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상미-
dc.contributor.author이보라-
dc.creator이보라-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1:29Z-
dc.date.available2020-02-03T16:31:29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29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297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2796-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는 빠르게 고령사회로 진입하였으며, 이러한 추세는 초고령사회로의 빠른 진입을 예고한다. 노인은 핵가족화와 은퇴 등으로 인해 역할상실의 문제, 경제력 손실의 문제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심리적 어려움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심리적 어려움은 노인우울이라는 심각한 문제로 이어지며, 더 나아가 자살이라는 사회적문제로까지 이어진다. 따라서 노인의 가족관계에서 겪을 수 있는 역할상실의 문제를 예방하고, 경제력 회복을 통해 노인 스스로 주체적인 삶을 영위해 나감으로써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배우자 및 자녀 부양의 교환이 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과 경제활동의 조절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노인실태조사 2017 자료 중 동거자녀 또는 비동거자녀가 있고, 배우자가 있는 6,243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우자와의 관계에 있어 배우자도구적도움받음과 배우자도구적도움줌은 노인의 우울감에 부적 영향을 보였고, 배우자신체적도움받음은 정적 영향을, 배우자신체적도움줌은 부적 영향을 보였다. 반면, 배우자정서적도움받음과 배우자정서적도움줌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자녀와의 관계에 있어 자녀정서적도움줌은 부적 영향을 보였다. 반면, 자녀신체적도움받음은 정적 영향을 보였고, 자녀신체적도움줌은 부적 영향을 보였다. 또한 자녀경제적도움받음과 자녀경제적도움줌은 부적 영향을 보였다. 셋째, 경제활동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배우자도구적도움받음과 배우자도구적도움줌, 배우자신체적도움받음, 배우자신체적도움줌, 자녀정서적도움줌, 자녀신체적도움줌, 자녀경제적도움줌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배우자도구적도움받음과 배우자도구적도움줌에는 정적 조절효과를, 배우자신체적도움받음에는 부적 조절효과를, 배우자신체적도움줌에는 정적 조절효과를 보였다. 또한 자녀정서적도움줌과 자녀신체적도움줌, 자녀경제적도움줌에는 정적 조절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우자와의 양방향적 부양의 교환이 확대되어야 한다. 배우자에게 도움을 받는 것도 중요하지만 배우자에게 도움을 줌으로써 노인 스스로 도움이 되는 존재임을 자각하게 되고, 이는 노인의 우울을 낮춘다. 따라서 부부관계에서 도움을 주는 것이 고생이 아닌 가정 내 중요한 역할로 정립될 수 있다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며, 부양의 교환에 있어 중요한 부부관계 역시 강화될 수 있는 제도와 프로그램들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둘째, 자녀와의 관계에 있어 자녀세대를 향한 노인의 도움을 개인적으로나 제도적으로 지지해야 하며, 나아가 자녀와의 양방향적 부양의 교환이 확대되어야 한다. 자녀와의 관계에서 도움을 주는 것은 자녀에게 여전히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존재로 인식되면서 노인 스스로에게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주고, 이는 노인의 우울을 낮추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에 노인을 더 이상 도움을 바라기만 하는 약한 존재로 인식하기보다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이끌어 가는 존재로 인식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필요하며, 노인 역시 스스로 주체적인 삶을 살기위한 노력과 이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셋째,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를 활성화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경제활동에의 참여는 배우자 및 자녀 부양의 교환이 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에 정년연장과 다양한 형태의 노인일자리 개발을 통해 노인이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경제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도 및 정책 보완이 필요하다. 넷째, 배우자 및 자녀 부양의 교환에 있어 노인의 건강상태 및 건강에 대한 지원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이 신체적도움을 받는 것이 노인의 우울감을 높였으며, 이는 개인의 건강상태와 연결된다. 이러한 신체적 도움은 가족에 대한 미안함으로 인해 심리적 부담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신체적도움이 가족 뿐 아니라 국가적 차원에서 함께 제공된다면 노인의 부담을 줄여 우울감을 낮출 수 있다. ;Korea has entered an aged society rapidly, and this trend predicts further rapid entry into a super aged society. The elderly may have problems of loss of roles or economic power due to emergence of nuclear families and retirement, which leads to psychological difficulties. Such psychological difficulties further lead to a more serious problem,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which may result in a bigger social problem, the elderly's suicide. Therefore, the plans to reduce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that prevents the loss of roles experienced in the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allows the elderly to live an independent life through recovery of economic power are needed.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the exchange of support with the spouse and children on the elderly's depres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conomic activities. For this purpose,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6,243 senior citizens who had a spouse and cohabiting or non-cohabiting children in the data of the Senior Citizen Survey 201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spouse, receiving instrumental help from the spouse and giving instrumental help to the spouse showed a negative impact on the elderly's depression while receiving physical help from the spouse had a positive impact and giving instrumental help to the spouse had a negative impact. In contrast, receiving emotional help from the spouse and giving emotional help to the spous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impact. Second, in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giving