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0 Download: 0

윤혜진 작곡 12현 가야금·타악 <거기에 있다. 취하라> 분석연구

Title
윤혜진 작곡 12현 가야금·타악 <거기에 있다. 취하라> 분석연구
Other Titles
The Analysis Study about 12-string Gayageum․Percussion Composed by Yun Haejin
Authors
신유민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은아
Abstract
본 논문은 시와 문학에 나타나는 표현을 음의 움직임을 통해 작곡하고자 한 윤혜진 작품 12현 가야금·타악 <거기에 있다 취하라>를 분석하였다. 본 곡은 총 84마디로 구성되어있으며, 곡의 분석을 위해 총 8부분으로 나누었다. 총 8부분 음악구조에 나타난 시의 사용범위와 악보유형을 살펴보고, 작품분석을 통한 구성음을 알아보고 주요음을 파악하여, 리듬·연주법·악기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구조는 총 8부분으로 나누어 전개되고 있으며, 각 부분은 4개의 시, 고대노동요<풍요>와 도표악보·오선보·점선악보·그림악보의 악보유형을 사용하고 있다. 도표악보로 표현된 제1부분은 악보 안에서 음의 움직임과 이어짐을 직관적으로 보기에 효과적이었으며, 오선보에 표기할 수 없는 전통음악의 표현을 기보하기 위해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 오선보를 이용한 제2부분·제3부분·제5부분·제6부분·제8부분에서는 음의 움직임과 리듬구조가 진행되는 양상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이었으며, 점선악보와 그림악보의 유형이 사용된 제4부분과 제7부분에서는 작곡자가 최소한의 조건만을 걸어 연주자가 직접 해석할 수 있는 폭을 넓혀 독창적인 연주로써 시적 정서를 더욱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제1부분 제1마디-a의 임의의 음에서 시작된 음은 제2마디-a에서 구체적인 음이 더해지며 C, G, Bb의 주요음으로 하나의 중심을 만들고, 제2부분에서 음의 축소와 확장을 통해 선율을 이어간다. 제3부분에서 글리산도, 꾸밈음·농현 등의 장식음 사용을 통해 음이 발전되며 작품 안에서 C· F· G· Bb의 주요음을 만든다. 제4부분에서 주요음 C· F· G· Bb은 장식음·효과음·경과음의 사용으로 음의 움직임을 보여주고 점선노트·그림악보·상행과 하행 등으로 표현된 음들은 확장과 축소를 반복하다 다시 축소되어 C· Bb 음으로 진행되는 형태를 보여준다. 축소된 음정은 다시 제5부분에서 4개의 주요음을 임시적으로 쓰인 음들로 더 확장시키고 있으며 확장된 음들은 제6부분에서 장식음·효과음·경과음 등으로 이어진다. 제7부분은 그림악보로 표현되며 연주자가 글리산도·꾸밈음·농현·퇴성과 추성 등으로 자유롭게 확장과 축소를 반복하여 선율의 흐름을 이어간다. 이후 제8부분에서는 다시 음이 축소되어 C· Bb의 음으로 진행이 되다 확장하여 주요음 C· F· G· Bb의 음을 남기며 마무리된다. 셋째, 리듬은 12현가야금과 가야금 연주자 목소리·타악·타악 연주자의 목소리에 의해 나타난다. 도표악보였던 제1부분에서는 타악에 점차 빨라지거나 느려지는 리듬형을 제시하였으며, 이것은 악곡 전반적으로 각 부분을 연결시켜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제1부분과 제2부분, 제2부분과 제3부분, 제3부분과 제4부분, 제4부분과 제5부분, 제6부분과 제7부분을 연결시킬 뿐만 아니라 제8부분을 이 리듬형으로만 전개시켜 악곡 전반적으로 통일성 또한 부여하는 역할을 하였다. 주요음 네 음을 확립시켰던 제2부분~제3부분에서는 온음표, 2분음표·4분음표·8분음표·16분음표·32분음표로 리듬을 점차 분할시키는 양상과 꾸밈음·잇단음표·붓점· 추성·퇴성·전성·스타카토 등의 활용으로 리듬을 발전시키는 모습을 보여주어 악곡 전반적으로 사용된 리듬적 소재를 확립시켜 통일성을 더해주었다. 넷째, 가야금은 작품 속에서 추성·퇴성·농현·연튕기기의 주법으로 선율을 이어가고 있으며, 집기·뒤집기·전성을 장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왼손으로 안족 밖의 현을 연주·오른손이나 왼손으로 현을 긁어내리는 글리산도·양손으로 여러 현을 동시에 뜯는 주법 등의 현대적인 주법은 음악을 더욱 풍성하게 만든다. 타악은 타점 확장·열기·막기·털기와 방울을 흔드는 연주법 등으로 현대적인 느낌을 더해준다. 다섯째, 작품 속 타악기의 역할은 단순히 반주를 하는 역할이 아닌 주체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가야금·소리·타악 악기간의 상호관계가 나타난다. 제1부분의 도표악보에서 타악기의 소리가 없어지면 가야금 목소리가 나오고, 다시 타악기의 소리가 나오면 가야금 목소리가 나오는 것과 같은 서로의 소리를 주고받는 음형, 제4부분에서 가야금의 음형을 타악이 받거나 서로의 음형을 바꾼 듯한 유사한 음형, 제6부분에서 가야금이 소리와 동음을 내면서 소리의 진행을 받쳐주는 음형이 그러한 상호관계를 보여준다. 제5부분·제6부분·제7부분에서는 가야금과 소리가 쉴 때 타악이 박을 분박시켜서 음을 채워 연주하며 서로의 소리가 이어지게 하여 선율을 이어가고 있으며, 이는 작곡가의 음악적 특징인 순환을 표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시와 문학에 나타나는 표현을 음의 움직임으로 담아내고자 하는 윤혜진 작품 12현 가야금·타악<거기에 있다. 취하라>는 전통음악의 표현과 자유로운 연주자의 해석을 위해 오선보·도표악보·점선악보·그림악보를 사용하여 시와 소리의 공간인 이미지 공간을 만들었다. 시로 표현된 글자들은 음표로 만들어졌으며, 이 음표들은 주요음을 중심으로 장식음·경과음·효과음·상행음형·하행음형·글리산도·꾸밈음·농현·퇴성과 추성 등으로 인한 확장과 축소를 통해 악곡을 이어가고 있다. 