. 7. Among the work-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clinical experi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NT(χ=9.98, p=.041), respiratory(χ=12.92, p=.012), digestive(χ=12.89, p=.012), musculoskeletal system(χ=28.27, p<.0011), and fatigue symptoms(F=2.88, p=.041). 8. After check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abor intensity and physical symptoms of the study subjects, the labor intensity and physical symptoms showed a weak amount of correlation(r=.21, p<.001).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labor intensity of married, highly clinical, nurses in special unit is highly, it has been shown that musculoskeletal symptoms are high among physical sympotms. The higher the labor intensity of nurses, the higher the physical symptoms were, treatment needs to be improved to reduce the labor intensity of career nurses working in special depart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 고찰 6 A. 간호사의 업무강도 6 B. 간호사의 신체증상 9 Ⅲ. 연구방법 12 A. 연구설계 12 B. 연구대상 12 C. 연구도구 12 D. 자료 수집 방법 13 E. 자료 분석 방법 14 F. 연구 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14 G. 연구의 제한점 15 Ⅳ. 연구결과 및 논의 16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6 B. 대상자의 업무강도, 신체증상 20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근무관련 특성에 따른 업무강도 32 D.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근무관련 특성에 따른 신체증상 38 F. 대상자의 업무강도와 신체증상간의 관계 46 Ⅴ. 결론 및 제언 48 A. 결론 48 B. 제언 51 참고문헌 53 부록1. IRB 연구 계획 심의 결과 통보서 67 부록2. 연구 대상자 설명문 및 동의서 71 부록3. 설문지 75 부록4. 도구 사용 승인서 78 부록5. 연구대상자 선정 79 ABSTRACT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978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간호사의 업무강도와 신체증상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s between Labor Intensity and Physical Symptoms of nurses-
dc.creator.othernameKo, Yun Yeong-
dc.format.pagevi,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간호학전공-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