emotional help to children showed a negative impact. In contrast, receiving physical help from children showed a positive impact and giving physical help to children showed a negative impact. In addition, receiving economic help from children and giving economic help to children showed a negative impact. Third, the test of the moderating effect of economic activities showed significance in receiving instrumental help from the spouse, giving instrumental help to the spouse, receiving physical help from the spouse, giving physical help to the spouse, giving emotional help to children, giving physical help to children, and giving economic help to children. Receiving instrumental help from the spouse and giving instrumental help to the spouse showed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while receiving physical help from the spouse showed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and giving physical help to the spouse showed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Furthermore, giving emotional help to children, giving physical help to children and giving economic help to children showed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change of bidirectional support with the spouse should be expanded. While receiving help from the spouse is important, giving help to the spouse allows the elderly to realize that they are helpful persons, which lowers their depres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ocial atmosphere where giving help in marital relationship can be established as an important role in the family, not as a hardship, and this needs to be supported by the systems and programs that can also strengthen the marital relationship important in the exchange of support. Second, in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the elderly's help toward children generation should be supported personally and institutionally, and moreover, the exchange of bidirectional support with children needs to be expanded. Giving help in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gives the elderly themselves emotional stability as they are recognized as being able to still provide help to their children, which results in lowering the elderly's depres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social atmosphere that recognizes the elderly as the persons who lead their lives independently, rather than as the weak who only want help. The elderly also need to make efforts to lead a self-reliant life, which requires institutional support as well. Third, the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in economic activities should be encouraged and invigorated.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in this study had the effect of enhancing the positive aspect of the exchange of support with the spouse and children on the elderly's depression. Thus,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system and policies so that the elderly can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and secure economic power through the extension of retirement age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types of jobs for the elderly. Fourth, support for the physical condition and healthcare of the elderly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in the exchange of support with the spouse and children. In this study, the elderly who received physical help has increased their depression, which is related to the health condition of the individual. This physical help leads to a psychological burden due to the apologetic feeling for the family. Therefore, if physical help is provided at the state level as well as at the family level, it can reduce the burden on the elderly and lower their depres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1 B.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Ⅱ. 이론적 배경 6 A. 부양의 교환 6 1. 부양의 개념 6 2. 부양의 유형 7 3. 교환이론 9 B. 경제활동 11 1. 노인의 경제활동 11 2. 노인 경제활동의 중요성 12 C. 우울감 14 1. 우울감 정의 및 현황 14 2. 노인 우울감 영향요인 17 3. 부양의 교환과 노인의 우울 19 4. 경제활동과 노인의 우울 22 Ⅲ. 연구방법 25 A. 연구대상 25 B. 연구모형 26 C. 연구문제 27 D. 변수의 측정 27 E. 자료분석방법 31 Ⅳ. 연구결과 32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요인에 따른 특성 32 B. 주요 변수의 기술적 분석 34 C. 주요 변수의 상관관계 분석 37 D. 가족 및 자녀 부양의 교환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및 경제활동의 조절효과 분석 41 Ⅴ. 결론 및 논의 51 A. 연구결과 요약 51 B. 연구의 함의 56 C.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60 참고문헌 62 ABSTRACT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529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배우자 및 자녀 부양의 교환이 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경제활동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Impact of the exchange of support with the spouse and children o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conomic activities-
dc.format.pagevi,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