곡에서 표현된 시와 노래·악보유형·주요음·리듬·연주법은 서로 상호보완·작용하며 곡의 진행이 끊어지지 않고 이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작곡자의 작곡어법인 순환을 표현해주고 있음을 알았다. 이와 같이 국악작곡이라는 이름의 서구화와 국악본연의 미의식 사이를 고민하고 치열하게 탐구했던 윤혜진 작곡가의 <거기에 있다, 취하라>를 분석한 본 논문을 통하여 창작곡을 연주하는 연주자들의 음악적인 이해와 효과적인 연주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analyzed 12-string gayageum and percussion piece, , composed by Haejin Yun who tried to compose the expressions from poem and literature through movements of note. The piece is composed of 84 and this study divided the bars into 8 sections to analyze the piece. This study examined the range of poem used in musical structure, analyzed type of score, and analyzed the piece to identify the notes and key note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rhythm, playing technique, and instru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usical structure develops by divided into 8 sections. Each section adopts the 4 poems, ancient labor song titled , graph score, dotted score, and pictorial score. Section 1 expressed with graph score was effective for observing the movement and connection of note intuitively. Also, such score seems as the efforts for expressing the traditional music that cannot be expressed on staff. Section 2, Section 3, Section 5, Section 6, Section 8 using staff were effective in expressing the movement of note and rhythmic structure. Also, Section 4 and Section 7 that used dotted score and pictorial score, the composer provided the minimum condition to allow wider range of choice in interpreting the piece by the performer. By doing this, Section 4 and Section 7 express the poetic feeling more effectively as the unique performance. Secondly, in Section 1, the note that started from the temporary note of Bar No.1-a was added with detailed note on Bar No.2-a and became the key note for C·G·Bb. In Section 2, the melody continued by reducing and expanding the note. In Section 3, the note developed by using the grace note such as glissando, ornament, and vibrato and the note became the key note for C·F·G·Bb in the piece. In Section 4’s C·F·G·Bb, the movement of note is expressed by using grace note, sound effect, and passing note. The notes expressed in dotted score, pictorial score, ascending, and descending is in C·Bb note that repeats expansion and reduction. The reduced musical scales expand Section 5’s 4 key notes into temporary notes. Then, the expanded notes connect to grace note, sound effect, passing in Section 6. Section 7 is expressed with pictorial score and the melody flows by repeating expansion and reduction freely with glissando, grace note, vibrato, descending note, and ascending note. In Section 7, the note reduces again, progresses in C·Bb note, expands again, and finishes by leaving C·F·G·Bb. Third, the rhythm is expressed with 12-string gayageum, voice of gayageum player, percussion, and voice of percussion player. In Section 1 expressed in graph score, percussion gradually gets faster or slower and this plays important role in connecting the each Section in the piece. It connects Section 1 and Section 2, Section 2 and Section 3, Section 3 and Section 4, Section 4 and Section 5, and Section 6 and Section 7. It also develops Section 8 only with this rhythm to provide uniformity in overall piece. In Section 2~ Section 3 that established 4 key notes, the sections gradually divided rhythms in whole note, half note, quarter note, quaver, and semiquaver while developing the rhythm by utilizing grace note, tuplet, dotted, ascending note, descending note, and staccato. These added the sense of uniformity by establishing the rhythmic element that used on overall piece. Fourth, Gayageum continues melody with playing techniques such as ascending, descending, vibrato, picking, and serial picking and pressing, overturning, and picking are used for decoration. In addition, the modern playing techniques such as playing the outer string with a left hand, glissando with scratching a string with left or right hand, or picking multiple strings at the same time with both hands enriches the music. Also, percussion adds modern feeling to the piece with playing techniques such as beat expansion, opening, blocking, shaking, and bell ringing. Fifth, the percussion plays independent role rather than just an accompaniment. Also, the piece shows mutual relationship between gayageum, sound, and percussion. In the graph score in Section 1, gayageum voice comes out when percussion sound disappears. Then, when percussion sound appears again, gayageum voice comes out again. In this structure, the sound and percussion exchanges with each other. In Section 4, the percussion continues or changes the figure of gayageum. In Section6, gayageum and sound makes the same sound and gayageum supports the progress of the sound. In Section5, Section 6, and Section 7, the percussion breaks down the beat to fill the note when gayageum and sound disappear. This way, the melody continues as gayageum, sound, and percussion make each other’s sound to continue. This expresses the composer’s musical characteristic, circulation. 12-string gayageum and percussion piece, , composed by Haejin Yun who tries to reflect the expressions from poem or literature into the movement of note uses staff, graph score, dotted score, and pictorial score to express traditional music and allow performer’s free interpretation while making the image space of sound and poem. The letters expressed in the poem are made into notes and these notes continue the piece by expanding and reducing based on grace note, passing note, soun effect, ascending note, descending note, glissando, ornament, vibrato, ascending, and descending picking. The poem, song, score, key note, rhythm, and playing technique expressed in the piece complement each other to continue the piece smoothly without stopping. This also shows that the piece is expressing the composer’s sense of circulation. This study analyzed < There Exists, Be Drunk > by Haejin Yun who actively explored and examined the westernization under the name of composition and sense of beauty in original Korean traditional music. This study seeks to enhance musical understanding and effective performance of performers playing creative pie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